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과학적 교조주의(scientific dogmatism)의 재생산 과정 : 경제학과의 경우

The Reproduction Process of Scientific Dogmatism : A Case Study of the Economics Department

초록/요약

이 논문은 과학적 교조주의를 사회화 혹은 체화하는 과정으로서의 교육 과정을 탐색한다. 과학적 교조주의는 쿤이 제시한 과학 이미지의 핵심적인 작동기제로, “훈련 과정에 뿌리를 두고 있는 공동체의 특징”이라고 정의된다. 그러나 정작 그 훈련 과정은 좀처럼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고는 단편적인 서술만이 남아있는 쿤의 과학 교육 과정을 정교화하려는 시도로서, 과학적 교조주의를 전수하는 분과의 교육 스타일을 밝히고자 한다. 크랜츠와 위긴스의 연구는 이론가의 리더십 스타일과 추종자 모집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면서 쿤의 연구에서 공백으로 남은 미시적 교육 과정에 천착했다고 할 수 있지만, 이는 리더십 스타일을 이론가의 인격, 즉 개인의 특성으로 환원한 심리학적 연구에 가깝다. 이와 달리, 보다 사회학적인 연구를 목표로 하는 본고는 분과 단위의 집합적 특징에 주목, 교육 스타일을 자기 이론이 아닌 ‘분과’ 공통의 지식에 대한 교수의 태도로 정의함으로써, 한 분과 내 교수들의 개별적 차이보다 공통점을 부각시킨다. 이를 더욱 극명하게 관찰하기 위해 가핑클의 위반 실험 원리를 이용하며, 미시적인 상호작용이 발생하는 구체적인 상황과 맥락, 이에 대한 행위자의 해석을 담은 인터뷰 자료들을 조각조각 잘라내고, 이 조각들을 이어붙임으로써 교육 스타일이 어떠한 것인가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키는 내러티브 콜라주의 서술 방식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접근 방식과 서술 방식에 따라, 가장 ‘과학적’인 인문사회과학으로 평가받는 경제학의 교육 과정을 기술한다.

more

초록/요약

In this thesis, I explore the process of education as a procedure for socializing or embodying scientific dogmatism. Scientific dogmatism, an essential operational mechanism in Kuhn's image of science, is defined as a "community characteristic with deep roots in the procedures through which scientists are trained for work in their profession." However, the training procedures have hardly been dealt with.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rticulate Kuhn's scientific education process of which he left only a cursory inspection, and clarifies the teaching style of disciplines transmitting scientific dogmatism. Krantz & Wiggins touched this, a micro process of training procedure, by demonstr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leadership styles of theorists(i.e. professors) and the recruitment of followers. However, their work is psychological in reducing the leadership style to the theorist's personality, an individual character. Unlike this, I aim to perform a 'sociological' study, especially focusing on collective features on a disciplinary level, and highlight the common points rather than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professors of a discipline by defining teaching style as professors' attitudes toward 'disciplinary' common knowledge, not toward his own theory. In order to observe the leadership or teaching style more clearly, theoretically, I use the principle of Garfinkel's breaching experiment. Methodologically, I also suggest as a way of description narrative collage to evoke effectively what the teaching style is by cutting the interview materials containing concrete situations and contexts, and the agents' interpretations of them into pieces and then blending the pieces together. Finally, I describe a training process of the economics department, as the most 'scientific' or 'dogmatic' amo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