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적 의제 수립과정에 관한 연구 : 동영상 UCC 이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tential-Agenda-Building Process : Focusing on UCC video User
- 주제(키워드) 잠재적 의제 수립과정 , 동영상 UCC 이용자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지도교수 김학수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 파일정보 한글 2004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49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본 연구는 동영상 UCC 이용자 그리고 동영상 UCC 이용자, 그리고 동영상 UCC를 둘러싸고 있는 미디어 환경에서 나타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탐구하는 데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UCC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행동과정 중, 동영상 UCC 이용자 그룹에 의해 일차적으로 의제가 형성되는 소위 잠재적 의제 수립과정(the potential-agenda-building process)을 살펴보았다. 동영상 UCC에서 나타나는 잠재적 의제 수립과정은 동영상 UCC 행동의 주체와 그것의 행동을 과정(노출  주목  인지  행위)으로 개념화할 때 가능하다. 기존의 의제수립 연구는 특정 이슈에 대한 미디어 보도의 강조도와 그 이슈의 중요성에 대한 수용자인 대중들의 지각 사이에 인과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본다. 그러나 기존의 의제수립 연구에서는 의제수립 ‘과정’에 대한 분석이 없이 그것이 주는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행동의 주체를 구분하고, 그것의 행동과정을 단계적으로 구분하는 모델을 적용하였다. 이것은 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효과 중심의 의제설정 연구에서 벗어나, 의제설정이 이루어지기 이전의 ‘의제 수립과정’으로 연구를 확장하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겠다. 본 연구는 동영상 UCC가 제기한 공동체 문제에 대한 관여 정도에 따라 그것의 적극적 이용에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살펴보는 [연구문제 1]을 검증하기 위해서 동영상 UCC 이용자 편에서 이용 행위를 [Step 1]과 [Step 2]로 구분하였다. [Step 1]은 동영상 UCC 메시지에 대한 반응으로, 동영상 UCC가 제시한 공동체 문제에 대한 이용자의 관여정도를 살펴보는 과정이며, [Step 2]는 이용자의 독립적인 행동과정으로, 동영상 UCC가 제기한 공동체 문제에 대한 관여 정도가 메시지에 대한 반응 이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과정이다. 분석결과, 동영상 UCC에서 제기한 공동체 문제에 대한 관여정도와 그것의 적극적 이용 사이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earson 상관계수 = .435, P = .000). 즉, 동영상 UCC에서 제기한 문제에 대한 관여정도가 높을수록 이와 관련된 동영상 UCC를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동영상 UCC를 본 뒤 취한 구체적인 행동의 강도를 크게 세 그룹(적극성 낮음, 적극성 보통, 적극성 높음)으로 구분하여 이들 집단의 평균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구체적인 행동의 강도(Step 2)에 따른 동영상 UCC 관여정도(Step 1)의 평균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 = 32.537, P = .000). 동영상 UCC를 본 뒤 취한 행동의 적극성 정도는 동영상 UCC에서 제기한 그 문제에 대한 이용자의 관여 정도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이다. 동영상 UCC에서 제기한 공동체 문제에 대한 관여정도가 낮은 이용자는 보는 것으로 만족하고, 그 동영상 UCC에서 더 이상 새로운 관심거리를 발견하지 못했다. 반면, 동영상 UCC에서 제기한 공동체 문제에 대한 관여 정도가 높은 이용자는 단순히 그것을 보는 것에서 나아가 그것과 관련된 정보를 찾거나, 댓글을 달았으며, 문제와 관련된 동영상 UCC에서 새로운 관심거리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행위과정 분석에 추가적으로 UCC에 대한 일반 인상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응답자들은 참신함이나 재미, 흥미 위주로 UCC에 대한 인상을 갖고 있었다. 이처럼 대부분의 UCC 이용자들은 UCC를 '놀이거리'로 인식하고 있었다. 인터넷 이용을 통해 느끼는 재미나 오락과 같은 '놀이거리'는 그 안에서 '문제'를 느끼기 어렵기 때문에 잠재적 의제까지 나아가기는 어려워 보인다. 비록 UCC 자체가 가지고 있는 공동체 기능은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지만, 우리는 이용자가 관심 있는 사회적 문제와 관련된 동영상 UCC를 접하게 될 경우 동영상 UCC에 대한 관여도는 높아질 수 있음을 [연구문제 1]을 통해 확인하였다. 즉, 문제 해결과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동영상 UCC는 무의미하지만 이를 활용할 경우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의제'와 관련되어 동영상 UCC 이용자의 행위과정을 살펴보는 관점이 이용자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가는 방식으로 여겨진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examine and empirically explore the communication process of UCC video and UCC video user. Generally, most of communication research, especially agenda-setting research, concentrate on the effect of media message, which made audience changed their opinion. As a result, the process of the media message has not been studied and it makes us focus on only traits of the observed and the outcome of media message.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potential-agenda-building process of UCC video user, which is the primary stage of the agenda-setting. The potential-agenda-building process is conceptualized as the act of sequence of exposure, attention, cognition, and behavior. The consideration of UCC video users behavioral process enables us to understand of developing the potential-agenda into an official agenda. This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engagement and community problem in the UCC video. To solve the ?kresearch question?l, the patterns of users' behavior are divided into [Step 1] and [Step 2]. [Step 1] is the response to the UCC video messages, and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degree of user engagement in community problem of the UCC video. [Step 2] is an independent behavioral process which is examining how much influence the degree of user engagement in community problem of the UCC video. It is a behavior following the reaction to the messages. As a result, the implication was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engagement in the UCC video and its active use(Pearson r = .435, P-value = .000). In other words, the higher degree of engagement, the more active use of the relevant to UCC video. Also, the intensity of detailed behavior after watching the UCC video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low, average and high level of activity) and average of the difference group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the degree of UCC video engagement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detailed behavior(F = 32.537, P-value = .000). That is, the intensity in the behavioral activity after watching UCC video varied according to the users' engagement. Users with low engagement only watched, and did not find any more new interests in the UCC video. In contrast, those users who were highly engaged showed higher interest by trying to find further related information, new interests, or write comments rather than just watching. In this study, the general impression about 'UCC' was additionally carried out in the analysis of users' behavioral process. It is discovered that the respondents had impressions such as originality, fun, or interest towards the UCC. Likewise, most UCC users recognized UCC as something to 'play' or have fun with.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verified that investigating the behavioral process of the users is an important way to understand media users as well as the media itself. Especially, the degree of engagement in the problem was a very effective method to find out the intensity of users' activity, and also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user behavior in depth. As we can see in the general impressions about UCC, they are mostly fun and interest oriented, while the UCC's function as a community itself is not so big. Something to 'play' which is fun and entertaining would not make it possible to feel the 'problem'. However, when users face a UCC video which is related to community problems that they take an interest in, their engagement in the UCC video could become higher which is verified in ❲research question❳. In regard with the problem solving, generally UCC video does not have much meaning, but if it is well used, it could become more meaningful. Therefore, the point of view in which UCC video users' behavioral process i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agenda is considered to be a method to approach the users more closely.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