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내 이주무슬림의 종교와 문화번역 : 파키스탄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Religion and Cultural Translation of the Muslim Immigrant in Korea : Focusing on Pakistan Immigrant Workers
- 주제(키워드) 파키스탄 , 이슬람 , 이주무슬림 , 세속화 , 문화번역 , 다문화주의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김우선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10. 2
- 학위명 석사
- 학과 일반대학원 사회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87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한국 내 이주무슬림이 한국에서 생활해가면서 그들의 종교를 어떻게 적응해나가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2009년 현재 한국 내 이주무슬림 수는 십만을 넘어가고 있지만 아직까지 학계나 지원단체에서 조사가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서구 유럽의 이주역사가 말해주고 있듯이 이주무슬림은 이주의 세계화가 낳은 가장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한국사회에서 이주무슬림과 이슬람에 대한 태도는 무지와 편견으로 점철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경 속에서 이주무슬림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주무슬림 연구를 위하여 다양한 이주무슬림 중 파키스탄 이주노동자로 그 대상을 한정하였다. 파키스탄은 97%의 이슬람 인구비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재한 파키스탄의 대다수는 이슬람 전통을 체화하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파키스탄인 중 가장 많이 유입되는 계층이 바로 노동자다. 이와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다수의 파키스탄 이주노동자가 거주하고 있는 인천의 남동공단을 중심으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남동공단 내에서 진행된 현장연구를 토대로 그들의 실태와 종교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한국의 이주상황 속에서 변화되어가는 과정을 민족지(ethnography)로 서술하였다. 이를 위해 파키스탄 이주노동자의 종교를 문화번역이라는 틀로 재번역하여 그들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즉 파키스탄 이주노동자가 무슬림으로서 가지고 있어야 하는 턱수염과 전통의상, 예배와 라마단, 사회적 연결망과 기타 이슬람과 관련된 문화적 특성들이 한국에서 어떻게 작동되고 변화되는지 그 내재화된 의미를 다각적으로 고찰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국의 이주상황에서 이주와 종교의 상관관계를 모색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 살펴보는 파키스탄 이주노동자가 전체 이주무슬림을 대표할 수는 없다. 그러나 파키스탄 이주노동자를 연구함으로써 이주무슬림과 그들의 종교인 이슬람이 한국에서 어떻게 작동되는지에 관한 의미 있는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이는 더 나아가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의 진입할 수 있는 새로운 다리를 건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analyzed how muslim immigrants accommodate their religion, living in Korean society. In 2009, Muslim immigrants have risen to more than one hundred thousand people, but academia and support groups rarely study this issue. Especially, the history of immigration of Western Europe shows that Muslim immigrants have become the most terrible social problem which globalization of immigration brings about. However, attitude toward Muslim immigrants and Islam in Korean society has been a series of ignorance and prejudice until now. That's why the study on Muslim immigrants has significance. This study limits diverse Muslim immigrants to Pakistani workers.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most Pakistani is embedded in Islam tradition, because 97 percent of Pakistani is Islam. Also, most Pakistani immigrants are labor class.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has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in In-cheon Nam-Dong Industrial Complex, where a lot of Pakistani workers reside. On the basis of‘field work’ in In-cheon Nam-Dong Industrial Complex, this study analyzes Pakistani worker’s real conditions, role and function of religion and their changing process in Korea through ethnography. For this analysis, I ‘re-translate’ Pakistani religion by using the frame of ‘cultural translation’, and focus on Pakistani worker’s diversity and dynamic. In order words, I consider the internalized meaning of how for Pakistani workers to operate and change their traits of Islam culture, such as beard, traditional clothes, Salat, Ramadan andsocial network, in Korea. In this process, I seek for correlation of migration and religion in Korean immigration situation. Pakistani workers in this thesis cannot represent all Muslim immigrants. However, it provides meaningful knowledge to understand Muslim immigrants and Islam by studying the Pakistani workers. Furthermore, this knowledge makes Korean society have a golden opportunity to enter the multicultural societ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