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콘텐츠 OSMU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 연구 : 원천콘텐츠 ‘바리공주’의 영상매체전환 과정 고찰을 중심으로
A Study on Cultural Contents OSMU Scenario Development Process : Focusing on the study of visual media transition of source contents ‘Princess Bari’
- 주제(키워드) 문화콘텐츠 시나리오 , 매체전환 , OSMU 스토리텔링 , 바리공주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 지도교수 변동현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영상대학원 영상미디어
- 파일정보 pdf 파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180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논문은 문화콘텐츠의 산업 영역 중에서 특히 문화영상예술산업과 결부된 OSMU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 문화콘텐츠 제작 현장에서 일선의 기성 작가들이 OSMU를 전제로 한 시나리오 개발에 관해 활용하고 있는 실질적인 제작 방법론은 거의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측면에서 성공적인 OSMU 콘텐츠의 어필요소나 개발과정, 그리고 매체전환에 따라 스토리가 변형되는 양태까지 살펴보고 실제 제작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이론적 제작 방법론을 모색해보는 작업은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OSMU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를 연구하기 위해 먼저 OSMU의 개념과 특성, 전략의 유형과 실행, 파급효과 및 국내외 현황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OSMU 시나리오 구성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개발의 OSMU의 원천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표층구조와 서사구조, 그리고 전달하려는 핵심문화코드인 심층구조를 파악했다. 그리고 원천 콘텐츠 분석과 검증의 단계로서 A.J. Greimas의 의미생성모델의 개념을 살펴보고 OSMU 스토리텔링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했다. 다음으로 실제 OSMU를 위한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의 과정으로 원천콘텐츠의 영상 매체전환 과정을 살펴보았다. OSMU에서 가장 많은 시행착오를 겪는 매체 전환 시 염두에 두어야할 전제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OSMU를 주도하는 메이저 매체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TV와 영화 매체에 한정지어 그 특성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먼저 각 매체의 특성을 기술하고 이를 토대로 영상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화요인을 윤리적 측면, 제작
‧ 수용 환경적 측면, 사회 ‧ 문화적 측면, 상업적 측면, 기술적 측면, 작가적 측면의 6가지로 분류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했다. 그리고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작성한 OSMU형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의 적용을 미국에서 대중화되어있는 디지털 서사 창작 도구 ‘드라마티카 프로’가 스토리 작성에 필수적인 질문을 단계별로 사용자(작가)에게 물어보면 사용자는 그 질문에 기술하거나 주어진 응답 중에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시나리오를 개발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고의 문화콘텐츠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를 수립했다. 선행 연구를 토대로 정립한 문화콘텐츠 OSMU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1단계는 원천 콘텐츠의 개발단계로 시나리오 개발 초기부터 성공적인 OSMU를 위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과를 토대로 원천 콘텐츠를 선정한다. 2단계에서는 선정한 원천 콘텐츠를 의미생성모델의 틀로 분석하고 OSMU 성공을 위한 스토리텔링 전략을 통해 원천콘텐츠의 개발 시 부족한 부분을 선행 점검 ‧ 보완한다. 3단계에서는 4가지 문화콘텐츠 시나리오 창작유형 중 원천콘텐츠 가공에 적합한 유형을 선택하고 스토리텔링 구성 전략 요소를 개발한 뒤 4단계에서는 원천 콘텐츠의 스토리 강화 측면에서 스토리 구조의 개발과 캐릭터의 개발을 실시한다. 5단계에서는 매체 전환할 매체를 선택하고 원천콘텐츠의 매체 특성을 고려한 스토리텔링 전략을 수립한 뒤 6단계에서는 시나리오 개발 기획안을 작성하고 검증함으로써 시나리오 집필을 위한 모든 준비단계를 마친다. 마지막으로 7단계에서는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선행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수립한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를 연구자의 프로젝트 개발에 적용해 그 실용성에 대한 검증을 시도했다. 본고의 시도가 일반적 방법론의 차원으로 격상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텍스트에 대한 고찰을 통해 검증되어야 할 것이라는 한계는 있지만, 본고에서의 유목인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고찰이 단순한 이론적 논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문화영상예술산업과 결부된 시나리오 개발 중 특히 메이저 플랫폼인 영화와 드라마에 관련한 프로세스 수립 전략의 일환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 싶다. 영화와 TV드라마가 아닌 타 매체로서의 전환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 프로세스 연구는 후행 연구의 몫으로 남아있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is about OSMU(One Source Multi Use) scenario development process related to the cultural media art industry among industrial areas of cultural content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re is no practical manufacturing method that well-known writers utilize for OSMU-based scenario development in the actual site manufacturing cultural contents. Due to that reason, it is meaningful to seek for theoretical manufacturing methods that are usefully applied to the practical creation by looking into the aspects of stories changed by successful appeal factors of OSMU, the development process, and media transi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precedent study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OSMU, types and performance of strategies, distribution effects, and domestic and foreign situa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OSMU scenario development process. To establish OSMU scenario construction strategy, the study looked at a surface structure, a narrative structure, and an in-depth structure which is a key culture code that source contents of OSMU in development have. In addition, it examined the concept of A.J. Greimas’s model of significance as the analysis of source contents and the process of verification, and analyzed the precedent study on OSMU storytelling. Next, it looked at the transition of visual media of source contents as a process of scenario development for actual OSMU. In order to analyze prerequisites for transition n of the media with the most trials and errors among OSMU, the study limited the target to high value added TV, films, and theme part attractions and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To this end, it described characteristics of each media and based on it analyzed the precedent study by dividing the causes of changes in the imaging process into six aspects such as the ethical aspect, the environmental aspect of manufacture and acceptance, and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 and the commercial aspect, and the technical aspect, and the authorial aspect. Moreover, this study established the cultural contents scenario development process by considering that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OSMU-type scenario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precedent studies, if a popularized digital narrative creative tool, ‘Dramatica pro’ asks users(author) questions necessary for story-making step by step, the users describe the questions or choose the given answers to develop safe and effective scenarios. The scenario development process of cultural contents OSMU based on the precedent study is as follows. As the development stage of source contents, the first stage selects source contests based on findings of the precedent study for successful OSMU from the beginning of scenario development. The second stage analyzes the selected source contents by using a frame of the model of significance, and inspects and complements insufficiency in developing source contents through storytelling strategies for successful OSMU. The third stage chooses the type suitable to the source contents processing among four creation types of cultural contents scenario and develops factors of storytelling construction strategies. The fourth stage develops characters and the story structure to strengthen the story of source contents. The fifth stage establishes storytelling strategies considering media characteristics of source contents. The sixth stage completes all preparations for scenario writing by making and verifying a scenario development proposal. Lastly, the seventh stage writes a scenario. This study applied the scenario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the precedent literary study to the researcher’s project developmen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o improve this study as a general methodology, the study should examine more texts to verify. However,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on the scenario development process is not merely theoretical discussion, but this study can be partially used as the strategies of the process about TV, dramas, and theme park attractions that are the major platform among scenario developments related to the cultural media art industry. The follow-up study is left to analyze scenario development process for the media transition into other platforms instead of movies, TV dramas, and theme park attraction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