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영어 교육 과정에 필요한 효과적인 읽기 전 활동 방안
Effective Pre-Reading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Curriculm
- 주제(키워드) 읽기 전 활동 , 중학교 영어 교과서 읽기 전 활동 분석 , pre-reading activities , textbook analysis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채서영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450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Our English education has spent much more time in teaching reading than other skills such as speaking, listening, or writing; however, according to the several studies on the reading strategies, most Korean learners fail to be an efficient reader and apply appropriate reading strategies to the reading process. Also, the studies insist that the reason unfortunately lies in pre-reading activities on textbooks they use in their class. Generally, pre-reading activities can be useful tools of teaching reading strategies since students can learn what the reading strategies are and how to use them naturally as performing the activities; nevertheless, the pre- reading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 are less likely to introduce efficient reading strategie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pre-reading activities in texts book briefly, modify them, and suggest efficient pre-reading activities. First, three different pre-reading activities such as anticipating (guessing main idea), previewing (scanning and skimming), and teaching vocabularies were chosen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 of 2nd grader. These activities in the textbook were problematic: the anticipating activities were not appropriate for those students who lacked previous knowledge of the reading text they read; the previewing activities were not interesting and motivating itself and students were reluctant to participate in them; the teaching vocabularies activities could not urge students to use the words in their language and students would forget them easily. Secon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several factors were considered such as students’interests and motivation on the activities, dynamic interaction with peers, time limits to activities, integrations with speaking and writing, and proper time allotment in class. This study suggests the effective pre-reading activities as follows: as effective anticipating activities, ①showing pictures and brainstorming, ②filling in the blanks of a summary of the text, and ③ordering story strips; as effective previewing activities, ①performing the true or false game with red or green lights, ②finding specific events and ③putting the events in order with time limits; as effective words activities, ①Jeopardy and ②matching pictures with correct sentences. Next, three experiments were set up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uggested activities. In all of the experiments, participants were two classes of 2nd grader of a middle school in Seoul chosen by their midterm exam score and they were equal in the proficiency of reading comprehension. One of the groups performed the pre read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and the other did the suggested activities. After performing the pre-reading activities, they took the same comprehension test and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test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s a result, the resul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he suggested pre-reading activities were more effective that the one of the textbooks. In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at the effective pre-reading should be engaged in interests, motivation, interaction with peers, and integration with speaking and writing. Moreover, the effective pre -reading activities can help students get used to the efficient reading strategies and understand various reading materials better so that students can improve their reading competence as an active and efficient reader. Therefore, it is advised that textbooks should present more diverse interesting, appropriate pre-reading activities in order for learners to practice a variety of strategies. Besides, not only should a teacher be qualified to perform these activities in class, but also the chapters of textbooks should be reduced gradually to let a teacher spend enough time in performing pre-reading activities.
more초록/요약
우리 영어 교육에서 오래 동안 읽기 교육이 강조되어왔지만 많은 선행 연구 에서 학생들이 시간 대비 효율적으로 읽기를 하지 못한다고 보고하였으며 그 이유는 효과적인 읽기 전략을 지도하는 읽기 전 단계 활동이 적절히 진행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현장 수업에서 효과적인 읽기 전 활동의 실행은 학생들의 효율적인 읽기를 위해 시급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에 수록된 읽기 전 활동(내용 추론 활동, 훑어 보기 활동, 어휘 학습 활동)들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보다 효과적인 읽기 전 활동 방안을 제시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효과적인 읽기 전략이 필요한 학생들과 읽기 전 활동을 통해 읽기 전략을 지도해야 하는 교사들에게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과서에 수록된 읽기 전 활동 유형 중 내용 추측 활동을 정하여 효과적인 내용 추측 활동을 제시하자. 둘째, 교과서에 수록된 읽기 전 활동 유형 중 주제 추론 활동을 정하여 효과적인 주제 추론 활동을 제시하자. 셋째, 교과서에 수록된 읽기 전 활동 유형 중 어휘 활동을 수정하여 효과적인 어휘 활동을 제시하자. 위의 연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D출판사의 중 2 영어 교과서에 수록된 읽기 전 활동들을 선택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수정한 뒤 그 수정안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모 중학교 두 개의 학급 중 A 학급 35명은 교과서의 읽기 전 활동을 하고 B 학급 35명은 수정한 활동을 한 뒤 독해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T-test로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내용 추측 활동은 학생들은 생소한 지문에 대해 배경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은 지루함을 느끼고 동기 유발이 되지 않는다. 본 연구자는 학생들의 흥미, 동기 부여, 말하기와 쓰기의 통합적인 수업 모형, 적절한 시간 배분을 고려하여 첫째, 사진보고 브레인 스토밍 활동을 하면서 내용 추측을 한 뒤 둘째, 중심 단어와 구문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추측해 보고 마지막으로 이야기 스트립의 순서 맞추기를 통해 전체적인 내용 추측 활동을 제안했다. 둘째, 교과서에 수록된 훑어 읽기 활동은 학생들 개별적으로 독해 질문을 빠르게 읽게 하는 활동으로 다소 학생들이 지루해하고 학습의 흥미도 유발하지 못하므로 본 연구자는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 부여, 역동적인 활동성, 통합적인 수업 모형, 적절한 시간 배분을 고려하여 첫째, 문장 듣고 참/거짓을 찾기 위해 빠르게 훑어 읽은 후 둘째, 시대별 사건을 찾기 위해 빠르게 훑어 읽고, 마지막으로 이야기 순서를 맞추기 위해 빠르게 훑어 읽기 활동을 제안했다. 셋째, 교과서에 제시된 어휘 활동은 새로운 단어와 영어로 쓰여진 단어의 의미를 연결하는 것인데 학습자가 직접 발화할 기회가 없기 때문에 본 연구자는 학습자에게 새로 배운 어휘를 내재화하고 발화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첫째로 새로운 단어를 활용한 Jeopardy 활동과 둘째는 지문과 관련된 교과서 외의 단어 습득을 위한 짝꿍 찾기 활동을 제안했다. 위의 세가지 수정한 읽기 전 활동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비교 집단은 교과서 활동을 하고, 실험 집단은 수정한 읽기 전 활동을 한 뒤 독해력 테스트를 하여 그 결과를 T-test를 통해 분석한 결과 두 집단의 독해력 테스트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효과적인 읽기 전 활동의 실행은 효율적인 읽기 전략을 지도하며, 학생들의 독해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 그러므로 현장의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읽기 전 활동은 효율적인 읽기 전략을 배울 수 있는 중요한 단계임을 인식시키고, 교사 스스로도 그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하여야 한다. 둘째, 현장의 교사는 읽기 지문의 특성과 학생들의 흥미를 고려하여 다양하고 재미있는 읽기 전 활동을 적용하여야 하며 교과서의 읽기 전 활동을 재구성하거나 새로운 읽기 전 활동을 구상할 수 있는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 셋째, 영어 교과서의 단원의 수도 적절하게 축소시켜 현장의 교사들이 효과적인 읽기 전 활동을 할 수 있게끔 시간적 여유를 주어야 한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