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박현숙 초기 희곡에 나타난 젠더공간의 형상화 전략

Representing Strategy for Genderized Space in the early dramas by Park hueon suk

초록/요약

본고는 박현숙 초기 희곡을 중심으로 텍스트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무대공간과 드라마 공간의 변동 양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젠더화된 공간 속 균열과 등장인물의 소산의식을 통해 권력-감시체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박현숙 희곡 작품 속 공간은 가정과 사회를 상징하는 포괄적인 의미망이라는 점에서, 공간 속에서 담론을 구성하는 작가의 문제의식을 포착하게 한다. 박현숙 희곡은 여성의 삶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이는 여성과 가정의 문제 속에서 사회의 모순을 발견하는 작가의 문제의식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특히 박현숙 초기 희곡의 ‘집’은 부부를 통해 개인을 관통하는 가정과 사회의 관계를 설명하는 공간으로 사적·공적 공간의 중첩지점이다. 사회가 가정에 부과한 의무는 여성인물들에 대한 남성인물들의 무관심이라는 폭력적 양상과 함께 제시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사적공간인 가정을 사회와 개인의 관계적 모순과 함께 희망을 발견하는 잠재적 통로로 바라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하이데거가 인간과 공간의 관계에 주목한 것처럼, 박현숙 초기 희곡 속 공간의 특성과 등장인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파비스의 드라마적 공간의 개념을 사용하고자 한다. 드라마적 공간은 무대공간과 텍스트가 함축하고 있는 공간적 관계들이 함께 구상될 때 구체화된다. 이 역동적인 드라마 공간은 텍스트에 다양한 의미를 발견하게 하는 모색 지점이 된다. 그러므로 피어스의 드라마 공간에 대한 의미론적 분석의 틀을 통해 설명하고자한다. 이를 통해 박현숙 초기 희곡에 나타난 다양한 공간의 변동양상과 인물들 상호작용을 분석하며, 가정과 사회의 균열지점을 짚어내고자 한다. 즉 공적공간과 사적공간의 경계는 등장인물들의 행위를 통해 드라마 공간 속에서 제시된다. 본론 Ⅱ장에서는 박현숙 초기 희곡의 공간을 젠더화된 공간이라고 보고, 기든스와 월비의 사적공간과 공적공간의 논의를 통해 사회적 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여성인물들은 가정 안에서 점차 사회로부터 소외되는 자기 존재를 확인하게 된다. 가정공간은 여성인물들의 소외와 불안을 소산의식을 비롯한 균열양상으로 드러낸다. 박현숙 초기 희곡의 가정은 주체가 공적/사적 공간의 경계를 경험하고 기억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집 밖의 여성인물들은 ‘사랑 찾기’과 ‘버려지는 경험’을 통해 자기정체성 확인하고, 스스로 공간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공간의 경계에 균열을 야기한다. 즉 드라마적 공간은 인물 간의 관계와 경험을 통해서 변화한다. Ⅲ장에서는 박현숙 초기 희곡의 가정 공간은 교묘한 통제와 감시 속에 살아가는 개인을 발견하게 한다. 내·외부에서 끊임없이 관찰되는 집과 인물을 통해서 푸코가 말하는 ‘얼굴 없는 시선’으로서의 권력을 확인하게 된다. 특히 그 권력을 응시하는 여성인물들의 감시와 통제는 남성인물들로 인해 가시화되지만, 반대로 권력자인 것처럼 보이는 남성들에 대한 감시와 통제는 가시화되지 못한다. 가정 공간은 개인을 통제하는 권력의 그림자를 여성인물이 포착하게 한다. Ⅳ장에서는 공간 속 행위자인 인물의 사랑과 전쟁의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한다. 박현숙 초기 희곡 속 여성인물들의 소외 상태에 대한 자각은 낭만적 사랑과 전쟁 같은 주체로서의 경험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사랑은 개인적 체험으로, 전쟁은 등장인물들의 공간과 기억 속에 잠재되어있는 공동체적 경험이다. 낭만적 사랑과 전쟁의 경험은 여성인물들에게 주체로서의 삶을 살아가게 한다. 그리고 그들에게 부여된 가정 수호의 의무를 깨트릴 동기를 생성시킨다. 낭만적 사랑과 전쟁은 여성인물들에게 주체로서의 권리를 획득하게 하는 기반이 된다. 사랑의 모티브는 박현숙 희곡 전반에 등장하며, 극 전체를 둘러싸고 있다. 사랑은 주체를 국가, 사회, 가족으로의 회귀하게 만드는 수단이 아니다. 오히려 거대 담론들에 포획된 주체를 인간 본연의 삶과 행로로 인도하는 데 더 유용하게 쓰인다. 사랑의 모티브는 박현숙 초기 희곡 속, 개인, 가정, 사회의 순환적 구조를 대변한다. 즉 사랑의 주체인 여성인물들의 실패와 좌절의 흔적들은 공간에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결론으로, 박현숙 초기 희곡의 등장인물과 드라마적 공간에 대한 분석은 사랑과 가정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논의함으로써 텍스트의 다채로운 의미들을 밝힌다. 이러한 관점은 개인을 억압하는 사회에 대한 관찰이자, 작가의 문제의식이다. 즉 공간 연구는 박현숙 초기 희곡 분석에 있어서 새로운 해석의 기틀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박현숙의 자서전적·체험적 글쓰기의 양식과 플롯의 한계에서 벗어난 확장된 시각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various stage space and the changes of dramatic space in the text of the early dramas by Park hueon suk. It is especially shown to review the power-surveillance system through the collapse in the genderized space and the abreaction of the characters. The space in Park's dramas represents the expansive semantic network that symbolizes home and society. And the representation makes us catch the author's problem awareness that consists of the discourse in the space. Park's dramas are positively evaluated in the point of the direct approach towards the women's life. This is important because the approach is how the author gets aware of the paradox of our society in the problems of women and family. Especially Park focused the "house" in her early dramas. The "house" is the space with which she can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society that gets through the individuals by the means of marriage and the overlapping point of private and public spaces. The responsibility that society impose on family is shown with the violence that is men's indifference to women. The family space is the space that the characters can find the isolation and the hope between the individuals and society. As Martin Heidegger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this paper will cover the spacial proper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notion of dramatic space by Patrice Pavis will be used. Dramatic space is the dynamic meaning that can be embodied when the spacial relationships implied in the stage space and text are planned together. For this, it will be explained by the form of theoretical analysis. The changes of various spaces and the interactions among the characters will be also analyzed and the cracks between family and society will be indicated. In Chapter 2, the spaces in Park's dramas will be explained as the genderized spaces. And the social discourse is shown through discussion of the family space and public space by Anthony Giddens and Sylvia Walby. The family space reveals women's isolation and anxiety. The family in Park's early dramas has meanings in the view of that the subjects experience and remember the boundary between the private space and the public space. The female characters establish their own identities through "finding true love" and "experience of breakup" and create their own space. That is, dramatic space is changed by the relationship among the characters and their experiences. In Chapter 3, the family space in Park's dramas reveals the individuals who live in elaborate control and surveillance. The power as 'Panopticon' claimed by Michael Foucault is confirmed by the house and characters constantly observed in and out. Especially the control and surveillance over the female characters are visualized by the male characters. In the contrary, the control and surveillance over the male characters seen as authority are not visualized. The family space makes the female characters notice the shadow of power that control the individuals. In Chapter 4, it is focused on that the characters as the agent in the space get through the love and the experience of a war. The female characters' awareness about the isolation is made in the way for them to experience the romantic love and war. And that makes the motivation for them to break the responsibility of family bond given to them. The romantic love and war make the base that can make the female character get the right as a subject. The love appears in the overall Park's dramas and embraces all the drama. The love is used to lead the subject who is captured in Grand Narrative to the natural human life. The love speaks for the cyclic structure of individuals, family, and society in Park's early dramas. That is, the space study will offer the expansive view point over the limit of autobiographical style and the plot to us, making a base of the new analysi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