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프랜차이즈 복수지배구조 하에서 직영비율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초록/요약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ransaction Cost Theory, Agency Theory, and Strategic viewpoi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hannel integration in the franchise governance structure. For this purpose, I suggested the concept of the proportion of company-owned outlets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review. I developed the academic base for studies of governance structure. And so, I reviewed and applied Transaction Cost Theory and Agency Theory in order to explain the antecedents of the proportion of company-owned outlets in franchise plural governance. This lead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plural governance in franchise system. Finally, based on consequences of this research, I suggeste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headquarters of franchise system which have been making strategic decisions for developing company-owned outlets. For the purpose of these research goals, seven hypotheses were drawn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To verify those hypotheses, 93 data from franchise system which represented plural governance structure were collected as samples, the data were tested by reliability test, validity test, group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 found the proportion of company-owned outlets will be higher as demand volatility is higher, the hypothesis that the proportion of company-owned outlets will be lower as market environmental diversity is higher, is not supported, and so, the hypothesis that the proportion of company-owned outlets will be higher as environmental munificence is higher, is not supported. Second, the hypothesis that the proportion of company-owned outlets will be higher as transaction specific investment is higher, is supported. Third, the hypothesis that the proportion of company-owned outlets will be higher as information asymmetry is higher, is not supported. Fourth, the hypothesis that the proportion of company-owned outlets will be higher as sales volume is higher, is not supported. Fifth, the hypothesis that the proportion of company-owned outlets will be higher as new product launching activities is higher, is supported. And franchise experience and total asset as control variables are not significant. But total number of outlets as a control variable significantly has an negative effect on the proportion of company-owned outlets. The overall implications to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presented, and limits and future study direction were discussed as a final.

more

초록/요약

본 연구는 거래비용이론, 대리인이론, 전략적 관점을 바탕으로 프랜차이즈 복수지배구조 하에서 채널통합의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직영비율의 개념을 도입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향후 지배구조 연구에 응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프랜차이즈 복수지배구조 하에서 직영비율의 영향요인을 설명하기 위해서 거래비용이론, 대리인이론을 검토하고 적용하여 프랜차이즈 복수지배구조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프랜차이즈 복수지배구조 하에서 직영점 개설에 대한 전략적 의사결정을 하는 프랜차이즈 가맹본부들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가설을 도출하였다. 복수지배구조 형태를 띠고 있는 국내 프랜차이즈 가맹본부 93개를 대상으로 신뢰성 검증, 타당성 검증, 집단간 차이 분석, 상관관계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다. 이로부터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요변동성이 높을수록, 직영비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장 환경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직영비율은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고, 환경의 풍요성이 높을수록 직영비율은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둘째, 거래특유투자가 높을수록 직영비율은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셋째, 정보 비대칭성이 높을수록 직영비율은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넷째, 매출액이 클수록 직영비율은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고, 신상품 출시 활동이 활발할수록 직영비율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제변수로서 사용된 가맹사업년수는 직영비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총자산 변수 또한 직영비율에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총점포수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직영비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