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현대사』교과서의 박정희 집권기 경제관련 서술에 관한 검토 : 여성 노동자 관련 서술을 중심으로
Study of Economy-related descriptions in National Textbook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during the Era of Park Jung-Hee :Centering on Descriptions of Women Laborers
- 주제(키워드) 여성 노동자 서술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최기영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439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학교수업의 주 교재인 교과서는 수업목표를 구현하는 수단이 동시에 교수-학습방법의 선정과 평가기준이 된다. 학습자는 교과서를 통해 역사를 접하고 학습 보조 자료를 통해 자료를 탐구하고 역사적 사고를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역사수업의 전 과정에서 제시되는 학습 자료의 구성은 학습자의 역사인식 확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제 7차 교육과정의 시행과 함께『한국 근․현대사』과목이 사회 선택과목으로 분류되어, 검인정제 하에 총 6종의 교과서가 편찬되었다. 각 출판사마다 다양한 역사 서술을 위한 변화를 시도하였지만 극복하지 못한 한계점이 존재하고 있다. 『한국 근․현대사』과목의 서술적 편향성은 여전히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정부 중심의 서술과 남성 중심의 서술이 대표적 사례이다. 이는 학습자에게 사회적 소수자의 역사를 가르치지 못함으로써 오히려 사회발전의 진정한 주체를 알지 못하고 지나치게 할 수 있다. 특히 『한국 근․현대사』의 단원 중 <1960~1970년대 경제발전> 단원에서 그 문제점이 더욱 부각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역사를 학습함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교과서에서부터 그 문제점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1960~1970년대 경제발전>단원을 분석하고 그 대안을 모색해 보았다. 기존의 6종 교과서의 구성 체제, 내용서술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존의 연구동향을 반영하여 교과서 편술체제와 내용의 개선점을 적용하여 단원을 재구성하였다. 교과서를 서술하는데 있어 중점을 둔 주안점은 세 가지이다. 가. 교과서의 편향적 서술을 극복한다. 나. 여성 노동자들의 사회․경제적 역할에 주목하여 그들의 영향력을 살펴본다. 다. 다양한 보충 학습 자료를 통해 역사적 상상력을 향상시킨다. <1960~1970년대 경제발전>단원은 현대의 경제 발전 과정에서 그 주체를 인식하게 하는 부분으로서 의미가 크다. 때문에 현행 교과서의 노동자에 대한 서술태도는 수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하나의 소단원의 분석을 통하여 그 대상을 한정하였기 때문에 분석 결과를 모든 영역으로 확대하여 해석하기는 어렵다. 또한 실질적으로 학교현장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많은 수정과 연구가 요구된다. 이 연구의 성과와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학습자가 역사를 보다 공감하게 할 수 있는 교과서를 편찬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많아져야 하겠다. 교사와 학생 모두 교과서에 대한 ‘고정성’을 인정하기보다 ‘역사의 가변성과 다양성’을 유념하고, 그것을 교과서에 적용시켜 교육현장에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하는 교과서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more초록/요약
National textbooks, the main textbooks for school education, are the basis for selecting and evaluating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as well as being a tool for achieving the goals of the lessons. Students can learn history through the textbooks and explore the references with the supplementary study materials, and experience historical thinking in the process.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study references provided throughout the curriculum in history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learners' historical thinking. With the 7th national curriculum coming into operation, the subject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has become an elective course in Social Studies, and has been compiled into a total of six kinds of textbooks with official approval. Although each publisher tried to change the content for historical descriptions with more variety, there still exist limitations to be overcome. However, a descriptive propensity is still being pointed out in the new textbook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he main examples of this are the government-oriented and man-oriented descriptions. This could be a mistake in that students may not come to understand the true main body of social development because they will not learn about the history of social minority groups. This is especially the case in the chapters on <economic development in the 1960's and 1970'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textbook itself which is the basis for the studying of history. Having a critical approach to the issue, this study has analyzed chapters on <economic development in the 1960's and 1970's> and has sought better alternatives. The construction and description content of the existing six kinds of textbooks are analyzed and investigated to show the problems, and using evidence from related research trends, the chapters are re-constructed to include improvement in terms of the compilation system and content of the textbooks. There are three main aims of the suggested improvements. They are to: a. Overcome the biased description b. Focus on the social and economic role of women laborers and examine their influence c. Nourish students' historical imaginative power through various supplementary study references The chapters on <economic development in the 1960's and 1970's> are significant in recognizing the main body of modern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n history. Therefore the present biased descriptive attitude towards laborers which appears in existing textbooks must be amended. However, as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analysis of one aspect of the textbooks,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to all areas. Furthermore, for a realistic application to the area of contemporary school education, many additional corrections and further research will be required. In order to supplement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many more attempts will have to be made to compile a textbook that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history in more sympathetic manner. Rather than having a 'fixed' attitude towards the textbook, both teachers and students will have to consider the 'flexibility and variety of history', and with its application in the textbooks, it is hoped that fresh-looking textbooks will be produced which can achieve the maximum effect in schools.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