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비트겐슈타인, 언어와 종교, 그리고 소통의 가능성

WITTGENSTEIN, LANGUAGE AND RELIGION, AND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초록/요약

본 논문의 목적은 첫째, 언어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비트겐슈타인 철학 안에서 종교 부분을 소개하는 것이다. 국외에 비해 국내에서는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서야 이에 대한 논문들이 시나브로 발표되면서 그동안 소외되어 왔던 비트겐슈타인의 종교철학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그러나 나는 종교철학을 연구하는 국내의 연구자들이 비트겐슈타인 사유의 핵심이 언어라는 것에 중점을 두어 상당부분 종교언어 분석에만 집중하는 경향을 아쉽게 여겼다. 나는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목적이 “세계를 올바로 보기”(6.54) 위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종교철학을 바르게 읽어내기 위해서는 비트겐슈타인 사상 전반을 먼저 엄밀하게 파악해야 함과 동시에 그의 철학서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는 그의 종교관을 전기나 회고록을 통한 연구로 보완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비트겐슈타인의 저서에 기초한 전․후기 사유의 기반과 맥락을 엄밀히 살피고 더불어 릭켄Prido Ricken의 연구에 도움을 받아 그의 친구들과 제자들이 증언하는 비트겐슈타인의 종교성에 관한 증언들을 추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둘째 목적은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을 통하여 소통의 가능성을 짚어보고자 함이다. 나는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자체가 결국은 소통을 위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는 언어의 사용을 일목요연하게 관찰함으로서 세상과 인간, 인간과 인간, 더 나아가서는 말해질 수 없는 영역인 신(종교)과 인간간의 관계를 드러낸다. 관계는 결국 소통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개념은 그의 후기 사유에 중심이 되고 있는 언어게임Language-game이론과 일목요연한 묘사Übersichtliche Darstellung, 원현상Proto-phenomenon, 세계상Weltbild의 개념이다. 나는 이를 고찰하여 소통의 기반이 되는 반응과 그에 따른 행위가 어떻게 가능한지를 입증하였다. 본고의 내용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논고』를 중심으로 한 언어의 한계 긋기를 먼저 알아보고, 『탐구』에서의 언어게임과 삶의 형식, 『확실성』에서 원현상과 세계상 개념을 살펴보면서 그의 전․중․후기 사유에 전반적으로 흐르고 있는 종교철학과 소통의 가능성을 읽어내었다. 더불어 『청갈색』과 「황금가지」에 나타난 과학주의 비판과 일목요연한 묘사의 필요성, 「윤리학」에 말하는 윤리적이고 미적이며 종교적인 영역들을 알아봄으로서 철학이 종교에 대하여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밝혔다. 제3장에서는 비트겐슈타인과의 대화를 기록한 드루리M. O'C. Drury의 저서와 종교에 대한 통찰들이 담겨있는 『문화』를 통하여 그의 종교관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비트겐슈타인의 삶이 그의 철학과 동떨어진 것이 아님을 밝혔다. 제4장에서는 소통의 문제를 좀 더 심화하는 측면에서, 이승종 교수가 2007년에 발표한 황필호 교수의 비트겐슈타인 해석 비판 논문을 토대로 비트겐슈타인 종교철학의 해석과 그것이 안고 있는 상대주의 논의의 쟁점들을 소개하고 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무엇보다도 상대주의 논의는 소통의 문제에 있어서 중요한 이슈가 되기 때문에 면밀히 연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제5장에서는 이에 대한 종합으로 세 가지 결론을 내렸다. 첫째는 그의 언어 철학이 종교를 드러냄에 기여한 것이다. 말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의 ‘한계짓기’와 ‘일목요연한 묘사’를 통해서 윤리적이고 미적이며 종교적인 영역, 과학주의의 편협성 그리고 종교와 삶의 밀접한 관계를 드러내 보인 것이다. 둘째는 비트겐슈타인이 자신의 철학을 삶 안에서 실천함으로써 종교를 드러내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스스로 자신이 종교적인 인간은 아니지만 모든 문제를 종교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지 않을 수 없다(RW p.79)고 고백하고 있듯이 그의 전기와 회고록에 나타난 그의 삶은 종교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그대로 드러내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그의 철학과 무관하지 않다. 오히려 깊이 연관된다. 삶의 형식 안에서 자신이 살아내는 삶을 보여주는 것이야말로 그가 생각하는 철학의 최고 방법인 ‘일목요연한 묘사’이며 ‘보여주기’이기에 그렇다. 셋째는 ‘경험의 유비’Analogia experientiae와 삶의 긍정을 통한 소통의 가능성이다. 삶의 형식은 원초적인 것이다. 그 안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언어게임들 안에서 인간은 소통을 시작하는데 언어게임이 상대적이고 독자적인 담론이라면 소통은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삶의 형식이 지닌 다양성 안에서, 우리의 ‘반응’을 일목요연한 묘사를 통해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그것을 통해 우리는 경험의 유비성을 인정하게 되고 이것이 소통을 위한 ‘연결고리’Zwischenglied가 됨을 체험하게 된다. 이는 불통에서 다시 소통으로 연결시켜 주는 접점이 된다. 이와 더불어 주어진 삶을 긍정하고 열린 마음으로 살아갈 때 소통의 가능성은 더욱 커질 것이다.

more

초록/요약

The first purpose of this work is to introduce the religious side of Wittgenstein's philosophy which is based on language analysis. Unlike in other countries, this kind of research has been rare in Korea. However, recently some theses on this part have been gradually published and Wittgenstein's philosophy of religion is now under the new light. But I have always felt unsatisfied about the tendency that many scholars in Korea who study his philosophy of religion mainly focus on the analysis of religious language just because of the fact that his core of thoughts lies in languages. I see Wittgenstein's purpose of philosophy is “to see the world right”(6.54). Therefore in order to interpret his philosophy of religion right, I believe it is vital to analyse his thoughts in general and to supplement his view of religion with his biography and memoirs. So I conducted my research by looking through his former/latter thoughts and by quoting testimonies, under the help of Prido Ricken's research, from his friends and pupils. The second purpose of this work is to test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y Wittgenstein's philosophy. I view his philosophy itself is for communication. By clear observations on the usage of language, he reveals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ld and man, man and man, and moreover, the unspeakable realm of God(or religion) and man, because relationship ultimately presupposes communication. Some important concepts here are the theory Language-game, which is the central theme in his later thoughts, Übersichtliche Darstellung, Proto-phenomenon, and Weltbild. By analysis on these concepts, I tried to prove the possibilities of communication. This work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one presents the purpose and methodology of this work. In chapter two, I firstly looked at demarcation of language based on his Tractatus, and then, language games and forms of life in his Investigations, proto-phenomenon and Weltbild in his On certainty. It is to point out his philosophy of religion and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throughout his entire flow of thoughts. On top of that, I tried to clarify the role of philosophy for religion by looking at the criticism of scientism and the necessity of Übersichtliche Darstellung in his Blue and Brown Books and Golden Bough, and by analysing ethical, aesthetical, and religious realms in his Ethics. In chapter three, I looked at his view of religion by M. O'C. Drury's work, which is basically conversations with Wittgenstein, and by his Culture, which contains his insights on religion. Through this effort, I tried to maintain that his life reflected his philosophy very well. Based on Prof. Lee, Seung-jong's thesis in 2007 which deals with Prof. Hwang, Pil-ho's interpretation of Wittgenstein, chapter four introduces interpretations on Wittgenstein's philosophy of religion and the issues regarding relativity and then critically looks at these. More than anything, discussions on relativity is a key issue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therefore I felt the necessity to study them. Chapter five comes up with three conclusions. Firstly, his philosophy of language contributed to reveal religion. 'Demarcation' between the speakable and the unspeakable, and 'Übersichtliche Darstellung' helped me to reveal ethical, aesthetical, and religious realm, narrowness of scientism an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life. Secondly, Wittgenstein revealed religion by practicing his philosophy in his own life. He himself confessed that although he was not a religious person, he could not but look at every problem from the religious point of view(RW p.79). His life reflected in his biography and memoirs indicate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his life and religion. That is not alien to his philosophy. Or rather it is very much related to his philosophy. To show his lived life in the forms of life is nothing but his 'Übersichtliche Darstellung' and 'showing', which he thinks are the best methods of philosophy. Finally,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through 'Analogia experientiae' and through affirmation of life. Forms of life are original. Man begins communication in the language games in them but if the games are relative and independent, communication would not be possib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look at carefully our 'reactions' in the variousness of forms of life through Übersichtliche Darstellung. By this, analogia experientiae is acknowledged and it becomes 'Zwischenglied' for communication. Again, this becomes the meeting point between non-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ll ever become greater if we affirm our life and live with open hearts. Key Words: Wittgenstein, Religion, Language-game, Übersichtliche Darstellung, Proto-phenomenon, Weltbild, Analogia experientiae, Zwischenglied,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