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UCC 사용자의 내재적 보상이 집단지성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UCC 사용경험은 어떻게 집단지성으로 발현되는가?

Study on the Effect of UCC Users' Intrinsic Rewards on Revel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 How does UCC experience manifest as collective intelligence?

초록/요약

본 연구는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 참여자들의 내재적 특성과 행동이 어떻게 집단지성으로 발현되는지 그 경로를 규명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웹 2.0 시대의 멀티미디어 수용자들은 콘텐츠의 생산자인 동시에 소비자이며 개방과 참여, 공유라는 위키피디아 정신을 수용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여론을 주도하고 있다. 이미, 많은 학자들이 이를 두고 ‘집단지성’의 출현이라 일컬으며 예견을 해온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경로로 이것이 가능한지를 규명하고자 심리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특히, ‘UCC 사용경험은 어떻게 집단지성으로 발현되는가?’ 하는 문제는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나타난 광장 촛불 집회와 집단여론의 형성 원인을 해석할 수 있는 귀중한 단초가 될 것이라는 의미에 무게를 두었다. 이를 위해, UCC 사용자는 UCC를 제작함에 있어 어떤 보상적 태도에 더 끌리는지를 UCC 사용자의 심리학적 태도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즉, UCC 사용자들의 제작 참여 동기와 선택요인, 이용심리를 살펴봄으로써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는 어떤 요인에 의해 제작으로 이어지는지 규명해 보는 작업과 어떻게 집단지성으로 이어지는지 경로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의를 풀어가는 데 있어 먼저 미디어 사용자들의 심리학적 기제를 알아보고자 2단계의 연구과정을 진행하였다. 먼저, 예비연구 단계에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라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가장 대표적인 심리적 요인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UCC 사용자가 UCC에 참여하는 가장 큰 내재적 보상 요인이자 동기강화 요인은 자기표현 욕구과 사회교류 욕구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단계에서는 FGI 예비연구를 통해 확인된 UCC 사용자의 내재적 동기 강화 요인과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측정요인을 적용하여 설문 및 구조 모형을 만든 후 사전조사와 본 조사로 나누어 설문을 실시하였다. 사전 예비설문을 실시한 것은 설문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함이었으며 이것은 본 조사에서 설문 실시와 통계처리를 하기 위해 꼭 필요한 사전작업이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선택한 통계처리는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으로써 이는 심리적 기제와 행동 및 인지-태도-행동의 구조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잠재변수뿐 만 아니라 개별 항목으로 된 측정변수만으로도 분석을 할 수 있으므로 회귀분석과 같은 다 변량 분석기법에 비해 유연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UCC 사용자의 내재적 동기 요인이나 질문 항목에서 자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이미지 요소들을 포괄적으로 수용하여 측정해 내는 데 매우 유용한 탄력성을 지닌 통계기법이다. 이것은 본 연구를 통하여 UCC 사용자의 어떤 요인이 집단지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지 설명하여 주는 예측력의 단초가 된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에 사용된 구조모형을 검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내재적 보상과 창의성의 관계를 검증해 보면 자기표현 욕구가 크면 기술 사용성이나 콘텐츠의 창의성 추구를 통한 개인 창의성이 커지는 반면, 사회교류 욕구는 기술 사용성을 통한 개인 창의성 향상에는 별 영향이 없어도 콘텐츠 창의성 향상을 통한 개인 창의성 향상에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교류를 통해 보다 전문화(분업화)가 가능하므로 이것이 개인 창의성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개인의 자기표현 욕구나 사회교류 욕구가 크면 그룹 창의성에 영향을 미쳐 집단의 창의성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UCC 사용자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기대는 UCC 사용에 대한 사회적 동기를 강화시키는 요인인데, 이 사회적 역할에 대한 욕구가 크면 기술 사용성이나 콘텐츠 창의성 추구를 통한 개인의 창의성이 좋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사회적 자기확인에 대한 기대는 굳이 기술 사용성에 의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콘텐츠 창의성 추구를 통한 개인 창의성에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UCC 사용자들의 UCC 참여에 대한 사회적 자기확인 욕구는 기술적 사용보다 콘텐츠 자체의 창의성을 추구함으로써 스스로의 기대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또한, UCC 사용자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기대나 사회적 자기확인에 대한 기대가 크면 그룹창의성의 극대화를 통한 집단 창의성에 영향을 미친다. 그렇다면,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인 UCC 사용자의 내재적 요인과 사회적 이슈, 집단지성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먼저, 개인적 창의성의 요인인 기술 사용성이나 콘텐츠 창의성 추구는 사회문제를 소재화 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개인의 기술 사용성이 매체뉴스를 소재화하는 것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특이한 것은 개인적으로 콘텐츠 창의성을 추구하는 개인은 매체뉴스 소재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집단 내에서의 그룹 창의성은 사회문제의 소재화나 매체뉴스의 소재화 모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이 아닌 집단의 경우, 다수의 의견을 반영하기에 소재의 다양성 측면에서 더 강한 유혹을 받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확인하고자 한 것은 UCC 사용자들이 어떻게 여론(집단지성)을 형성하는가 하는 문제이다. UCC 사용자들은 사회적 이슈를 소재로 채택하는 데 있어 강한 유혹을 받는 것으로 예비연구에서 확인된 바 있다. 그것은 그 만큼 여러 사람들의 이목을 받기 쉽고 자기표현, 사회적 역할, 사회교류 등 모든 측면에서 자신의 기대감이나 만족감이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이 경향은 UCC가 오프라인 모임으로 확장될 수 있는 기폭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설문 결과, 우리에게 그동안 UCC가 오프라인 모임으로 이어지는 군중 모임의 경로를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확인해 본 결과, UCC 사용자의 사회문제에 대한 소재화나 매체뉴스에 대한 소재화 욕구는 여론 다양성(여론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할 만한 사실은 UCC 사용자가 선택한 UCC의 소재 중에 사회문제의 소재화는 공론장 확인(분산화, 통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매체뉴스를 소재화 한 경우, 공론장 확인(분산화, 통합)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UCC 사용자가 개인적 판단으로 선택한 사회적 이슈(사회적 문제)보다는 매체 뉴스를 통해 반향을 일으킨 소재가 여론의 분산화와 통합을 통한 공론화에 더 유리하다고 판단한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를 통한 일련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미디어 기술의 발달이 미디어 사용자들로 하여금 생산·소비자의 역할을 가능하게 하였고, 웹 2.0의 인터넷 기반은 개방과 참여라는 새로운 미디어 군중을 양산하였으며, 이들은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 여론을 생산해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어쩌면 UCC를 통한 집단지성의 출현은 지극히 자연스럽기까지 하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 사용자들의 심리와 행동 특성을 이해하고 건전한 여론 형성을 위한 콘텐츠 개발과 방송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way of revelation of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User Created Contents (UCC) creating participants as collective intelligence. To the Web 2.0 generation, multimedia users are producers and consumers at the same time and leading public opinion both online and offline by accepting, so called "the spirit of Wikipedia": openness, participation, and sharing. Scholars have anticipated the appeara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is study takes a psychological approach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appeara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bove all, this study primarily focuses on "how UCC experience affects collective intelligence of society," which can be a valuable start to analyze the reason for the formation of shared voice and candlelight protest that appeared in our society. For that reason, how the rewards of creating UCC attract UCC users is examined in psychological perspectives. In other words, motives, choice factors and psychology of UCC users are evaluated to closely verify what factors encourage UCC users to begin their UCC production and how such production leads to the collective intelligence. For this purpose, two-leveled research is conducted to examine the psychology of UCC users. First, the most representative psychological factor is verified in preparatory research process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alled focus group interview (FGI). The research found that desire for self expression and social communic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intrinsic reward of participating UCC creation for UCC users. In the next stage, survey and structural models are established by applying intrinsic motive-strengthening factors that have been verified by FGIs and by using measuring factors confirmed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two-pronged surveys are carried out: preparatory survey and main survey. Preparatory survey is to secure validity and reliance of the survey itself through analyzing factors, and is necessary for the research to perform a statistical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 enables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base, behavior, and cognition-attitude-behavior structure at once as well as flexible measurement than multiple variable analysis techniques such as regression analysis. Therefore, the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 is very useful to observe the intrinsic motive factors and images in the questionnaire, and thus comprehensively reflect and analyze such variables. In this study, the analyzing technique is a starting point to explain what factors of UCC users are led to collective intelligence.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verification of structural model that is utilized in the study. First of all,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rewards, creativity grows stronger with an increase of the desire for self expression, through the use of techniques and pursuit of professionalism, while desire for social communication improves creativity not through the use of techniques but through the pursuit of professionalism. This may be construed that social communication affects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since it enables specialization. Another finding is that strong desire of self expression and social communication promotes collective imagination through interaction. Users' desire for social status strengthens social motives for UCC creation and thus improves individual creativity through the use of techniques and pursuit of professionalism when the desire is strong enough. Expectations of social self identification, however, appear not to depend on the use of techniques but affect individual's creativity through the pursuit of professionalism. Namely, users' desire of self social identification through UCC creation is satisfied by pursuing professionalism rather than the use of techniques. Moreover, users' high expectation of social status and self identification affect creativity of collective groups through interaction. Then, how can the relationship among users' intrinsic factors, social issues, and collective intelligence be defined? First of all, the technique use and pursuit of professionalism, which are individual creativity factors, appears to affect users' choice of social issues as subjects.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personal technique deems not to affect the choice of social issues as subjects. One unusual fact is that those individuals who pursuit professionalism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selection of media news. On the other hand, interaction, the creativity factor in groups, is identified to be affected by both social issues and media news when selecting the subjects. It is construed that a group is more lured to find various subjects than individuals, reflecting wider perspectives of its members. The last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how UCC users form public voices or collective intelligence. The fact that UCC users appear to have strong temptation to utilize social issues as a subject of their UCC is confirmed through preparatory research. The reason is that the social issues attract more attention from other people and maximize their expectations and satisfaction in all aspects including self expression, social status, and social communication. Such tendency may render an initial explosive to expand the scope of UCC to offline gatherings. Therefore, the survey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serve as a framework to study the process of the expansion of UCC to offline gatherings in the past. The survey found that users' desire for the use of social issues and media news did hav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A noticeable fact is that the use of media news as a subject of UCC affects the verification of public opinion in both dispersion and unification, while the use of social issue as a subject fails to.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ubject causing sensation through media news rather than social issue selected by UCC users' individual judgment is more favorable to establish public opinion through dispersion and unification.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has enabled media users to become both producers and consumers, and the Web 2.0 based internet has produced new media crowd with openness and participation, then the crowd created public opinion through new form of media. In a sense, the appeara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rough UCC may be taken for granted. Thereupon, now is the time to develop contents and broadcasting strategy based o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psychology and behavior of media users in order to form healthy public opin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