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羅 麻立干時期 對倭戰爭의 推移와 影響 : 對外關係의 變化와 國防政策의 强化를 중심으로
Transition and Influences in War with Wae at the Times of the Maripgan Kings of Silla
- 주제(키워드) 신라 , 마립간시기 , 왜 , 전쟁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최기영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2
- 학위명 석사
- 학과 일반대학원 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883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新羅 麻立干時期에는 대내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대외적으로도 주변 국가와의 대외관계에 따라 대외정책의 양상이 달라졌다. 기존 연구에서는 신라 대외정책의 변화 원인을 高句麗․百濟가 존재했던 韓半島에서 주로 살펴보려고 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신라의 또 다른 이웃 국가였던 倭의 비중이 없었다. 그러나 왜도 당시 한반도 삼국의 상황에 따라 대외활동을 하였기 때문에 신라의 대외관계 변화에 충분히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한다. 마립간시기에 있어 왜의 등장은 백제의 외교정책에서 비롯되었지만, 마립간시기 이전부터 신라인들은 왜를 두려운 존재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왜가 다른 국가와 더불어 대대적으로 침공해 온다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위협이 되었다. 따라서 이 위기를 극복하고자 고구려에 구원을 요청했고 廣開土王이 물리쳐 줌으로써 대고구려우호관계가 견고해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즉, 엄밀히 말해서 대고구려우호관계의 성립은 왜를 비롯한 가야․백제가 원인을 제공한 것이지만,「광개토왕릉비」에 보이는 것처럼 신라에게 가장 위협이 되는 존재는 왜였던 것이다. 訥祗麻立干은 고구려 왕실의 힘에 의해서 즉위하였고 부왕이었던 奈勿麻立干代에 위기에서 구원해 준 고구려에 대해서 어느 국왕보다 두터운 신뢰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자국에 대한 내정간섭이 심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주변 국가의 침공으로부터 자국을 보호하기 위해서 고구려 군사가 자국의 영토에 주둔하는 상황을 용인하였다. 하지만 눌지마립간의 생각과 달리 고구려는 平壤遷都라는 큰 계획을 실행하느라 대왜전쟁에 관여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신라는 큰 피해를 입었다. 눌지마립간은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백제와의 화친을 통해서 군사적인 위협을 줄인 후 내물마립간대부터 이어온 대고구려우호관계를 청산하게 된 것이다. 慈悲麻立干이 즉위하고 왜의 침공이 연이어 계속되자, 이때부터는 국방강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였다. 이 정책은 방어범위를 변경까지 확대하고 그동안 기피하였던 수상전에 대비하는 등 이전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에 왜는 다양한 방법으로 침공해왔지만 계속 실패하였다. 이러한 효과는 炤知麻立干代에도 계속되어 이때에는 국방강화 정책과 더불어 대내활동에도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때부터 시작된 鎭 체제는 왜의 공세를 더욱 약화시키는 데에 공헌하였다. 대왜전쟁에서의 우위가 신라로 기울게 되자, 더 이상 약소국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한 왜는 이후로 침공을 하지 않게 된 것이다. 결국 눌지마립간 중반까지는 왜를 비롯한 주변 국가의 위협에 대해서 외교로만 극복하고자 당시 가장 강성하다고 생각하였던 고구려와 우호관계를 맺었지만, 자국의 안전을 다른 국가에 의존한다는 것은 역으로 그 국가의 상황에 따라서 아무런 대책 없이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된 후부터 눌지마립간에 이어 자비․소지마립간대에는 주변 국가의 위협을 극복하고자 신라 스스로 국방강화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였고 이는 유효적절하게 효과를 거두게 되어 왜의 공세가 약화되며 결국 군사적인 위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more초록/요약
In the times of the Maripgan(麻立干) Kings of Silla(新羅) there were many changes internally, but the phase of outward policy also changed commensurate to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 existing research, the reason for changes in Silla’s policies of relations with the outside have beenfound on the Korean Peninsula, where Koguryo(高句麗) and Baekje(百濟) were both present, thus, very little consideration was paid to Silla’s other neighbor, Wae(倭). However, as Wae conducted its foreign policy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Three Kingdoms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time, it is my belief that it would have had sufficient effect on the foreign relations of Silla as well. During the times of Maripgan Kings of Silla, the emergence of Wae was included in the foreign policy of Baekje, but since before the times of the Silla kings, the majority of Silla citizens considered the Japanese to be intimidating and therefore the news of Wae launching a large-scale invasion allied with other nations was a significant threat. Accordingly, to address this, Silla sought the aid of Koguryo, and as King-Gwanggaeto(廣開土王) dealt them quite a blow, it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the relations with Koguryo to solidify and for a feeling of amity to be born. To speak in more specific terms, the impetus for the establishment of an amicable policy relating to Koguryo was provided by Wae as well Gaya(伽倻) and Baekje, however, as is reflected in the tombstone of King-Gwanggaeto, it was Wae that posed the greatest threat to the nation. Using the power of the court of Koguryo, Maripgan-Nulji(訥祗麻立干) ascended to the throne and had the deepest trust for Koguryo, which rescued the nation from a threat at the times of the father-king Maripgan-Naemul(奈勿麻立干). Thus, despite the rather severe meddling in its internal affairs, in terms of protecting own nation from invading neighbors, he admitted a circumstance that Koguryo troops are stationed in own nation. In contrast to the thoughts of Maripgan-Nulji, however, Koguryo was embarking on a vast plan to move its capital to Pyongyang(平壤), and would be able to concern War with Wae, Silla was damaged seriously. In an effort to counter this, Maripgan-Nulji cozied up to Baekje in order to decrease the military threat while the pro-Koguryo policy, which had flowed down from Maripgan-Naemul, drew to a close. Maripgan-Jabi(慈悲麻立干) ascends to the throne and the encroachment of Wae continued over the years, he started to institute a policy of strengthening its own national defense capability. This policy showed a new phase in Silla’s national defense policy : going as far as changing the sphere of defense and even preparing for naval warfare, which they had previously avoided. Wae attempted invasion through an array of methods, but failed continuously. This effect continued through Maripgan-Soji(炤知麻立干) and in these times, along with intensified defense, the nation was also able to focus its energies on domestic issues. In addition, the Jin(鎭) system, that began at this time, also contributed to lessening Wae’s hostilities. Thus Silla gains the dominant position in War with Wae, Wae no longer viewed Silla as a minor nation, and stopped further invasion attempts. Finally, through the mid-years of the reign of Maripgan-Nulji, Silla had solely sought to solve issues of threatening neighbor countries through diplomacy and thereby drew close to Koguryo, which had appeared most robust at the time. After coming to realize, however, that relying on an outside nation for defense could leave the nation with no defensive countermeasures should the nation it was dependent upon find itself preoccupied, generations of Silla kings subsequent to Nulji including Jabi and Soji intended to increase the nation’s defensive capabilities on their own. As this policy proved effective and well-directed, it lowered Japanese aggression and allowed the nation to break free of constant military threat.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