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국어 복합어의 등재와 어휘화 연구

A Study on the Listedness and Lexicalization of Complex Words in Korean

초록/요약

이 연구는 복합어의 등재 기준과 유형을 제시하고, 아울러 통시상의 등재소 외적․내적 변화에 따른 어휘화 기준과 유형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등재와 어휘화는 각각 복합어에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과정으로 이해한다. 두 구성성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복합어는 어휘부 구성 요소인 어휘소에 해당한다. 어휘소 가운데 일부는 어휘부 내 특정 공간(등재부)에 저장됨으로써 등재소가 될 수 있으며, 또 등재소 가운데 일부는 통시적 변화에 의해 어휘화할 수 있다. 2장에서는 복합어 어휘소의 등재를 논의한다. 이 연구가 관심 갖는 형성 차원의 등재를 중심으로 초기 생성형태론의 등재 관련 논의를 살펴보고, 여기서 ‘정합성’의 속성을 바탕으로 복합어 등재의 개념과 기준을 제시한다. 이때 복합어 등재를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함으로써 그 양상을 확인하고, 문법적 차원의 부분 등재 관점에서 이른바 ‘일회용규칙’을 비판적으로 살핀다. 또한 정합성을 중심으로 복합어의 ‘생산성’과 등재와의 관련성을 조명한다. 3장에서는 복합어 등재소의 어휘화를 논의한다. 등재부에 저장된 복합어 등재소 가운데 일부는 통시상의 외적․내적 변화로 인해 공시적인 함수 관계를 충족하지 못한다. 이때의 함수 관계를 ‘합성성’과 관련지어 어휘화의 개념과 기준을 제시한다. 이때 등재소 어휘화를 음운론․형태론․의미론의 세 가지 유형에 따라 살펴보고, 하나의 등재소 내에서 확인되는 다층적인 어휘화 양상을 관찰한다. 또한 복합어의 정합성과 합성성을 중심으로 등재소 어휘화와 관련된 ‘투명성’ 양상을 살펴본다. 4장에서는 전체적인 내용을 요약하며 이 연구의 의의를 확인한다. 아울러 이 글에서 해결하지 못한 남은 문제를 제시한다.

more

초록/요약

This thesis aims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the listedness and lexicalization and to examine the types of them,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listedness and lexicalization are applied to complex words in order. A complex word formed by combining two constituents(lexemes) is also regarded as a lexeme. A part of lexemes can be the listeme by being stored in a certain space of lexicon, and, similarly, a part of listemes can be lexicalized by diachronic changes. In Chapter 2, I discuss the listedness of complex lexemes. Focusing on the listedness in light of formation, I research previous studies about the listedness in early Generative Morphology and present the notion and criteria of the listedness of complex lexemes based on the properties of coherence. I also examine three kinds of the listedness of complex lexemes and discuss so-called once-only rule critically from the view of the partial-listed hypothesis. In addition, I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ductivity and listedness of complex lexemes in light of coherence. In Chapter 3, I investigate the lexicalization of the listemes. Some parts of listemes cannot fulfill the synchronic functional relations for diachronically external and internal changes. Presenting the notion and criteria of the lexicalization of listemes based on the properties of compositionality, I examine the phonological, morphological, and semantical lexicalization of listemes and the multi-layered aspects of lexicalization. Additionally, I focus on the transparency of complex lexemes in light of coherence and compositionality. In Chapter 4, summarizing the thesis, I pres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uggest further studies to be follow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