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7차 개정교육과정의 역사부도 활용방안 : 중국근대사 내용을 중심으로

Method of Utilizing "Historical Atlas"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ith focus on the history of modern China

초록/요약

역사 교육은 학습자에게 역사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인식시키고.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며, 더 나아가 바람직한 역사적 가치관을 정립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때문에 역사 교육에서 역사부도를 활용한 학습은 교사가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는 강의 중심의 교수·학습법을 지양하는 한편,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권장하고, 탐구활동으로 자료를 분석·종합·비판 할 수 있는 능력을 통해 역사적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7차 교육과정 상에서 역사부도는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외면 받음으로써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역사부도의 활용방안에 대해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역사부도의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중국 근대사로 범위를 설정하였다. 이는 국가적·사회적 요구로 7차 개정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신설된 과목인 <동아시아>를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성과가 있으리라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제한된 지면 에 많은 정보를 수록하려는 역사부도의 분제점이 개선되었으며, 내용상의 오류도 개정되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내용체계에 있어서도 교과서와의 중복을 피하는 한편 기존의 역사부도와는 차별화되는 참신한 자료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개정 교육과정의 역사부도는 교과서의 구성 체계와는 다른 주제별 구성으로 인해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는데 다른 보조 자료를 제작해야하는 어려움과 역사부도의 교사용지도서의 부재로 특성화된 교수·학습법을 개발하기 힘든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 역사부도 개발자와 교과서 개발자의 행정적 측면의 연계가 절실히 필요하며, 각 교과서의 특성에 부합하는 역사부도가 각기 개발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새롭게 신설되는 <동아시아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학습자의 역사적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는 학습 자료를 통한 학습은 더욱 논의되어야 할 문제라 생각된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s to have the students recognize historical fact objectively, develop historical thinking skills and, in addition, help establish desirable values on history. Thus, the use of historical atlas in history education has the advantage of encouraging students to do self-initiated study, to develop historical thinking skills through the ability to analyze, synthesize and criticize materials by research activity, while discouraging lecture-centered teaching/studying method where the teacher unilaterally delivers knowledge. However,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historical atlas has failed to play its role because it has been neglected by both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So, with such problem in mind, this study has attempted to find ways to utilize historical atlas. Also, regarding the ways to utilize historical atlas, scope has been set for the history of modern China, which has not been studied before. That is because such measure was judged to be effective in the study of “East Asia,” a subject newly introduc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response to national and social demand. As a result, one can see that the problem of previous historical atlas, which was to list too much information in a limited area, has been improved and that errors in the contents were revised too. Also, one can see that contents of the new historical atlas avoid overlapping with textbooks and include fresh material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historical atlas. However, due to subject-oriented composition of historical atlas of the amended educational curriculum, different from that of textbooks, teachers have the hardship of having to make other supplemental materials for classes. Also, due to the absence of teacher’s version of historical atlas, it is difficult to develop a distinctive teaching/studying metho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judged that a link in administrative aspect between the historical atlas developer and the textbook developer is desperately needed, and historical atla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xtbook has to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increase of interest in the newly introduced subject of “East Asian History,” I think that there has to be more discussion about the study using study materials which can develop historical thinking skills of the student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