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교 게임미디어교육을 위한 게임시나리오 제작 프로젝트 교수·학습 설계 :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 모형에 따른 바리데기 어드벤처 게임시나리오 제작 활동을 중심으로

Design of Project Teaching-Learning for the Production of Game Scenarios in Middle School Media Education of Games:the case of the production of game scenarios for Baridegi Adventure based on project-based learning

초록/요약

본 연구는 게임미디어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의 게임미디어능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성숙한 인격과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책임의식을 지닌 있는 구성원으로 청소년을 교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를 학교현장에서 실현하는 방법으로 ‘바리데기 어드벤처 게임시나리오 제작 프로젝트 교수․학습’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게임시나리오 제작수업의 게임미디어교육적 적용방법은 무엇인가? 둘째, 게임시나리오 제작수업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 설계에 포함될 내용은 무엇인가? 셋째, 바리데기 무가의 게임시나리오 제작 프로젝트 수업에서 교수․학습과정안은 어떻게 설계되는가? 이를 위하여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중학교의 3학년 학생 240명(남 120명, 여 120명)을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 대부분의 학생이 여가시간에 주로 RPG게임을 하며, 게임의 내용보다는 게임행위 자체에 몰입하는 경향이 많았고, 스트레스 해소와 또래집단과의 교류를 위해 게임을 향유하고 있었으며, 지나친 게임몰입 및 중독의 위험성에 대한 자각이 있었다. 교육환경은 독립된 미디어교과나 미디어교육을 위한 별도의 시간은 계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수업내용 선택에 대한 자율권이 많고 시수확보가 유용한 창의적 재량활동 중 자기주도시간에 게임미디어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은 가장 발전된 미디어의 형태 중 하나이며, 청소년의 여가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삶의 일부분이 되고 있고, 몰입과 중독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어 게임에 대한 미디어교육이 매우 필요하다. 게임시나리오는 게임을 제작하기 위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요소로, 본고에서는 전문가들을 위한 게임시나리오 제작 단계를 비교분석하여 중학생에게 알맞은 요소들만 추출하여 별도의 제작단계를 구안하였다. 둘째, 프로젝트 기반 학습 모형이란 프로젝트법을 기반으로 한 수업설계모형을 뜻하는데, 크게 프로젝트 설계와 프로젝트 수행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프로젝트 설계는 [요구분석→목표설정→평가계획수립→프로젝트 실행계획→교수자료 및 형가도구 개발]의 단계로 진행되며, 프로젝트 수행은 [프로젝트 전(준비하기)→프로젝트(주제결정하기→활동계획하기→탐구 및 표현→ 전시 및 발표)→프로젝트 후(평가하기)]의 단계로 진행된다. 이를 토대로 설계한 ‘바리데기 어드벤처 게임시나리오 프로젝트 교수․학습’의 단계별 내용을 살펴보면, 프로젝트 전 단계에서는 게임 및 게임시나리오에 대한 지식을 쌓고, 바리데기 무가의 어드벤처 게임적 요소를 분석하게 하였다. 프로젝트 단계에서는 청소년을 위한 게임시나리오 제작 단계에 따라 모둠별로 게임시나리오를 제작하고 발표하도록 하였다. 프로젝트 후 단계에서는 전체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와 결과물에 대한 시상을 하도록 하였다. 셋째, 위의 게임시나리오 제작 프로젝트 교수․학습 설계의 틀에 따라 본격적으로 바리데기 어드벤처 게임시나리오 제작 프로젝트 교수․학습을 설계하고, 총 14차시의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게임미디어교육의 필요성과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게임미디어교육의 이론적 토대와 교육내용을 마련하였으며, 학교현장에서 실현가능한 게임미디어교육 방법으로 바리데기 어드벤처 게임시나리오 제작 프로젝트 교수․학습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게임미디어교육을 위한 기초연구로, 문헌연구와 요구분석, 교수․학습 설계 및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에 중점을 두었는데, 향후 연구에 있어 본 연구에서 설계한 교수학습을 학교현장에서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야 할 것이며, 게임미디어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의 개발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project teaching-learning for the production of game scenarios for Baridegi adventure in an effort to provide media education of games for teens to improve their game literacy and grow into eligible, mature and responsible members of society.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How can school instruction for the production of game scenarios be conducted as part of media education on games? 2. What should make up project-based learning for the production of game scenarios? 3. How should project-learning lesson plans for the production of game scenarios for the shamanic song of Baridegi be design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0 middle school ninth graders in the city of Bucheon, Gyeonggi Province, who included 120 boys and 120 girls. A needs surve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ir needs, and most of the students were found to mainly play RPG games in their free time. They had a strong tendency to be immersed in playing games rather than in the content of the games, and they enjoyed playing games to get rid of stress or associate with peers. And they were aware of the hazards of excessive game immersion and game addiction. As for their opinions on educational environments, they found it advisable to receive media education about games in self-directed class, one of creative optional activities, since weren't any separate school hours for media education or media-related subjects. Concerning the strength of optional activities related to media education of games, what to teach in creative optional activities could be determined at a teacher's option, and it was easier to utilize those activities than any other classes to provide that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ames are one of the most advanced forms of media, and the adolescents spent most of their free time playing games. Games are way of life for them and characterized by a strong probability of immersion and addiction. So media education about games is mandatory. Game scenarios are one of the integral elements of game production, and the stages of game scenario production for expert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o select the elements of game scenario production appropriate for middle schoolers to design a series of separate production stages. Second, a project-based learning model refers to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a project method and was largely classified into two: project design and project performance. The project design was carried out in the procedure of needs analysis, target setting, mapping out evaluation plans, devising action plans and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evaluation tools. The project performance consisted of three stages. The first was a pre-project stage that made a preparation, and the second was a project stage composed of theme selecting, devising activity plans, inquiry/expression and display/presentation. The third was a post-project stage where evaluation was done. In the pre-project stage, the learners acquired knowledge on games and game scenarios and analyzed the adventure game-related components of the shamanic song of Baridegi. In the project stage, they produced game scenarios according to the selected production stages for youth and gave a presentation about the scenarios they made. In the post-project stage, evaluation of overall project was made, and the students who produced excellent scenarios were given a prize. Third, project teaching-learning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project teaching-learning design framework for the production of game scenarios, and then lesson plans of 14 sessions were prepared. This study attempted to discuss the necessity and method of media education about games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media education of games and for the selection of what to teach. And project teaching-learning for the production of game scenarios for Baridegi adventure was designed to provide school media education about games. This study was one of basic studies for media education of games that focused on literature review, needs analysis, teaching-learning design and the development of lesson plans. In the future, the teaching- learning design presented in this study should be applied in school instruction to verify the effect of it, and checklists of game literacy should be develop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