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자료를 활용한 고등학교『국사』사회사 수업방안 연구
- 주제(키워드) 시각자료 , 사회사 , 수업방안 , 국사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최기영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36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역사는 과거를 통해 미래를 준비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런 의미에서 현대사는 다른 어느 시기보다도 중요하게 학습되어야 하는 부분이다. 과거와 미래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현대는 ‘지금 현재’라는 의미와 함께 ‘가까운 과거, 가까운 미래’라는 다의성을 가진다. 때문에 현대를 안다는 것은 시간의 흐름을 연결시켜주는 고리를 움켜쥘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사 학습의 중요성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한국 근ㆍ현대사』의 독립은 비록 선택과목이지만 현대사 교육의 강화를 의미하였다. 하지만 상대적으로『국사』에서의 현대사 서술은 약화되면서 내용의 빈약함을 가져왔다. 이러한 문제점은 새로운 현대사 수업방안을 통해서 극복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그러한 목적에서 심층적인 단계를 거쳐 적극적인 시각자료 활용을 통한 수업방안을 모색하였다. 기존의 단순 나열식 자료 제시에 그치지 않고, 자료간의 유기적인 연결과 탐구방식의 설명을 통해서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시각자료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를 바탕으로 이를 최대한 반영하고, 교수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학 이론들을 활용하여, 실제 수업에서의 시각자료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연구의 목적에 맞게 다양한 자료를 수록하여 실제 수업현장에서 교사들이 활용하는데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 논문에 제시된 자료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유형일 뿐이므로, 더욱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사회사 이외에 다른 분야에서의 활용도 가능하다. 아직까지 시각자료를 실제 수업에서 활용하는 구체적 방안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론적인 근거가 빈약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새로운 수업방안의 모색이라는 긍정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유사한 연구들이 더욱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more초록/요약
History allows us to prepare for our future by sailing through our past. This implies that careful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learning the history of the modern times. The bridge of the modern times connecting the past and the future has multiplicity of meanings that are inclusive of the immediate past and the immediate future together with the "contemporary times". For this reason, knowing about the modern or contemporary times indicates a capture of the current of times. This is why learning the modern or contemporary history is so important. Establishing as an independent subject『Recent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was meant to reinforce the modern history education, even though it is an optional subject. As a result, the part of modern history in 『Korean History』textbooks could not avoid being weakened or reduced in content. This issue must be addressed, and if there are problems arising from that, it should be overcome by a new different way of using instructional tool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seeks, through in depth analysis, to present an instruction method that makes more active use of visual material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help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through systematic links between materials and by explaining ways of exploring, to propose a scheme for practical classrooms that fully reflects students' preferences into the selection of visual materials based on educational theories regarding the use of instruction materials, and to present a scheme with as much and as diverse materials as possible all to the effect of serv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acilitate teachers to use in classroom. It should be noted that since these materials presented in this paper are exemplary, additional various materials could be added, and they are applicable to other subject areas. In the absence of much research on how visual material aided schemes can be applied efficiently to actual classrooms and sufficient theoretical basis, it is positive, and significant that this study attempts at a new instructional scheme. From this catalyst, more similar research are expected to be made in the futur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