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수 이성개념 연역은 실패하였는가
초록/요약
본 논문에서는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중 초월적 이념의 연역에 대해 다룬다. 초월적 이념의 연역이란 영혼·세계·신으로 대변되는 세 가지의 초월적 이념의 객관적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부분은 현재까지의 칸트 연구에서 그리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초월적 이념의 연역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에 반대하여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논의를 전개한다. 우선 칸트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초월적 이념의 연역과 관련된 논지 전개를 긍정적인 방향에서 검토한다. 필자는 범주의 연역과 마찬가지로 이념의 연역 역시 `형이상학적 연역'과 `초월적 연역'의 두 가지 과정을 거쳐 진행된다고 해석하며, 각각의 연역은 칸트 철학의 전체적인 구성 속에서 유기적으로 얽혀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한다. 그와 같은 이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초월적 이념의 연역과 관련되어 영미권과 국내에서 발행된 2차 문헌들을 검토한다. 월쉬(Walsch, W. H.), 스트로슨(Strawson, P. F.), 켐프 스미스(Kemp Smith, Norman), 피핀(Pippen, Robert B.), 키쳐(Kitcher, Patricia) 등은 초월적 이념의 연역에 대해 비판적인 해석론을 전개하였다. 반면 레셔(Rescher, Nicholas), 그리어(Grier, Michelle), 강영안은 초월적 이념의 연역에 대해 우호적인 해석론을 편다. 이 논문의 두 번째 목적은 이러한 해석론들의 특성과 장·단점을 고루 살펴보는 것이다.
more초록/요약
This paper's main theme is the deduction of the transcendental ideas. With the deduction, Kant confirmed the objective validity of the three ideas, which are Soul, World, and God. But till now, this part of the first Critique was not dealt seriously by Kant scholars. This paper is against to the general reading of the deduction of the transcendental ideas. First, Kant's own words are examined in a positive way. I guess the deduction of the ideas is the sum of two deductions, which are `metaphysical' and `transcendental', as of the categories. And each of them is entangled with Kant's whole philosophy as an organism. Second, secondary papers which published in the U.S., the U.K., and South Korea are examined. The opponent of the deductions are W.H. Walsh, P.F. Starwson, Norman Kemp Smith, Robert B. Pippin, and Patricia Kitcher. The advocates of the deductions are Nicholas Rescher, Michelle Grier, and Young-ahn Kang. This review's aim is to make a wide view of the secondari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