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 사회복지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폭력의 심각성, 대처기술,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a Client Violence Experienced Social Worker's Post Traumatic Stress : Focused on Severity of Violence, Coping skills, and Social Support

초록/요약

최근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폭력에 노출되어 있고 이와 더불어 클라이언트 중심서비스, 바우처 제도 등의 확산으로 인해 클라이언트가 보호의 대상으로 간주되기 보다는 위협의 존재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의 폭력을 경험한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정신건강 중 외상 후 스트레스에 초점을 두고 폭력의 심각성, 대처기술,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문가의 정신건강의 보호요인 강화,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한 안전한 업무환경 조성,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사회복지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예방을 위한 소중한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소재 종합사회복지관(95개소)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 중 클라이언트 폭력 유경험자를 대상으로 우편 및 배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5개소(36.8%) 기관 160명의 응답 및 회수를 통해 조사연구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 폭력의 심각성 수준과 사회복지사의 역기능적 대처 수준이 높을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년 이상 숙련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폭력을 경험한 남성 사회복지사 보다는 여성 사회복지사가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한 지속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클라이언트의 폭력에 대한 전문 상담시스템 구축, 클라이언트 폭력 예방을 위한 실천 전략 수립, 실천기관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안전 프로그램 및 정책 마련, 이를 위한 학계와 실천현장 간 상호협력방안의 시급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기술하였다.

more

초록/요약

Social workers in a recent social welfare practicing filed are exposed to a clients violence.In addition, clients tend to be considered as a threat rather than a target of protection due to the spread of client-oriented service, voucher system, and so on. This study focused on mental health, a post traumatic stress, of a social worker in region social welfare center who experienced clients violence.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violence severity, coping skill, and social support on stress.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e study tried to arrange valuable measures, such as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mental health protecting factor reinforcement, safe work environments creation against client violence, and social workers post traumatic stress prevention from client violence experience. Among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located in Seoul (95 institutions), survey was conducted on subjects who experienced client violence.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otal 35 institutions (36.8%) 160 peoples response and collection. As the result, the higher violence severity and adverse effect coping skill gave greater effect on post traumatic stress. Also, social worker trained for more than 6 years and male social workers who experienced client violence had higher post traumatic stress than female social workers. So, this study provided continuous research on client violence, professional consultation system establishment, practical strategy establishment for client violence prevention, safety program and policy arrangements through network between practical institutions, and urgent need of mutual cooperation measures between academic and actual field. Finally, this studys limitations are describ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