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이행소송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행정소송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obligation performance lawsuit
- 주제(키워드) 의무이행소송제도 , 행정소송법 개정안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지도교수 홍성방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공공정책대학원 행정·법무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187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현대국가는 날로 복잡화, 전문화, 종합화되면서 적극적 행정기능이 확대되고 행정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행정청의 위법한 거부처분 및 부작위에 대한 개인의 권익구제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러나 현행 행정소송법에 이르기까지 의무이행소송은 도입되지 못하고 있다. 의무이행소송 부재를 보완하기 위하여 거부처분 취소소송과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이 이용되고 있으나 권익구제의 공백을 메우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의무이행소송 도입을 위해 학계와 법조계에서는 꾸준히 의무이행소송 도입을 주장하고 있으나 판례는 부정적인 입장이다. 법무부와 대법원에서 제기된 행정소송법 개정안 중 의무이행소송제도는 독일의 행정법원법을 모델로 삼으며 최근에 개정된 일본의 의무이행소송제도를 참고로 삼아 개정안을 만들었다. 독일의 의무이행소송은 이행성격을 가지며 행정행위의 거부 또는 방치로 인하여 자신의 권리가 침해되었음을 주장하는 자가 행정행위의 발급을 구하는 소송이다. 독일의 의무이행소송은 거부소송과 부작위소송, 지령소송과 집행소송으로 나뉜다. 의무이행소송의 대상은 행정행위와 선행된 거부행위이며 원고적격이 있는 자가 제기하며 행정행위 발급명령 또는 재결정명령판결을 받게 된다. 그 판단의 기준시점은 사실심변론 종결시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우리나라 행정소송법 구조와 독일의 행정법원법의 구조가 다르고 의무이행소송 대상도 우리나라가 더 포괄적이다. 판단기준시점도 독일의 경우에는 사실심변론 종결시로 보기 때문에 사정변경에 대한 행정청의 선결권 박탈문제도 생길 수 있다. 독일 행정법원법만으로는 우리나라 특징에 맞고 효율적인 의무이행소송제도를 만들기에 부족하므로 독일과 보완적인 특징을 지닌 프랑스, 독일 행정법원법을 바탕으로 2004년 5월에 행정사건소송법을 개정한 일본, 대륙법계와는 다른 영미법계의 특징을 지닌 미국을 비교 고찰해보면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의무이행소송제도의 특징을 정립하는 것도 의미 있다고 생각한다. 프랑스와 독일의 의무이행소송은 서로 보완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다. 프랑스의 의무이행소송은 객관적이며 확인판결의 성격을 지니고 소익의 판단기준시를 제소시로 두어 행정소송의 이념을 가장 충실하게 실천하고 있다. 일본의 의무이행소송은 항고소송의 유형에 새로이 의무이행소송과 예방적 금지소송을 도입하였고 항고소송에 관한 가처분에 해당하는 임시의무이행명령 및 임시금지명령제도를 도입하였다. 대륙법계와 다른 영미법계의 특징을 지닌 미국의 의무이행소송인 대권영장과 중지명령, 확인판결에 대해 알아보고 비교해보는 것도 우리나라 의무이행소송 제도의 도입과 발전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우리나라 행정소송법 개정안 중 의무이행소송의 도입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의무이행소송의 개념, 분류, 소송 대상, 원고적격, 제소기간, 의무이행판결과 의무이행판결의 효력, 판결의 집행, 임시적 권리구제로서의 가처분에 대한 개정안의 내용과 개정안의 해석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의무이행소송이 도입될 경우 행정소송법의 변화와 실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들을 예상해본다. 본안을 심사함에 있어서는 적극적인 직권심리를 통해 국민의 권익구제와 소송 경제적 이익, 행정청의 선결권 문제를 고려하여 국민들이 원하는 효과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의무이행소송 제도가 자리 잡아 국민권익구제에 효율적인 제도가 될 수 있도록 학계와 법조계, 실무계의 꾸준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As the modern states become more complicated, sophisticated and comprehensive, the active administrative function expands and it takes an extended effect on individuals. Accordingly, it is important to ensure individual's effectiveness of rights and interests relief. However, obligation performance lawsuit hasn't been introduced in the current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so far. To supplement of this absence, refusal revocation litigation and nonperformance illegality verification litigation are used, but it is not sufficient to fill the gap. Thus, academics and legal groups argue to introduce it, but precedent cases were negative. Among the draft revision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law by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Supreme Court, obligation performance lawsuit is modelled by German administration law, and the draft revision is referenced by obligation performance lawsuit of Japan. Obligation performance lawsuit of Germany is a lawsuit of a person arguing his/her rights are violated due to the refusal or negligence of administrative action even though it is to be observed. This divides into refusal litigation, nonperformance litigation, command litigation and enforcement litigation. The targets of this lawsuit are administrative actions and preceded refusal action. This can be raised by a person who has a right of plaintiff, and administrative issuing instruction or re-decision instruction judgement is to be made. The standard point of the judgement is the completion point of the trial court. However, lawsuit structure in Korea is different to that of Germany, and the object of obligation performance lawsuit is more comprehensive. As the standard point of the judgement is the completion point of the trial court in Germany, the deprivation of predetermining rights of the administrative body can be aroused in case. As the German lawsuit is not exhaustive to adapt, it is meaningful to have a comparative study to establish obligation performance lawsuit fitting for the situation of Korea by referring to diverse lawsuits in countries including the case of France which is complimentary to that of Germany, and Japan's case that revises litigation law in May 2004 based on the German law, and the law of the US that has different features to the continental law system. Obligation performance lawsuit of France and Germany is complimentary to each other. Lawsuit of France is more objective and focuses on verification judgement. It embodies the ideal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the most faithfully by appointing the standard point of judgement of lawsuit profit at the time of instituting. Japan introduces new obligation performance lawsuit and preventive prohibition lawsuit in the appeal litigation categories, and also initiate provisional obligation performance lawsuit and provisional prohibition instruction system equivalent to provisional disposition in the appeal litigation. Different to the continental law system, the US obligational performance lawsuit characterized as writs, suspension instruction and verification judgement is recommended to study for an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obligational performance lawsuit in Korea. Now, the prospect of introduction of obligational performance lawsuit can be conjectured. The concept, division, the object of lawsuit, plaintiff, duration of instituting, obligational performance lawsuit judgement and impact, execution of the judgement, provisional right relief will be discussed. And given its introduction, the diverse cases can be examined in the administrative lawsuit and practical matters. It must lead to an effective conclusion that people want to achieve by adapting active authoritative inquiries as to right and interests relief of people, economic profit through lawsuit, predetermining authority of the administrative body. And the academics, legal groups and practical groups are required to do the best to make obligational performance lawsuit to be the most effective system in people's right and interest relief.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