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란의 구술성 연구 : 수라 79를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이슬람 , 꾸란 , 구술성 , 코란 , 꾸르안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박종구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10. 8
- 학위명 석사
- 학과 및 전공 일반대학원 종교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074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논문은 서구 이슬람학자들이 제기했던, 꾸란의 편집적 특징과 관련된 문제를 구술 문화적 측면에서 설명한다. 종교학자인 스미스(Wilfred C. Smith)가 주장한 신앙인의 입장을 존중하는 연구 태도와, 초기 무슬림들에게 구술 문화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그라함(William A. Graham)의 주장을 바탕으로, 초기 이슬람의 구술 문화적 특징이 꾸란 편집에도 고려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영문학자인 옹(Walter J. Ong)의 구술성 이론을 수라 79에 적용해서 이 주장을 뒷받침한다. 17-18세기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유럽의 학자들은 '실제로 있었던 일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역사적 문헌에 대한 객관적인 고증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슬람의 경전인 꾸란도 예외가 될 수 없었다. 서구 이슬람학자들은 꾸란에 기록된 단어의 어원이나 내용의 기원을 연구하면서 다른 문화와의 영향 관계를 밝히려고 했다. 특히, 이슬람학자들은 꾸란에서 발견되는 여러 문제를(화자의 인칭 변화, 계시의 배열 문제 등) 지적하면서, 꾸란은 인간의 불완전한 저작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서구학자들은 꾸란을 성스러운 경전이 아닌 역사적 텍스트로만 생각하고 연구했다. 물론 무슬림들도 꾸란이 텍스트로서의 역사적인 수집․ 편집 과정을 거쳤다고 믿는다. 하지만 종교 전통을 존중하는 스미스와 그라함의 주장처럼, 무슬림들에게 꾸란은 처음부터 오직 텍스트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었다. 꾸란에서도 '꾸란'을 책과 같은 텍스트로만 한정하지 않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대신 하느님의 말씀 하나 하나, 구절 자체를 꾸란으로 생각하고 그것을 자신의 입을 통해 낭송하는데 더 큰 의미를 두었다고 할 수 있다. 낭송을 중시하는 초기 무슬림의 신앙이 꾸란의 편집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이 점을 확인하기 위해 옹이 제시한 구술성의 특징을 꾸란 텍스트에 적용해서 분석한다. 이 과정을 통해 꾸란 편집에 구술 문화적 성격이 반영되었을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이 점을 증명하기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2장에서는 국내에는 잘 알려있지 않은 서구의 꾸란 연구 경향을 소개한다. 서구의 연구는 꾸란을 역사적 텍스트로 보고 '실제 있었던 사실'을 밝히는데 주력했다. 그리고 이런 연구의 보완으로서 신앙인의 믿음을 중시하는 스미스와 그라함의 연구 방법을 제시한다. 3장은 본 논문의 핵심으로서 꾸란의 편집적 특징을 다룬다. 먼저 꾸란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편집되었는지를 간략하게 살펴보고, 서구학자들이 제기하는 꾸란의 편집 문제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그들의 견해와 달리, 꾸란이 구술 문화 속에서 책이 아닌 낭송을 위한 목적으로 편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설명한다. 그 예로 낭송을 강조한 무슬림 전통을 제시하고, 그와 관련해서 꾸란에 등장하는 주요 개념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현재 무슬림의 삶 속에도 꾸란 낭송을 중시하는 전통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4장에서는 꾸란이 구술성의 토대 위에서 편집되었다는 점을 설명하기 위해 수라 79를 분석한다. 문학이론가인 옹의 구술성 이론을 적용한다. 이런 접근을 통해 서구학자들이 의문들-화자의 인칭 변화․ 특정 구절의 동어 반복․ 성서 내용의 무질서한 배치 등이 낭송 문화의 영향일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한다. 결론에서는 본론에서 다룬 내용을 정리하고, 본 논문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한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how oral tradition of the early Islam is reflected in the Qur'ān. That is, I can clearly find the oral dimension in the written Qur'ān. To explain this, I will use the theory of Wilfred C. Smith and William A. Graham. Smith takes the position that, a student of religion should pay attention to what Muslims believe and say. Graham argues that oral culture could have strongly influenced early Muslims who took part in collecting the Qur'ānic text. By following these scholars, I will argue that oral tradition of early Islam could have affected even the editing the Qur'ān. Finally, I will explain the oral aspect of the Qur'ān by analyzing Sura 79 using the theory of Walter J. Ong. The Enlightenment influenced Western scholars of the Qur'ān. They ask the question; what is it that really happened in history? As a result, they do not recognize the Qur'ān as sacred text. For them, the Qur'ān is not different from other historical sources and should therefore be studied historically. Therefore, they use philology to research on the Qur'ānic text. Some of them question especially the incoherence of the Qur'ānic structure, e.g. the change of the implied speaker or the order of the verses in the Qur'ān. For these reasons, they conclude that the Qur'ān is not Word of God but the written text by a human being. Of course, Muslim tradition recognized that the Qur'ānic texts were collected and edited by early Muslims. However, as Smith and Graham say, for the early Muslims the Qur'ān was not the only written text as today. The Qur'ān itself says that the Qur'ān is not only the written text, but also each and every revelation of Allah. Therefore, Muslims have emphasized on the reciting of the Qur'ānic verses everyday. From the Muslim faith of the Qur'ān, we can presume that the oral tradition of early Islam influenced editing the Qur'ān. To support this hypothesis, I will apply Ong's theory on orality to Sura 79. By doing so, I will argue that the oral culture could have affected the editing the Qur'ān as well. This paper has been organized as follows. In Chapter II, I will introduce the Qur'ānic studies of the West, because the Western approach is hardly known in Korea. The Western approach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 the Islamicist, who places emphasis on historical approach to Islam. The other side is that of a student of comparative religion, i.e. Smith and Graham who positively accept the sources of the faithful. This approach will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Qur'ān because various sources will be considered in studying the Qur'ān. Chapter III focuses on the structure of the Qur'ān. Firstly, we are going to review the collecting process of the Qur'ān from the Muslim tradition. Then, we will present the Islamicist’s view that the structure of the Qur'ān is incoherent. Lastly, contrary to Islmicist’s view, I will argue that the oral culture was significantly involved in editing process of the Qur'ān. Chapter IV analyzes sura 97 using Ong's theory of orality to demonstrate the oral aspect of the Qur'ān. Ong's characteristics of orally based thought and expression will be presented. By this, I will try to answer the Islamicist' s question. Finally, the conclusion will be given in Chapter V.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