탈춤 연행의 반성성 연구
A study on reflexivity of the Korean masked dance-drama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 지도교수 이상란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8
- 학위명 박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315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고의 목적은 면대면 상호작용과 문화적 실천 층위에서 탈춤 연행의 반성성에 주목하여 탈춤의 텍스트적 의미가 컨텍스트를 생산하는 역동적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다종다양한 연행론의 근간에는 자기 지시적 의미 구성 과정이 전제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반성성을 통해 그와 같은 자기 지시적 의미 구성 과정으로서 탈춤 연행의 커뮤니케이션 행위 자체를 드러내고자 한다. 바꾸어 말해서 탈춤 연행의 반성적 관점을 확인해, 연행 주체들이 자신을 연행의 참여자로서 인식할 수 있는 절차와 문화 자체를 탐구하고 코멘트하며 변형시키는 능동적 경험의 경로를 세밀히 읽어내는 것이 본 논문의 과제다. 연행적 활동, 효과, 힘을, 탈춤 연행에 관한 반성성 논의에서 발견하여, 이러한 연구 성과를 좀 더 보편화 하였을 때 논의가 다분한 연행 연구의 문제의식에 대한 지평정립 기여까지 가늠해보는 것이 본고의 주제라 하겠다. 연행은 복원된 행위이며, 반복되지만 그대로 반복되지 않는 행위이다. 따라서 서로 같지 아니하고 다름의 정도나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능력이 연행에는 반드시 요청된다. ‘~에 대한 담론하기’의 메타 커뮤니케이션 능력인 반성적 차원이 연행이라는 연구 주제에 접근하는 핵심 열쇠로서 기능하는 까닭은 이 때문이다. 즉 ‘~에 대한 담론’할 줄 아는 반성적 능력은 차이를 구별 짓는 능력이므로, “이봐 나를 봐, 내가 나 자신을 얼마나 기술적으로 효과적으로 표현하는지를 봐라.”의 뜻을 함축한 전시 양식인 연행에는 무엇보다도 반성적인 의미작용의 전개가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반성성에 관한 관심을 토대로 탈춤 연행 주체가 능동적으로 구성되고, 새로운 잠재적인 사회 구조가 연행 현장에서 창발되는 과정의 문제가 일정 부분 답변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그러므로 자아와 사회의 발전에 근원적인 경험을 형태화하는 반성성의 시각을 예각화하는 경우, 탈춤과 같은 연행예술의 논란이 되는 사안들이 보다 세밀하게 읽혀지리라 예상된다. 이를테면, 탈춤 연행은 이전에 존재하는 모델을 고수하고 유지하는 것인가 아니면 그와 같은 전통을 허물기 위해 사회 내에서 작동하고 있는가? 혹은 제의적 나침반이라는 사회적 기능주의의 답변을 넘어 탈춤 연행을 통해 달성되는 것은 무엇이고, 그 성취는 어떻게 접근될 수 있는가? 그리고 사회의 안정적인 제도적인 형태로서 탈춤 연행을 둘러싼 문화적 컨텍스트는 처방적인 구조로 선험적으로 모델화되는 것인가? 아니면 처방적인 것은 일시적인 것이고 어떤 새로운 요인들이 기존 문화적 형태와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탈춤 연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인가? 같은 문제들이 그것이다. 연행이 반복에 토대해 있는 터라, 연행되는 행위는 사회적 공동체를 매개하고 개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데 필연적인 역할을 하는 까닭에서 이러한 연구 이슈들이 비롯된다. 즉 탈춤 연행 연구에서 가장 논란이 되는 것은 그것의 사회적 기능이 얼마나 탄력적인가 하는 점이다. 한마디로 말해 문화적 보수주의와 문화적 혁신주의는 연행론의 가장 핵심적인 이슈다. 결과적으로 사회적으로 고착된 결정적 형태로서의 문화 구조와 창발적 환경에 반응하는 연행적 형태로서의 문화 구조의 이분법적 대립이 유연하게 접속되고 유동적으로 해체되는 양상을 본고는 탈춤 연행을 시금석으로 삼아 판독해보려 한다. 이 논문은 크게 보아 “연행적 중재 과정의 특징으로서 반성성의 시각”을 살펴보는 2장과 “탈춤의 면대면 상호작용과 의미작용의 반성성”을 고찰하는 3장, 그리고 “탈춤의 문화적 담론실천의 반성성”을 확인하는 4장으로 구성되었다. 말하자면 2장에서 연구 방법론으로서 반성성의 시각에 대한 체계를 세운 후, 그것을 탈춤의 면대면 상호작용 차원에서 문제제기 해보고, 이를 확장하여 문화적 가치를 실행하는 탈춤 연행의 과정에 대한 고찰에까지 나아가 보려는 것이 이 논문의 편집 체제라 할 수 있다. 반성성의 포괄적, 이론적인 논의를 탈춤의 면대면 상호작용과 문화적 담론 실천의 측면에 정립해 봄으로써, 탈춤 연행의 반성성이 기능하는 역동적 과정들에 관한 정당한 연구시각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을 이러한 편집 구성은 내포하는 셈이다. 결과적으로 반성성과 관련된 제반 층위들을 관류하는 탈춤의 연행 현상들을 파악하고, 그것의 연행론적 형식, 의미, 기능을 적절히 평가하는 가운데, 연행 연구의 인식적 지평을 새롭게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기존 논의와 본고가 차별화되는 지점은 이렇듯 탈춤 연행 주체들의 동작주적 컨텍스트화 능력을 강조한 데서 찾아진다. 그것은 단순히 텍스트 창조의 과정에 집중하는 분석이 아니다. 그보다 사회문화적 환경을 능동적으로 해석하여 탈춤 연행 내 잠재적 경험으로 틀 지음으로써, 탈춤 연행 주체가 상호주관적으로 구성되고, 개인적 자아와 사회적 자아로 이루어진 인접적인 지표성이 역동화되는 방식에 중심을 둔 논의라 할 수 있다. 연행 능력은 한 마디로 반성적 능력이다. 그것은 그만큼 경계를 가지고 유희하면서 의례적으로 경계를 확정할 수 있는 모순적 능력이라 할 만한 것이다. 때문에 반성적 연행 능력은 컨텍스트를 해체할 줄 아는 능력이자, 컨텍스트 표지를 유형화할 줄 아는 능력이라 말할 수 있다. 무한한 반복의 가능성 속에서 우리는 단순히 이전의 것을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반응의 조건을 인지하고 구성할 줄 아는 능력을 구성하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반성적 능력이라 정의될 수 있는 셈이다. 이렇게 볼 때, 컨텍스트는 해석적 절차에서 생산되는 것이지, 텍스트적 의미를 결정하는 객관적인 외부의 그 무엇이 아니게 된다. 즉 컨텍스트적 지표는 텍스트를 만드는 과정의 사회적 상호 행위 속에서 창발한다. 반성적 능력이 내포한 메타적, 시학적 기능은 이러한 컨텍스트적 지표들의 차별적 스타일을 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터이다. 역으로 보자면 반성적 행위의 틀 짓기 과정은 컨텍스트와 관련해 증가되는 자기의식의 소산이자, 그것을 경계 지으려는 해석 절차와 관련된다. 그러한 까닭에 연행 능력은 반성적으로 컨텍스트적 지표를 차별화시키는 능력이고 문화적 차원에서는 그것들을 사회적으로 제조된 관여성의 담론적 위계에 따라 배열하거나 철회하는 능력이다. 다시 말해 연행을 연행으로서 틀 짓는 능력은 ‘~에 대하여 담론’할 수 있는 반성적 메타 커뮤니케이션적 사용 능력과 관계있다. 기존 질서를 고수할 수 있는 패턴화된 행동을 틀 지을 수 있는 만큼, 의미론적으로 범주화될 수 없는 범주 혹은 컨텍스트화될 수 없는 컨텍스트를 제시할 수 있는 경험의 틀거리가 확정되는 것도 반성적 연행 능력에서 기인한다. 말하자면 반성적 연행 능력은 경험을 해석하는 방식과 경험의 텍스트에 대한 경계를 형성하는 방식을 표시한다. 그래서 반성성의 제스처는 텍스트와 컨텍스트 사이의 경계를 명료히 하며 지각적으로 전경화된 것과 배경화된 것, 포함되는 것과 배제되는 것, 말해야 할 것과 말하지 않아도 좋을 만한 것을 위계적으로 결정한다. 즉 반성적 틀 짓기 과정은 텍스트와 컨텍스트를 배열하고, 컨텍스트로부터 텍스트를 명료히 하는 활동이다. 해서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진행되는 일종의 해석적 작업의 모델로서 반성적 연행 능력은 컨텍스트도 상호행위의 참여자적 관점에서 생산된다는. “컨텍스트에서 컨텍스트화로”의 인식 전환을 촉구한다. 이 같은 내용이 탈춤 연행의 반성성 분석 결과 본고가 일반적인 연행 연구에 기여하게 되는 성과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dissertation is to analyse a dynamic process which the textual meaning of the Korean masked dance-drama(a so-called 'TalChum') generates a context, paying attention to reflexivity of the TalChum performance at face-to-face interaction and cultural practice level. Because the process of forming self-referential meanings is basis for a diversity of performance theory, this dissertation clarifies a communicative action of the TalChum performance as the process of forming self-referential meanings through reflexivity. In other words, by identifying reflexive point of view about the TalChum performance,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find active experiential process how main agents of performance explore, comment, and change culture itself to recognize themselves as a performance's participant. After that, generalizing conclusions, this thesis' theme is to open a new prospect about the problems involved of performance theory. A performance is a restored behavior, and a repeated behavior but not being iterated at all. So a performance requests an ability to cognize the condition and degree of a difference. Therefore, reflexivity is a key to approach a performative event, because reflexivity is a meta communicative ability to discourse about something. That is, since a reflexive ability to discourse about something is an ability to distinguish an one from the other, above all things, a performance demands reflexive signification in order to display, communicate, and mark something having connotations of "Look at me!, see me express myself how effectively!". As a result, on the basis of concerning about reflexivity, it will be analysed that main agents of the Talchum performance are actively constructed and a new potential social structure emerges while performing. Thus, if perspective on reflexivity is sharpened, the current dispute of performance theory is expected to be clear in great detail. So to speak, does the Talchum performance stick to a pre-existing performance model or act to break down such a tradition in communities? And beyond social functionalism named a ritualistic compass, what is achieved through the Talchum performance? How the achievement is accessed? In addition to these issues, are cultural contexts surrounding the Talchum performance modelled a priori as prescriptive structure? or because prescriptive structure is temporary, what new factors are arisen to improve established cultural forms and systems? A performance is basis on repeating. Accordingly, it serve as mediating social communities and constructing individual identity. Consequently, above-mentioned issues come to spring up. Namely, the most controversial issues about the Talchum performance are involved in how elastic its social function is. Is a performance based on the steady pattern of a previous model, script, and action? Either, how does a performance operate to pull down a convention? To make a long story short, cultural conservatism and cultural innovation are fundamental to solve performance's theoretical problems. As a result, this dissertation will read how to connect and dismantle a dichotomy between cultural structure as a determinate form and as a performative form responding to a emergent event. This thesis consists of chapter two, i.e. "The perspective on reflexivity as a character of performative mediative process", chapter three, i.e. "The face-to-face interaction of the Talchum and the reflexivity of signification", finally, chapter four, i.e. "The reflexivity of cultural discursive practice of the Talchum". As it were, after the perspective on reflexivity is systematically established in chapter two, this dissertation intend to present question at face-to-face interactional level of the Talchum, then, by expanding theses conclusions, investigate the Talchum's performative process which practices cultural value. Therefore these editing system will found face-to-face interaction and cultural discursive practice of the Talchum by applying comprehensive,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reflexivity. After all, it can secure a reasonable research vision about dynamic process that the reflexivity of the Talchum performance functions. That study shall renew the epistemic prospect of performance study. So, the point distinguishing this thesis from a precedent studies are found in highlighting the contextualization ability of a Talchum's participant. Its analysis is not focus on textual product. Rather, this discuss is concentrate upon dynamic way that indexicality is constructed, i.e. the way that a dialogue between individual self (I) and social selves (me) is formed, actively framing and interpreting a sociocultural setting. In short, a performative ability is a reflexive ability. It can be defined as a self-contradictory ability that ritually establishes a border while plays with a border. On account of this, a reflexive performative ability is an ability which can dismantle context and, at the same time, can class contextual mark. While repeating infinitely, man doesn't imitate a previous something simply. Rather, he recognizes the condition of response and constructs it. So that's what this thesis calls the a reflexive ability. When all is said and done, context can be said interpreted context than objective setting or interaction's external environment determining textual meanings. In other words, contextual mark emerges from a social interaction making a text. The meta communicative and poetic function of a reflexive ability indicate discriminative styles of these contextual marks. Inversely, reflexive framing is the outcome of an increasing self-consciousness relevant to the context. And it is associated with interpretative procedure defining a boundary of context. As a result, a performative ability is reflexively an ability making a contextual difference and,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practice, arranging and expelling a contextual difference according to discursive hierarch which social power structures. That is to say, an ability to frame a performance as a performance is concerned with a reflexive meta-communication. It is from a reflexive performative ability that frames a context that can not be contextualized as framing a patterned behavior which adheres to pre-existing order. Then, a reflexive performative ability marks how to interpret an experience and form a border. So reflexive gesture clarifies a border between a text and a context, hierarchically decides a perceptually foreground and background, including and excluding, said and unsaid, Consequently, a reflexive framing is an activity which arranges a text and a context, articulates a text from a context. Thus, as a kind of interpretative operation gone along during a social interaction, a reflexive performative ability encourages a paradigm shift, so-called, "from context to contextualization" in a participant's perspective. Such contents are achievements that this dissertation contributes to performance study by analysing a reflexivity of the Talchum performan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