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스마트폰 초기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와 행동 연구

A Study on the Motivation and Behaviors of the Initial Smart phone Users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초기 이용자들의 동기와 이용 행동 분석을 통해 이들이 스마트폰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를 알아보고자 했다. 또한 조기 다수자의 향후 스마트폰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초기 이용자들을 이용 동기에 따라 유형을 세분화하고 그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사전 심층인터뷰를 통해 구성한 설문응답 분석에서 스마트폰 초기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는 8가지로 나타났으며, ‘정보획득’, ‘커뮤니케이션 및 사회적 관계’, ‘기능 확장’, ‘유행 및 과시’, ‘상시적 정보 활용’, ‘즉시성’, ‘습관적’, ‘이용 편리성’이 도출되었다. 이용 동기 요인이 이용자들의 실제 어플리케이션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분석에서는 정보획득이 어플리케이션 이용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기능확장, 즉시성, 커뮤니케이션/사회적 관계 요인의 순이었다. 스마트폰의 초기 이용자 집단을 동기 요인에 의해 유형별로 세분화 한 군집분석의 결과는 ‘유행추구 형’, ‘파워유저 형’, ‘업무관련 형’ 등 세 가지 유형이 분류되었다. 유행추구 형은 세 유형 중 20대 이하의 비중이 가장 높고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종류 또한 비교적 다양했으며 동기 요인 중 유행/과시 요인에 높은 관여도를 보였다. 파워유저 형은 30대의 비중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이용 편리성 및 커뮤니케이션/사회적 관계의 동기 요인에 높은 관여를 나타냈다. 세 유형 중 가장 높은 평균 연령을 보였던 업무관련 형은 업무활동과 관련이 있는 즉시성 요인에만 높은 관여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초기 이용자의 유형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 행태 차이 분석에서 먼저 능동적 활동은 파워유저 형이 가장 높은 능동적 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유행추구 형이 그 뒤를 이었고 업무관련 형은 능동적 활동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혁 확산의 관점에서 보면 파워유저 형은 적극적인 온라인 리뷰 활동으로 사회적 이슈와 여론을 형성하는 얼리어답터의 성격을 보이고 있으며, 유행추구 형의 초기 이용자는 얼리어답터 중 개혁 채택을 통한 자기 과시형의 성격을 보였다. 반면 업무관련 형의 초기 이용자는 기존의 얼리어답터와는 다른 형태의 집단으로서, 개혁을 채택하는 시점은 얼리어답터의 조건을 갖추었지만 스스로 원하여 개혁을 받아들인 것은 아닌 경우로 추측해 볼 수 있다. 한편 이용자 유형에 따른 스마트폰의 활용 장소 비교는 세 유형 모두 교통수단에서 가장 많은 이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바일 디바이스 사용 경험 비교는 각 유형을 구성하고 있는 연령, 직종에 따라 다른 분포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활용 통계량은 사용일수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통계량에서 파워유저 형이 가장 많은 이용량을 보였고 뒤를 이어 유행 추구 형, 업무관련 형의 순서로 나타났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examines the desire of which initial smart phone users are gratified in smart phone, by analysis of their motivation and behaviors. And it also tries to segment initial smart phone users who have affected smart phone adoption to early majority, and examines the difference. So this study discovered eight motives for using smart phone; they are 'information acquisition', 'communic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function expansion', ' fashion and showing off', 'information activities at all times', 'immediate task', 'habitual' and 'ease of use'. The analysis of that the motive factors are affected usage of applications shows that 'information acquisition'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nd followed by 'function expansion', 'immediate task' and 'communic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The initial smart phone users a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such as 'pursuit of trend type', 'power user type' and 'work related type'. According to findings, the 'pursuit of trend type' is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of under 20s and 'fashion and showing off' factor is the highest involvement in this type. The 'power user type' is involved with 'communic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factors. The 'work related type' is showed the highest average age and 'immediate task' factor is seen only with high involvement. In the activity analysis about each groups, the highest activity is showed in 'power user type', and followed by 'pursuit of trend type'. On the other hand, the 'work related type' has little to do with activity. The 'power user type' spreads their opinion related smart phone usage over the internet and makes social issues such as a 'early adopter' in diffusion of innovation theory. The 'pursuit of trend type' is showed a character related self-display. While 'work related type' is not matched with any existing early adopter typ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