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합리적 신념, 특성분노, 분노표현, 성역할정체감과 교사소진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belief,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Gender role Identity, and Teacher's Burnout
- 주제(키워드) 교사소진 , 비합리적신념 , 특성분노 , 분노표현 , 성역할정체감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최해림
- 발행년도 2010
- 학위수여년월 2010. 2
- 학위명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674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에서는 비합리적 신념, 특성분노, 분노표현, 성역할정체감 및 교사소진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 충청 지역의 중․고등학교 교사 5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합리적 신념 수준에 따른 교사소진 수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비합리적 신념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소진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성분노와 분노표현 수준에 따른 교사소진 수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특성분노, 분노억제 수준이 높을수록, 분노통제 수준이 낮을수록 교사소진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역할정체감 수준에 따른 교사소진 수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남성성 또는 양성성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소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합리적 신념 수준에 따른 분노표현 수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비합리적 신념 수준이 높을수록 분노억제, 분노표출 수준은 높고, 분노통제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비합리적 신념, 특성분노, 분노표현, 성역할정체감이 교사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분노억제, 분노통제, 공정성요구, 남성성, 분노표출이 교사소진에 영향을 미치며, 교사소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은 분노표현이었다. 여섯째, 분노표현이 비합리적 신념에 따른 교사소진 수준의 차이에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한 결과, 충분한 매개변인이 되지 못했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Burnout, Irrational Belief,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and Gender role Identity.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from 549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of Seoul, Gyeonggi, Chungcheong area.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 in teacher's burnout according to irrational belief showed that higher the level of irrational belief, higher the level of teacher's burnout. Secondly, the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 in teacher's burnout according to trait anger and anger expression showed that higher the level of trait anger and anger-in, lower of anger-control ,higher the level of teacher's burnout. Thirdly, the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 in teacher's burnout according to gender role identity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male and androgyny role, lower the level of teacher's burnout. Fourthly, the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 in anger expression according to irrational belief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rrational belief, higher the anger-in and anger-out, the lower is the anger-control. Fifthly, the result of verifying the affect of irrational belief, trait anger, anger expression, gender role identity on teacher's burnout, anger-in, anger-control, male role, and anger-out showed influence on teacher's burnout, with anger expression exercising most influence on teacher's burnout. Sixthly, the result of verifying whether anger-in and anger-control levels can act as a intermediary in the teacher's burnout differences in terms of irrational belief showed that anger-in and anger-control levels are not sufficient as intermediar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