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른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 필요성 연구 : 현업종사자들의 2차 재교육을 중심으로
- 주제(키워드) 문화산업 , 인적자원개발 , 콘텐츠 , 디지털화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이수영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언론대학원 디지털미디어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52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의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문화산업 역시 긴밀하게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산업의 전반적인 밑그림이 바뀌게 되었다. 향후 국가를 이끌 미래지식선도 사업으로 문화산업이 각광 받는다는 사실은 이미 수많은 연구 자료와 언론 보도를 통해 익히 알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해 정부 각 부처 및 기업의 투자와 관심은 나날이 커져만 가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방송과 통신의 융합으로 대표되는 디지털화(Digitalizing)는 문화산업의 변화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콘텐츠(Contents)라는 개념이 문화산업에 깊게 접목되면서 ‘문화콘텐츠 산업’ 혹은 ‘디지털 콘텐츠산업’, ‘디지털 문화 콘텐츠 산업’이라는 신조어를 낳게 되었고 명확한 구분은 없지만 동일 개념으로 인지하고 문화산업의 디지털화로 진보된 새로운 산업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소위 ‘감(感)’의 산업으로 불려지던 문화산업은 디지털화(Digitalizing)라는 변화를 통해 콘텐츠라는 객관적인 지표로 문화콘텐츠 산업이라는 새로운 옷을 입게 되었다. 본 연구는 문화산업의 디지털화를 통해 달라진 문화산업의 환경 변화를 알아보고 이러한 변화로 생긴 문화콘텐츠 산업에서 인적자원개발의 중요성과 현재 문화산업의 교육현황과 산업종사들의 설문연구를 통해 디지털화에 따른 문화산업 현업 종사자들의 2차 재교육의 필요성과 재교육 내용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상당수의 문화 산업 종사자들은 정규교육과정(전공)과 무관하게 현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과거의 교육내용에 만족하지 못한채 현업에 종사하고 있음을 설문을 통해 파악 하였다. 문화산업의 시장 성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다수의 기업들이 영세한 조직이다 보니 담당 업무의 전문성은 점차 떨어지고 있으며 이는 문화산업의 가파른 디지털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 하였다. 문화산업 현업 종사자들은 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라 업무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으며 부담 내용으로는 업무분량, 새로운 환경적응에 대한 부담 등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업무 중의 어려움과 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른 가중되는 업무의 부담이 재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증가시킨 것으로 파악되고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75.0%정도의 응답자들이 재교육에 대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영화, 방송, 게임, 캐릭터/애니메이션, 출판 업계 종사자들이 재교육 필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른 실제 재교육에 필요한 교육 내용으로는 통계관련 교육이 가장 니즈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는 기본적 법률관련(저작권 등)이었으며, 기본소양교육, 즉 어학에 대한 교육의 니즈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런 결과는 디지털화(Digitalizing)를 통한 문화산업이 콘텐츠 산업으로 컨버팅 되어 몇 가지의 중대한 환경변화를 가져 왔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문화산업 자체가 콘텐츠 개념의 도입으로 각각의 고유한 정보화를 통해 고도의 DB구축이 가능하여 정확한 통계분석 및 다양한 사업 군으로 확장될 수 있는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그동안 문제로 지적된 문화산업이 특정 개인의 경험이나 주관적인 견해를 통해 ‘감(感)’의 산업이라 일컬어지던 문화산업의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인적자원개발 학자인 네들러(Nadler)의 교육모형과 같이 산업 종사자들의 욕구 분석을 통한 교육 내용 수립 후 지속적으로 단계별로 피드백을 통해 교육내용을 개선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설문조사하여 문화산업의 디지털화에 따른 현업종사자들의 2차 재교육에 대한 교육지침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두려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