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칸트에서 통각원칙의 분석성과 종합성 : <순수이성비판>에서 연역 해석의 문제

Analyticity and Syntheticity of the Apperception Principle of Kant: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Transcendental Deduction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초록/요약

논문은 『순수이성비판』범주의 초월적 연역에서 그 논증의 열쇠로 간주되는 ‘초월적 통각의 통일원칙’을 다룬다. 통각원칙에 대한 해석적 접근은 다양한 쟁점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의 논문은 특별히 재판 연역 내에서 통각원칙의 논리적 측면에 주목하는 해석적 접근을 선택하고 있다. 논리적 측면에서의 접근을 통한 통각원칙 해석의 문제는 다음과 같이 제기된다. 첫째, 재판 연역 내에서 통각원칙은 분석적인가 종합적인가, 둘째, 통각원칙은 연역논증 내에서 전제인가 결론인가. 나는 재판 연역 내에서 통각원칙은 분석명제로 독해되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그리고 이는 통각원칙이 연역논증 전체의 전제임을 함축한다. 나는 이러한 해석이 첫째, 칸트 자신의 말을 왜곡시키지 않으면서, 둘째, 재판 연역을 그것의 목적과 관련하여 유의미하게 독해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비판』 내에서 통각 논의와 밀접히 관련된 오류추리론 텍스트와의 정합적 독해를 제공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통각원칙의 표준적 정식화는 B 131-32에서 제시된다. 이 원칙의 의미를 밝히고 그것의 분석성을 보이는 작업은 주로 앨리슨(H. E. Allison)의 연구에 의존한다. 재판 연역에서 통각원칙은 다음과 같이 진술될 수 있다. ‘논변적 지성의 사고활동은, 표상들의 하나의 종합적 통일, 즉 하나의 단일한 복합적 사고를 이루는 모든 표상들 각각이 하나의 단일한 주관에 귀속 가능할 수 있는 그런 방식으로 결합되어야 함을 요구한다.’ 이 규범적 진술은 재판 연역과 오류추리론에서의 칸트 자신의 말처럼 논변적(diskursiv) 지성 혹은 논변적 사고를 주어 개념으로 하여 그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풍부한 의미의 술어 개념들이 따라나오는 분석명제이다. 통각원칙의 종합성을 주장하는 입장은 크게 둘로 나눌 수 있다. 그것을 선험적 종합명제로 독해하는 입장(가이어(P. Guyer)와 헨리히(D. Henrich))과 경험적 종합명제로 독해하는 입장(키쳐(P. Kitcher))이 그것이다. 나는 이들의 입장을 크게 다음 세 가지 관점에서 반박한다. 첫째, 칸트 자신의 말. 둘째, 연역 텍스트 내에서의 정합성. 셋째, 오류추리론의 주요 주장들과의 조화. 이러한 비판의 과정에서 나는 논변적 지성의 활동, 곧 통각의 활동이 종합이라는 것과 그에 대한 규범적 진술이 종합을 포함하는 분석명제라는 것 사이의 차이에 대하여 예리하게 주목하였다. 칸트 학자들에게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는 연역의 목적은 A 90-91/B 123-24에서 드러나듯, 현상들이 지성의 사고 규칙들에 따르지 않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두려운 가능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연역은 감성적 직관에 주어진 것이 왜 사고의 조건들에 따라야만 하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답하기 위한 기획이다. 헨리히의 고전적인 논문 이후, 재판 연역논증의 구조에 대한 해석은 ‘하나의 증명 내에서의 두 단계들’이라는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통각원칙의 분석성 논제는 그 원칙을 연역논증의 그럴듯한 전제로서 봉사하게 하며, 이러한 연역의 목적과 논증 구조에 대한 해석적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선의 해석적 대안을 제시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thesis deals with 'the principle of the unity of transcendental apperception' which is regarded as the key of the transcendental deduction of the categories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There can be many interpretative approaches to the apperception principle taking account of various issues. My thesis focuses on the logical aspect of the apperception principle in the B-Deduction. Two interpretative problems coming out of the approach of the logical aspect are as follows: The one is of whether the apperception principle is analytic or synthetic in the B-Deduction. The other is of whether it is a premise or a conclusion in the argument of the Deduction. I argue that the apperception principle must be read as an analytic proposition in the B-Deduction. This implies that the apperception principle is a premise of the whole argument of the Deduction. Such an interpretation has at least three advantages over the other competing ones. First, it doesn't distort Kant's own words. Secondly, it can lead us to a meaningful reading of the B-Deduction considering its aim. Finally, it gives a reading coherent with the Paralogisms which are most closely related to the account of the apperception in the Critique. The standard formulation of the apperception principle is presented in B 131-32. I owe it to H. E. Allison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principle and then to show its analyticity. In the B-Deduction, the principle can be restated as follows: ‘The act of the thought of the discursive understanding requires that each and every representation, which consists of a synthetic unity of representations, namely a single complex thought, must be connected in such a way that they could be ascribed to a single subject.’ As Kant himself says in the B-Deduction and the Paralogisms, this normative statement is an analytic proposition which has a subject concept of the discursive understanding or thought and predicate concepts with rich contents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subject concept.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wo positions to support the syntheticity of the apperception principle. One is the position which interprets the principle as a synthetic a priori proposition. Both P. Guyer and D. Henrich are representative advocates of this position. The other position, which is advocated by P. Kitcher, interprets the principle as a synthetic a posteriori proposition. I criticize these positions from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The first is from Kant's own words. The second is from consistency in the Deduction. The third is from the harmony with the main arguments in the Paralogisms. The motive of this critical task is the observation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act that the act of discursive understanding, namely the apperception, is a synthesis and the fact that the normative statement about the act is an analytic proposition including the notion of the synthesis. As it is clear from A 90-91/B 123-24, the widely-accepted aim of the Deduction among Kant scholars is to rule out the fearful possibility that appearances might not follow the rules of the thought of the understanding. This is the project to answer the fundamental question why things which are given in the sensible intuition should follow the conditions of the thought. Since Henrich's landmark paper, every interpret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B-Deduction has to satisfy the criterion ‘two-steps-in-one-proof'. The analyticity thesis of the apperception principle not only makes this principle serve as a plausible premise of the Deduction, but also suggests the best interpretative alternative satisfying all the interpretative criteria for the aim and the structure of the Deduc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