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기본어휘 활용에 관한 분석 :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practice of basic vocabulary
- 주제(키워드) 기본어휘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이요안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2
- 학위명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82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논문의 출발점은 기본어휘에 대한 관심이다. 기본어휘는 영어 학습에 있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동시에 언어 능력의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유용한 전략이다. 많은 연구들은 언어의 다른 영역, 읽기 • 듣기와 같은 수용적 영역과 쓰기•말하기와 같은 표현적 영역에서 어휘의 영향과 중요성에 대하여 언급했다. 어휘와 읽기 수행에 대한 연구들의 결과는 어휘가 KSAT, TOEIC, TEPS 등의 영어와 관련된 시험을 준비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려주었다. 그러나 영어 학습의 주요 수단이 되는 교과서의 기본어휘에 대한 내용을 다루었던 연구들의 수는 대단히 적다. 교과서의 기본어휘를 다루었던 연구들도 읽기 영역의 점수와 어휘와의 상호 연관성을 밝히는데 주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기본어휘의 선정과 활용 과정을 명확히 설명해주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과서가 제시하고 있는 기본어휘의 의미와 선정과정 그리고 활용 현황을 살펴본다. 이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려한다. 첫 째, 기본어휘의 선정은 적합한가? 둘 째, 기본어휘의 활용은 적절한가? 처음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본 연구는 기본어휘를 두 개의 어휘 자료와의 비교분석을 진행한다. 두 개 자료가운데 West가 작성한 General Service List 어휘 선정에 널리 사용되는 자료로서 인정받고 있으며 교육과학기술부가 제시하고 있는 기본 어휘 목록은 교과서 기본어휘 선정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 어휘 자료이다. 기본어휘 활용의 적합성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으로서 전국학력평가의 읽기 영역의 어휘와 교과서 기본어휘와의 비교를 통한 분석을 진행했다. 교과서 기본어휘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교과서 기본어휘 선정의 적합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는다. 교과서 기본어휘는 West 의 General Service List 의 어휘와 약 50%의 일치를 교육과학기술부 기본 어휘 목록의 어휘와 약 73%의 일치를 나타내고 있다. 교육과학기술 기본 어휘 목록이 교과서 기본어휘를 선정하는 기본적 기준을 제공한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교과서의 기본어휘는 적절히 선정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기본 어휘 활용의 적절함에 대한 연구 결과는 교과서 기본 어휘 가운데 약 30%의 어휘가 전국학력평가 읽기 영역에 사용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 어휘수의 크기를 고려해본다면 상대적으로 많은 교과서 기본어휘가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more초록/요약
This Paper aims to draw attention to basic vocabulary that has great importance in learning English and might present helpful strategies in improving language competence. Many studies issued the role and influence of vocabulary in other linguistic areas such as reading and listening performance that may be defined as receptive competence and productive competence that is composed of writing and speaking performance. The results some studies showed the relation between vocabulary knowledge and reading performance might suggest vocabulary learning as a useful process for preparing English related tests such as KSAT, TOEIC and TEPS. However, few studies have ever touched the issue of basic vocabulary in Textbook that is main materials and influential compass for English learning. When subjects on basic vocabulary are dealt with in some studies, issues a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of vocabulary and score that test takers get in reading and listening part of KSAT, TOEIC and TEPS, but no study did identify clearly the appropriateness in choosing basic vocabularies which are in the textbook and adopting basic vocabulary in tests composed of reading and listening areas. Therefore, a study looking at the meaning of basic vocabulary and the process of selecting basic vocabulary for school textbook and the condition of using basic vocabularies is required. In conclusion, Issues this study aims at are two areas : One is "Are basic vocabularies properly selected?" and the other area is "Are basic vocabularies effectively used?". First, in order to answer to question, Are basic vocabularies properly selected?, this study compare basic vocabularies(BL) with two materials : General Service List(GSL) by West and Vocabulary List(VL) that the Korean Education Ministry made for vocabulary learning. Second, by checking up vocabularies in reading area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lish competence with basic vocabularies of textbook, this study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Are basic vocabularies effectively used?. The result reveals the answer to the first question, Are basic vocabularies properly selected?, is positively yes. When the GSL is the criteria of suitable selection, it seems that basic vocabularies show about 50% of agreement and if the criteria is VL, agreement is about 73%. Considering VL has a more important role in choosing BL, 7 out of 10 vocabularies are chosen appropriately. The result about second question, Are basic vocabularies effectively used?, states that about 30% of BL are used in reading part in test. When students learn 10 vocabularies by using textbook, they may use 3 vocabularies in real test. In conclusion, the answers to questions that this study presents may be like this : The basic vocabularies are selected properly and used well.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