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Q방법론을 통한 기업 명성 요인 연구 : 식품기업을 중심으로

Study of the Corporate Reputation Factors through Q methodology : Based on the Food Industry

초록/요약

식품은 매우 민감한 제품이다. 소비자들이 제품을 섭취했을 때 느끼는 맛과 건강과 안전에 대한 관심이 모두 식품과 관련 있기 때문이다. 식품과 관련된 문제가 생겼을 때, 소비자들은 바로 즉각적으로 행동을 취하고, 쉽게 다른 제품으로 바꾸기도 한다. 이러한 식품의 위기에 대한 민감성, 특수성 때문에 식품기업의 명성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기업의 전략적 명성관리를 위해 식품 기업의 명성에 있어서 일반 공중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공중들이 식품 기업 명성을 인식하는 유형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았다. 이는 그간 연구되어 왔던 명성 구성 요인과 수치화 하여 순위 평가에 목적이 있는 기존의 기업 명성 지수만으로는 식품 기업의 전략적 명성 관리 방향 도출이 한계가 있음을 인식한 것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이에 계량적인 연구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주관적 연구방법인 Q방법론을 도입하였다. Q조사를 위해 한국형 명성 지수(차희원, 2004)의 구성 요인을 기본으로 하여 최근 식품 기업의 명성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는 ‘식품 안전성’ 요인을 추가하여 식품 기업의 명성 요인을 4차원 7개 요인으로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식품 기업 명성 요인에 대한 일반 공중의 인식 유형은 Q 조사를 통해 4개가 발견되었다. 식품 안전성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기본으로 하여 4개의 유형은 경영성과 중시형, 고객커뮤니케이션 중시형, 제품 품질 중시형, 기업철학 중시형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식품 안전성’이라는 기존 명성 요인에서 측정할 수 없었던 요인을 새롭게 도입하여 이 요인이 식품 기업의 명성을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밝혔고, 일반 공중들이 어떤 요인들을 중요시하고 있는 지 밝혔다는데 연구에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식품 산업에 맞는 기업 명성 지수를 재정립하고, 양적/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식품 기업에 맞는 명성 관리 전략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more

초록/요약

Foods are sensitive product. Foods not only cover consumer’s tastes, also deal with their concerns on safety and health. In the event of any perceived problems in this area, consumers often react immediately and sometimes move easily from one product to another. It is important to manage food companies’ reputation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of food industr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way in which food companies try to cope with their reputation strategically. This study finds factors and types which public put a premium on corporate reputation in food industry. In this paper, the Q methodology is used as a main research tool because previous studies have reached the limit to evaluate the ranking of corporate reputations. As the results of Q methodology, public’s cognitive types on food companies’ reputation are divided into four types and the public point out ‘food safety’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managing corporate reputations. . The first type of the public considers ‘the management performance’ the most important as a reputation factor and the second type considers ‘the consumer communication’ the most. Other types consider ‘product quality’ and ‘corporate philosophy’ more important.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of corporate reputation factors in food industry. This study shows that ‘food safet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reputation management and finds cognitive types for food companies’ reput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suggest reestablishment of corporate reputation index and strategies for managing food companies’ reput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