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필라테스 참여가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지선

원문보기

초록/요약moremore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필라테스 참여유무 및 참여형태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신체활동의 한 분야로서 필라테스의 확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G구에 거주하는 20세부터 59세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참여자와 비참여자 각각 200명을 임의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필라테스 참여유무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검...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필라테스 참여유무 및 참여형태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신체활동의 한 분야로서 필라테스의 확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G구에 거주하는 20세부터 59세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참여자와 비참여자 각각 200명을 임의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필라테스 참여유무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참여형태(기간, 빈도, 시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Dun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의 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성인여성의 필라테스 참여유무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 2. 성인여성의 필라테스 참여유무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참여자가 비참여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 3. 성인여성의 필라테스 참여형태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p=000), 참여기간과 참여시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성인여성의 필라테스 참여형태에 따른 생활만족도는 참여시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p=046), 참여기간과 참여빈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신체적 자기효능감와 생활만족도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필라테스의 참여가 신체적, 정신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