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주의 관점에서의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분석
An Analysis of Cultural Content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from the View of Multicultural Society
- 주제(키워드) 다문화주의 ,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성범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2
- 학위명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84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언어와 문화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언어는 문화를 반영하고, 문화는 언어를 통해 유지, 존속, 계승된다. 언어 습득을 위해서는 , 기계처럼 말만 하는 능력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언어가 속한 문화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능력이 필요하다. 오늘날, 영어는 많은 국가들에서 교육되고 있으며, 그를 위해 영어가 사용되는 소위 ‘영미권’에 대한 문화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영어는 한 문화를 대표하는 언어로 역할 하기보다, 세계 어디서나, 보편적으로 사용하며, 각기 다른 문화를 연결해 주는 중요한 교통어 역할을 하고 있다. 즉, 우리는 영어교과를 통해 단지 영어만을 배우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영어를 통해 다양한 문화를 접하려 한다.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다문화 가정’이 늘어나는 추세이고,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 또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니고 있다. 그들을 대상으로 교육이 이뤄져야 하고, 또한 점차 국가의 경계가 없어져, 세계를 무대로 살아가야 하는 현실에서, 타문화에 대한 편협한 사고와 고정관념을 없애고,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이는 자세가 요구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학교교육이 주로 의존하고 있는 교과서에 존재하는 문화적 특징을 분석해 다문화주의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 보는 것은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2009년부터 활용하게 된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17종 중 15종을 연구대상으로, 본문과 문화 소개란의 문화 소재와 문화 배경의 다양한 제시와 본문 등장인물의 인종, 성별, 직업에 따른 편견 없는 다양한 정보를 제시 했는가에 대해 분석이 이뤄졌다. 문화 소재 사용에 있어 연구자의 분석기준에 따른 16가지 소재 중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7~10개의 소재를 활용하였으며, 15종의 교과서를 살펴 본 결과, 교양이나 밝은 미래를 위한 내용을 담은 기타 소재가 가장 많았고, 지리를 소재로 삼은 것이 가장 적어 보다 균형적으로 소재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끌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문화 배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편문화를 다룬 단원이 가장 많았으며, 영미, 한국, 기타 문화가 어느 정도 비슷하게 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이고 상식적인 보편문화보다는 기타문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다양한 문화를 접하는 기회를 주는 데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등장 인물의 분석을 보면, 인종별로 백인이 전체의 54.6%에 해당하여, 영어사용 인구에 대한 편견이 적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영어는 문화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백인의 문화를 지배적으로 전달하는 결과가 되어 버린다. 성별로 봤을 때도, 남자가 여자보다 약 20% 정도 많이 등장한다. 본문의 내용 보다 삽화를 살펴봤을 때 그 차이가 더 큰 걸로 보아, 기본적으로 남자의 문화가 시각적으로 더 많이 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직업을 살펴보면, 학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전문직 및 관련 종사자가 그 다음으로 많다. 교과서가 학생을 대상으로 하므로, 공감을 목적으로 했지만, 이것 역시 너무 치우친 결과이다. 교과서를 통해 직업의 다양성을 인식해야 할 학생들이 이렇게 일부 직업으로 치우친 본문을 통해 자신들도 모르는 사이 교과서에서 많이 다루어진 직업만을 희망하게 되고, 그렇지 않은 직업에 대해 무관심해 질 수 있는 것이다. 이야 말로 학생들을 문화적으로 소외시키는 일일 것이다. 다문화 사회를 훌륭히 살아가기 위해 교과서에서 위와 같은 종류의 문화적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다양하고 특색 있는 문화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절실하다.
more초록/요약
Language is inseperable from culture. Language reflects culture and culture is recognized through language. In this point of view, to speak English fluently, people need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culture first. English is not only the language Americans use but also the language many people in the world use. Thus, it has been the messenger of other culture non-English speakers have not experienced. English becomes a global language many people can use to exchange their culture. In addition, multiculturalism spread in the world rapidly. To live in this multicultural society, people have to be free of any kind of biased views or stereotypes about any culture.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factor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in this analysis, 15 publishers of first grade English textbooks were selected, and specific cultural contents such as backgrounds, human races, gender, and occupations of characters a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ulture is presented in most of the textbooks. However, the general culture does not represent universal examples. It was limited to the lives of English speakers. More diverse cultural background should be included to satisfy the multicultural needs. Second, most of the characters in the textbooks were Caucasian. There are few black people. This means that the students can learn about the Caucasian culture easily through the textbooks unconsciously. The number of male characters in the articles in the textbooks is greater than that of female ones. The writers of the textbooks reflect male-dominant society unconsciously. The occupations that appear in the textbooks were biased, too. For example, mechanics and laborers cannot be found easily. Only professionals and students can be easily seen. It is more desirable to show various occupations in the textbooks to give students enough opportunity to think about many jobs without prejudice. This study is limited to analyze the first grade English Textbooks. If there are more studies about second and third grade English textbooks, the study would be more reliabl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should include various culture so that they can help students get along with multicultural society. In addition to this, the teaching strategies to enhance cultural capacity should be studi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