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종교성이 노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 서울 지역 노인의 우울, 자존감, 삶의 만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tential Effects of Religious Faith on The Elderly's Life

초록/요약

본 연구는 노인의 종교성향이 노년기의 삶, 특히 우울과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하는 4개의 복지관과 3개의 경로당, 1개의 노인복지센타를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남녀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직접 면담방식을 이용하였다. 총 400부를 배포하여 360부를 회수하였고, 이 가운데 응답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의심되는 13부를 제외하고 34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가 있는 노인이 전체 347명 중 263명으로 73.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재적 종교성향이 54.20%, 내재적 종교성향이 61.73%로 내재적 종교성향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내재적인 종교성향을 가진 노인들이 외재적인 성향의 노인들 보다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종교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외재적 종교성향과 내재적 종교성향 모두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령과 건강이라는 강력한 변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론되어졌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인간의 삶에는 종교적 차원이 작용하는 것을 재확인해주고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종교성향과 관련된 사회사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향후 노인복지에 대한 종교계의 관심증대와 함께 노인복지기관과 종교기관과의 긴밀한 협력강화가 요청된다.

more

초록/요약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potential influences of the respondents' religious faith on their levels of depression, self-respects, and life satisfaction. The data for the analysis have been collected from four local welfare centers, three senior citizen centers, and one senior welfare center. The sample consists of 347 cases of senior citizens(out of 400 original cases) residing in Seoul area. The major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d foremost, 73.7% of the respondents' self-reported as "religious"(263 out of 347), and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self-reported as "internally religious" was a little higher than "externally religious"(61.73% vs 54.20%). Secondly, the levels of self-respect and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ose with internal religious faith than for those with external religious faith. Thirdly, both internal and external religious faiths turned out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spondents' depression and for this results, the author suspect the persistent powerful effects of the respondent's age and health on the depression levels. This study reaffirms the robust influences of religious faith on people's lives. Based upon findings above, this study suggests several clin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social welfare policy. This study also argues for more serious concerns of religious institutions toward the welfare of the seniors and stronger cooperations between religious and welfare institution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