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Anger Expression : by Focusing on Mothers of Fifth and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early adolescent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양육스트레스에 노출된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분노표현의 관계를 규명하여 향후 어머니의 정서적 지원을 위한 보편적 사회복지서비스의 대안 마련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며,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분노표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분노표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분노표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방법은 서울시, 경기도, 전남의 4개 초등학교에 다니는 5,6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 242명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연구도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척도는 Abidin(1990)이 개발한 PSI(Parenting Stress Index)를 축소 개정한 강희경(2003)의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 척도는 기능척도는 박지원(1985)의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지지구조 척도는 박지원(1985)의 검사 도구를 문혜련(1998)이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노표현 척도는 Spielberger, Krasner와 Solomon(1988)의 상태-특성분노표현척도(STAXI)를 전겸구(1996)가 한국판으로 개발하고 권효정(2007)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WIN 12.0를 이용하였고, 기술통계를 하기 위하여 T-test,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가설 분석을 위해서는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성적, 어머니 직업유무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자녀성별, 자녀수, 자녀성적, 어머니의 학력, 직업, 가계 월 소득에 따라서 사회적 지지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셋째, 자녀성적이 상이라고 지각하는 어머니는 분노표현에 있어서 기능적인 분노통제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분노표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분노억압이 높았다. 이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적인 함의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자녀가 사춘기에 접어들 즈음 어머니는 자녀양육 스트레스로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자녀의 연령대별 특성에 맞는 전문적인 프로그램과 교육을 통하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직업을 가진 어머니가 심리적 부담감 없이 자녀양육과 직업생활을 병행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어머니가 분노표현에 있어서 분노억압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어머니의 신체적․심리적 건강의 증진을 위하여 어머니가 자기주장적인 분노표현을 할 수 있도록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어머니가 양육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지역사회 단위의 다양한 사회적 지지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anger expressio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242 mothers who have fifth and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early adolescents in Seoul, Gyungki, Jeonnam area.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questionnaire of the scale of parenting stress for school-aged children by Kang Heekyoung in 2003, on the scale of social support by Mun Hyeryeon in 1998, and on the scale of anger expression by Kwon Hyojeong in 2007.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T-test, one-way ANOVA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SPSS WIN 12.0 program is us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re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stinctions in maternal parenting stress as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and maternal employment. Secondly, there are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stinctions in social support for mother as sex-distinction of childre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maternal scholastic and employment, monthly income. Thirdly, mothers with children of high academic achievements tend to have anger-control. Finally, there is statistically meaningful distinction in anger expression as maternal parenting stress, especially, it is found that high maternal parenting stress is strongly related with anger-in. The above results have some implications for the social work as follows: There need to run various programs helping reduce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ontrol anger expression. In addition, there need to establish special communal support for both employed and unemployed mother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