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자연에 따른 인과성’ 개념 : 제 2 유추를 중심으로
Kant'sConceptof'CausalityaccordingtoNature' Focusedon'theSecondAnalogy'
- 주제(키워드) 칸트 , 인과성 , 경험의 유추 , 자연철학 , 초월적 원칙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강영안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2
- 학위명 석사
- 학과 일반대학원 철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80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칸트의 인과성은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는 자연과 관계되는 인과성이고 다른 하나는 자유와 관련되는 인과성이다. 전자는 칸트의 이론철학과 관계하고 후자는 칸트의 도덕철학과 관계한다. 이 논문은 칸트의 이론 철학에서의 인과성 개념에 집중할 것이다.『순수이성비판』 ‘제 2 유추’는 칸트의 이론 철학에서의 인과성 개념을 다루는 주요한 장 중 하나임으로 우리는 ‘제 2 유추’에 우리의 논의를 집중할 것이다. 칸트의 인과성 개념은 칸트 철학의 대표적인 개념이지만 동시에 그 의미가 매우 모호한 개념이다. 인과성 개념과 직접 관련되는 명제는 ‘모든 사건은 원인을 가진다’이다. 칸트는 ‘제 2 유추’에서 이 명제를 자신의 초월적 방법론을 통해서 증명한다. 이 논증의 성공 여부, 타당성, 구조에 대해서 심한 논쟁이 빚어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스트로슨(Peter F. Strawson)은 이 논증이 ‘매우 불합리한 추론’이라고 비판한다. 이에 반해 다른 칸트 학자들은 스트로슨의 비판을 논박하고 ‘제 2 유추’의 논증이 성공했다고 주장한다. ‘제 2 유추’의 증명이 지니는 함축과 관련되어서도 심한 논쟁이 있다. 한 입장은 ‘제 2 유추’의 논증이 성공할 경우 ‘모든 사건은 원인을 가진다.’는 초월적 원칙만이 증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다른 입장은 ‘제 2 유추’의 논증이 성공할 경우 위의 초월적 원칙 뿐만 아니라 자연과학법칙들 혹은 일상적 경험의 규칙들의 현존과 필연성도 함께 근거지워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제 2 유추’를 둘러싼 위와 같은 논쟁들을 다룰 것이다. 우리는 초월적 관념론(transcendental idealism)이라는 칸트의 전제를 받아들이면 스트로슨의 비판이 반박된다고 주장할 것이다. 또한 ‘제 2 유추’의 증명이 성공하더라도 초월적 원칙 이외에는 다른 법칙들, 예를 들면 자연과학법칙의 현존이나 필연성까지고 반드시 근거지워질 수는 없다고 주장할 것이다. ‘제 2 유추’의 증명은 자연과학법칙들이 실제로 현존하는데 필요 조건일 수는 있지만 충분조건일 수는 없다.
more초록/요약
The concept of causality in Kant's philosophy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named 'causality according to nature', the other is named 'causality from freedom'. The former is concerned with Kant's theoretical philosophy and the latter is concerned with Kant's moral philosophy. This thesis is considering with the concept of causality that is associated with Kant's theoretical philosophy.(causality according to nature) The second analogy in Critique of Pure Reason is one of the main chapters where Kant handles the concept of causality that is associated with his theoretical philosophy, so our work is concentrated on the second analogy in Critique of Pure Reason. Although causality is one of Kant's main concepts in his philosophy, it has a very obscure character to understand. The proposition that is directly concerned with this concept can be presented like this : Every events has a cause. In the second analogy, Kant proves this proposition through his transcendental methodology. The success, validity and structure of this proof are in a quite subtle controversy. For a typical case, Peter F. Strawson criticizes that this argument is 'a numbing grossness of non sequitur'. On the other hand, other philosophers refute Strawson's criticism and argue that if we consider other aspects of Critique of Pure Reason, the second analogy is not an invalid argument. There is also an severe controversy concerned with the implication of the second analogy. Some argue that if the second analogy's argument is successful then only the transcendental principle, that is 'every event has a cause', can be verified. Others argue, however, that if the second analogy's argument is successful then not only the transcendental principle but also the existence and necessity of other rules or laws are grounded. For an example, Michael Friedman thinks that the existence and necessity of some sort of laws of natural science are fully grounded through the second analogy. This thesis considers these controversies that are involv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second analogy. We argue that if we accept transcendental idealism that is one of Kant's important theme, then Strawson's charge is answered. We also argue that even if the arguments in the second analogy succeed, the existence and necessity of other rules or laws, e.g. some kind of laws of natural science, isn't fully grounded. The argument in the second analogy shows that the transcendental principle of causality is only a necessary conditions for this kind of rules or laws, not a sufficient condi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