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국방송사(史)에 있어서 종교방송에 대한 역사적 고찰 : 극동방송을 중심으로

A Historical Study on the Role and Status of Religious Broadcasting in Korea : Focusing on FEBC-Korea (Far East Broadcasting Company-Korea)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케이션학 분야에서 기존 방송사에 관한 많은 연구들 중에서 종교방송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고, 지상파 방송사들에게 연구가 집중되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착안 하여 한국방송사(史)에서 종교방송이 어떠한 역사적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고, 종교방송의 역사 속에서 극동방송의 위상과 역할은 무엇인지를 역사적 접근 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또한 이를 통해 향후 극동방송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한국방송사에 있어서 종교방송의 형성 과정을 역사적인 접근 방법을 통해 이론적으로 살펴보고, 둘째 그러한 형성과정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주요 분석대상으로써 극동방송의 설립목적과 역할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종교방송으로써 극동방송이 지향해야 할 점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연구흐름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한국방송사(史)에서 종교방송은 어떠한 역사적 과정을 거쳐 형 성되어 왔는가? 연구문제 2. 종교방송의 역사 속에서 극동방송의 위상과 역할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극동방송은 종교방송으로서 향후 지향점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문제에 대한 이론적 논의 및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문제에 대한 각각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종교방송의 형성은 한국의 방송문화를 성립시킨 환경적 요소가 일반방송과 마찬가지로 시대적배경과 정치적 여건이 결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외래의 방송문화 역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환경이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당시 종교방송의 출발은 향후 민영방송의 시작과 맞닿아 있다는 점이 의미를 갖는다. 둘째, 종교방송은 일반방송사와는 다른 각각의 목적과 정체성을 바탕으로 설립되었다. 종교방송의 목적은 교회 및 신도들 사이의 내부적 통신과 통합, 유대이며, 또한 일반들 즉 교회 밖의 일반인(이교도)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고 교양, 오락, 담소,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이들을 교화 설득하여 동의와 동조를 얻어내는 것이다. 극동방송은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는 기본적인 종교방송으로서의 활동 뿐 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공산주의 및 사회주의 국가에 선교활동을 하였고, 이를 달성하였다는 점이 위상과 역할에 있어 두드러진 차이점이다. 셋째, 이제 극동방송은 새로운 종교방송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위상정립을 필요로 하며, 이와 더불어 기존의 선교활동을 더욱 전문적으로 구체화시킬 수 있는 전문편성전략이 요구되며, 재정적 문제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내부조직 개선과 함께 지역 방송사와의 네트워크 협력을 통한 양질의 콘텐츠 제작역량을 키워야 할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는 종교방송의 역사에 있어 극동방송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그러나 종교방송 관련 선행연구들의 부족으로 인해서 총체적인 관점에서의 종교방송을 살펴보지 못한 점, 다른 종교방송들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비교 고찰하지 못한 점, 그리고 시대 상황별 언론의 종교방송에 대한 담론분석을 하지 못함으로 인해 실증적인 검증이 미비했다. 하지만 역사적인 접근 방법을 통해서 종교방송의 형성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일반청취자와 종교인청취자 사이에서의 방송 역할과 운용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 즉 현재의 변화되고 있는 사회 환경 속에서 종교방송의 역할과 위상을 되짚어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다고 판단된다.

more

초록/요약

Prior researches have focused on major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ies; this study builds on prior work by examining how the religious broadcasting company was developed in Korea broadcating company history. It also focuses on the role and status of FEBC-Korea in historical context. Further, the future of FECB-Korea is suggested. With this purpose, the research proces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religious broadcasting in Korea theoretically. Second, the role and purpose of religious broadcasting is analyzed. Finally, it draws the final goal for FEBC-Korea in the future. In this flow,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drew. RQ1. How the religious broadcasting was developed in history of Korea broadcasting companies? RQ2. What is the role and status of FEBC-Korea in history of religious broadcasting? RQ3. What is the final goal of FEBC ?Korea in the future? Using theoretical discussions and resources derives conclusions on each research questions. First, the formation of religious broadcasting company was affected by political factors and background at that time as well as general broadcasting companies. Also, foreign broadcasting culture was another important environment. It has a special meaning in that the starting point of religious broadcasting companies come in touch with the beginning of private broadcasting companies. Second, religious broadcasting company was established with purpose and identity different from general broadcasting companies. The purpose of it is to unify and to communicate between folks in church, to deliver messages to non-Christians and to gain consent from people by providing education, entertainment and topics. FEBC-Korea did not performed basic functions as a religious broadcasting company only, but also mission in communist countries and socialism countries. Third, FEBC-Korea needs to be newly positioned to cope with the changes around environment. Furthermore, it needs professional programme strategies to elaborate their mission works. Moreover, it has to promote contents making capacity by network cooperating with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and by improving internal organization at the same time. Although this study examined the religious broadcasting company by focusing on FEBC-Korea , it has limitation. First of all, it couldn?t be covered with whole perspective because of the lack of prior researches on religious broadcasting corporation. And it lacks comparison with other religious broadcasting companies. Finally, it was incomplete to examine empirically because it didn?t analyze discourse of religious broadcasting. However, it is a meaningful work because it deals with the formation process of religious broadcasting companies with historical approach, also it suggests a fundamental questions such as how can manage the broadcasting company between general listeners and religious people. In other words, it gives a chance to evaluate the role and status of religious broadcasting companies toda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