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의 체육수업 참여동기와 만족도 분석
Study 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o Participate in Physical Education Class of Middle School Students
- 주제(키워드) 참여동기 , 만족도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최대혁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2
- 학위명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86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성별, 학년, 체력장등급, 체육교과 학업수준에 따라서 체육수업 참여동기에 따른 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2개교를 선정 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로 남학생이 52.0%(115명), 여학생이 48.0%(106명), 학년별로 중 1이 33.0%(73명), 중 2가 33.5%(74명), 중 3이 33.5%(74명), 체력장 등급별로 1등급이 14.5%(32명), 2등급이 21.7%(48명), 3등급이 43.4%(96명), 4등급이 14.0%(31명), 5등급이 6.3%(14명), 체육교과 학업수준별로 90점이상이 15.8%(35명), 80점이상이 29.9%(66명), 70점이상이 41.6%(92명), 70점미만이 12.7%(28명)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들의 체육수업 참여동기와 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자들을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를 배포한 다음 응답 요령 및 주의 사항을 설명한 다음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한 후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최종적으로 회수된 설문지는 윈도우용 통계패키지 SPSS 14.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고,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항목들의 내적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신뢰도 일환으로 Cronbach's α 계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체육수업 참여동기와 만족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체육수업 참여동기와 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성별에 따른 체육수업 참여동기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체육수업에 대한 높은 참여동기를 보이고 있으며, 학년에 따라서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가장 높은 참여동기를 보이고 있다. 체력장 등급별에 따른 참여동기 차이는 상위집단에 속해있는 1등급 학생들이 가장 높은 참여동기를 보이고 있으며, 체육교과 학업수준에 따라서는 90점이상의 학생들이 참여동기가 높은 것으로 보이고 있다. 또한 연구대상자들은 체육수업 참여동기의 하위요인(건강, 사교, 자기개발, 가정, 취미)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체육수업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체육수업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학년에 따라서는 2학년 학생들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체력장 등급별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중상위 집단에 속해있는 2~3등급 생들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체육교과 학업수준에 따라서는 90점이상의 학생들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보이고 있다. 또한 연구대상자들은 만족도 하위요인(교사만족, 시설만족, 학습내용만족)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체육수업 참여동기와 만족도와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체육수업 참여동기는 체육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수업 참여동기에 하위요인(건강, 사교, 자기개발, 가정, 취미)에 따른 체육수업 만족도의 하위요인(교사만족, 시설만족, 학습내용만족)과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 결과를 살펴보면, 중학생들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체육수업의 참여동기와 만족도를 경험하는 요인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체육수업 참여동기가 높을수록 체육수업 만족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cademic year, physical fitness test grade, and physical education test scores.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221 students of two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115 (52%) were male and 106 (48%) were female. 73 were in their first year (33%), 74 were in their second year (33.5%) and 74 were in their third year (33.5%). 32 (14.5%) students got 1stgrade in physical fitness test and 48 (21.7%) got 2nd grade, 96 (43.4%) got 3rd grade, 31 (14.0%) got 4th grade and 14(6.3%) got 5th grade. Their physical education test scores were as follows: 35 (15.8%) students got above 90, 66 (29.9%) got above 80, 92 (41.6%) got above 70 and 28 (12.7%) got less than 70 score. The researcher administered the survey in person and participants were told the purpose and procedure of this research and then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s. The survey was conducted according to self-administration method. The program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was SPSS version 14.0. Frequency test was done for demographic analysis. Cronbach’s coefficient alpha was compu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is.f the measures. T-test and One-WaisAnova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demographic factors.th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test were don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to pcomputed to dephysical education class. The following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had higher motivation and that of 2nd year students was the highest. Students who got 1st grade in physical fitness test and those who got above 90 scores in physical education had higher motivation than other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ubse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which were health, social function, self-development, family factor and hobby. The satisfaction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articipants. Males and 2nd year students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others and 2nd and 3rd grader of physical fitness test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atisfaction. Students who got above 90 scores in physical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subsets of satisfaction, which were satisfaction with teachers, satisfaction with facilities, and satisfaction with lesson content.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correlation of participation motivation (health, social function, self-development, family factor and hobby) and class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teachers, satisfaction with facilities, and satisfaction with lesson content) was significant. In conclusion,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differed depending on students demographic factors and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