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민화와 문자도 : 영상매체학 석사(M.A)학위 프로덕션 북
- 주제(키워드) 민화 , 문자도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 지도교수 김명준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2
- 학위명 석사
- 학과 영상대학원 영상예술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600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1) 프로젝트 취지 조선시대후기의 민화와 문자도 특별히 관심을 갖지 않으면 한번보고 그냥 지나쳐버리는 지나간 옛것중 하나에 불과한 것일 수 있다. 소규모 박물관이나 특별전등을 통해 가끔 스쳐가듯 볼 수 있는 것이고 민화에 대해서 알고 있다고 하여도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까치와 호랑이 그림으로 기억되는 것이 전부이다. 그만큼 유명한 화가의 그림도 아니고 조선시대 후기의 이름없는 화가들에 의해 그려진 서민들에게는 집안의 장식이나 제례때에 사용하던 병풍 정도로 여겨진다. 본 기획작품은 조선 문자도란 다큐멘터리 작품은 첨단화 되고 다변화 하는 디지털 시대에 우리에게 잊혀져 있는 조선시대 서민 예술의 한 장르였던 민화와 문자도를 오늘날의 시각으로 재구성하여 당시의 무명 화가들의 예술형태나 당시의 서민들의 생활에서 민화나 문자도가 전달하고자 하였던 의미를 되새기며 변화하는 시대에 점점 사라져가고 잊혀져가는 서민과 친근했던 예술인 민화와 문자도를 영상 형식을 빌어 다큐멘터리로 재구성하여 문자도가 당시의 서민들이 전달하고자 했던 의미와 생활양식을 되돌아보고 이해하며 전문가의 조견과 인터뷰를 토대로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전달해나가는 방식의 영상기록물이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