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世紀 前後 國際情勢와 高句麗의 平壤遷都
The international landscape of around the 5th century and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ongyang(平壤) by Koguryo(高句麗)
- 주제(키워드) 平壤遷都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 지도교수 이종욱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일반대학원 사학과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52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5세기 전후 국제정세를 검토하여 平壤遷都의 배경을 살피는 데 있다. 지금까지 평양천도는 南進政策의 일환으로 단행되었다고 이해되었다. 또한 왕권강화와 귀족세력의 통제 및 한반도 서북부 일대의 경제적 기반의 확보, 그리고 평양지역의 인적․문화적 자원 획득이라는 배경도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는 평양이 가졌던 특성과 당시 고구려의 대․내외관계를 설명하면서 천도의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연구에서는 국제정세와 평양천도와의 관계 규명에 한계가 있었다. 평양은 한반도 서북지역의 중심지이며, 고구려가 遼東이나 한반도 남부로 진출하는 데에 거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역에 위치해 있다. 평양은 樂浪郡의 치소로 운영되어 발달된 교역망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고구려는 평양경영을 통해서 이를 외교․경제적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또한 평양은 고구려가 확대된 영역 통치에 필요했던 인적자원을 제공해 줄 수 있었던 지역이었다. 이러한 지정학적 이점은 고구려가 평양지역을 확보하고 평양으로 천도하는 데에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고구려는 故國原王의 평양지역 진출 이후에 이 지역을 직접 경영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백제가 漢山으로 移都를 단행하고, 近肖古王 이후 北進 의지를 드러내어 양국은 지속적으로 대결하게 되었다. 양국의 대결은 도성방어체제 및 평양지역의 확보를 위한 측면에서 불가피하였다. 특히 고구려는 확대된 영역에 걸맞은 통치체제의 마련을 위해 평양이 가지는 교역망과 그 인적자원의 확보가 필요했다. 이에 따라 고구려는 이 지역에 대한 확고한 영역화를 이루는 한 방안으로 천도를 고려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당시 중국 華北지역의 정세와 맞물려, 廣開土王代에 천도가 결정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400년 전후 중국 화북지역의 정세변화는 특히 천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前秦과 우호관계를 유지하던 고구려는 肥水戰鬪 이후 後燕과 국경을 접하게 되었다. 후연은 395년 參合陂 전투에서의 패배로 인해 龍城으로 퇴각하였고, 그 세력권 또한 遼西․遼東 일대로 축소되었다. 이에 따라 양국은 요동에서의 세력권 확보를 위해 대결하게 되었다. 고구려는 후연에게 주요 軍鎭을 함락당하는 사건을 경험함으로써, 國內城 수도방위체계의 취약성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396년에 이미 40만이라는 대단위의 군사를 동원할 수 있었던 역량을 가졌으며, 후연의 수도 中山을 함락시켰던 北魏의 위협에도 대응책을 마련해야만 했다. 이러한 북위의 위협은 북연의 등장 이후 더 강해졌다. 후연의 잔존세력으로 이루어진 북연은 이미 성립 초기부터 멸망이 감지되었기 때문이다. 북위는 423년 무렵 護東夷校尉府를 요서에 진수시킴으로써, 東夷監護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를 표출하였다. 따라서 고구려로서는 이러한 북위의 동방정책에 대응하면서, 지속적인 국가발전을 도모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그 결과 장수왕은 북연이 존재하여 일종의 완충지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북위가 화북통일을 완수하기 이전 시기인 427년에 평양으로 천도를 단행하였다. 평양천도 이후 고구려는 南․北朝에 대한 兩面外交를 전개하였다. 이러한 국제관계의 전개에서 평양천도는 중요한 의의를 가졌던 것으로 생각된다. 평양천도를 통해 황해 중부의 해상권을 확보함으로써, 고구려는 남조와의 교섭을 확대하고 백제의 對北魏外交를 억제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북위가 남조와 대립하는 상황에서, 국경부터 수도까지 방어 從心을 길게 하여 쉽게 고구려를 공격할 수 없도록 하는 요인을 제공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당시 국제정세를 고려해 살펴보면, 고구려가 남․북조 竝立에 따라 가변성이 많은 시대적 배경 속에서 외교관계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실리를 추구했던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평양천도는 북위의 위협을 저지하면서도, 양면외교를 통해 적극적으로 실리를 추구할 수 있게 한 배경의 하나였다. 따라서 이러한 평양천도를 단행한 배경도, 고구려가 국제정세를 고려하면서 평양이 가진 이점을 획득하려고 했던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view the international landscape of around the 5th century in order to study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ongyang(平壤) by Koguryo(高句麗). In the historical academic community,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Koguryo transferred its capital to Pyongyang as part of its southward expansion policy. Also argued by some scholars were : (1) the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and the control of the nobility ; (2) the will to secure an economic base on the northwest Korean Peninsula ; (3) the acquisition of human and cultural resources around Pyongyang. Previous studies has been being conducive to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Pyongyang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 of Koguryo in the 4~5th centuries, and to understanding the backdrop of the capital transfer.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have shown their limitations in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Northeast Asia's international situation at that time and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ongyang Pyongyang is the strategic key spot on the northwest Korean Peninsula, and it is located in where Koguryo was able to lay the foundations for its policy to advance to Liáodōng(遼東) or the south Korean Peninsula.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of Lèlàngjùn(樂浪郡) was located in Pyongyang with a well-organized trading network, and so Koguryo had a good use of the city in terms of foreign policy and economy. In addition, Pyongyang was able to provide Koguryo with human resources necessary for its rule over its expanded territories. These geopolitical advantages served as important factors for Koguryo to make its efforts to secure Pyongyang and transfer its capital thereto. Koguryo set out to rule Pyongyang in a direct manner since King-Gogukwoen(故國原王) had occupied the district. However, as Baekje(百濟) transferred its capital to Hansan(漢山) and King-Geunchogo(近肖古王) showed its will to expand his nation's sphere of influence toward northern area of Han River, Koguryo and Baekje had no choice but to confront each other continuously. The two nations' rivalry was inevitable in terms of fortifying their capital defense systems and occupying Pyongyang district. In particular,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Koguryo to get Pyongyang because the city's trading network and human resources were necessary for the nation to come up with a ruling system commensurate with its expanded territories. Therefore, in order to guarantee the security of its rule to Pyonyang, Koguryo decided to transfer its capital during the period of King-Gwanggaeto(廣開土王)'s reign, and this was fueled by political landscape in Huàběi(華北), China. The change in political situation in Huàběi around A.D. 400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ransfer of capital. Koguryo ha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Qiánqín(前秦), but its border contacted with that of Hòuyān(後燕) after Féishuǐ-battle(肥水戰鬪). Hòuyān suffered an overwhelming defeat in Cānhépí-battle(參合陂戰鬪) in 395, and so it withdrew to Lóngchéng(龍城) having its sphere of influence shrunk around west and east areas of Liáohé(遼河). As a result, Koguryo and Hòuyān became in rivalry to secure their sphere of influence in Liáodōng. The former suffered the loss of major military bases by the latter, and it yet again recognized its vulnerability of capital defense system. In addition, Koguryo had to have a deterrent to the threat from Běiwèi(北魏), which had already been able to mobilize a 400,000-strong troop and conquerred Zhōngshān(中山), the capital of Hòuyān. Since the emergence of Běiyān(北燕), the threat from Běiwèi became stronger as the collapse of Běiyān,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remaining groups of Hòuyān, was predictable since its beginning. In 423, Běiwèi launched an military outpost in Liáoxī(遼西) to show its active will to check up its eastern neighboring nations. Therefore, Koguryo thought that it should react to the eastward expansion policy by Běiwèi and push for a persistent national development. As a result, in 427, when Běiyān served as a buffer state before the reunification of Huàběi by Běiwèi, King-Changsu(長壽王) transferred the capital to Pyongyang. Since the transfer of capital, Koguryo implemented an equidistant policy toward North and South Dynasties in China. Against this backdrop,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ongyang had an important meaning, because it permitted Koguryo to gain the control of the central Yellow Sea, which allowed the nation to expand its bargainings with South Dynasties and restrict Baekje's foreign policy toward Běiwèi. In addition, amid the conflict between North and South Dynasties, the transfer of capital stretched the length of Koguryo's national defense from borders to capital, which seemed to be a factor that deterred an aggressive war against Koguryo. If the transfer of capital is reviewed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national landscape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when the parallel existence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produced a variety of chang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at Koguryo tried to attain its national interests making a good use of its diplomatic ties with the dynasties. It is noteworthy to think that with a consideration of international circumstances, Koguryo made efforts to gain Pyonyang's advantages.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ongyang served as a background that made it possible for Koguryo to deter the threat from Běiwèi and push for its interests actively through an equidistant foreign polic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