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중학생에게서 감사 훈련이 미치는 긍정적 효과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에게서 감사 훈련이 감사 성향, 주관적 안녕감,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지각 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 1. 감사훈련을 통해 감사능력이 키워질 수 있으므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감사성향의 정도가 증가할 것이다. 연구가설 2. 감사훈련을 통해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삶의 만족도와 정서적 안녕감)의 정도가 증가할 것이다. 연구가설 3. 감사훈련을 통해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의 정도가 증가할 것이다. 연구가설 4. 감사훈련을 통해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지각 정도가 감소할 것이다. 연구의 대상으로 경기도 소재 중학교 3학년 77명(2개 반)을 실험집단(39명)과 통제집단(38명)으로 나누어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1달 동안 아침 자율학습 시간에 총 20회의 감사훈련을, 통제집단은 아침 학교 프로그램(진로, 발명, 영어동화)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첫째, 감사 성향의 측정을 위해 McCullough 등(2002)이 개발한 감사 성향 척도(Gratitude Questionnaire-6 : GQ-6)를 권선중 등(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한국판 GQ-6를 사용하였다. 둘째, 주관적 안녕감의 인지적 측면을 측정하기 위해 Diener 등(1985)이 일반인의 생활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한 생활 만족도 척도(Satisfaction with Life Scale : SWLS)를 류연지(1996)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안녕감의 정서적 측면을 측정하기 위해서 한덕웅 등(2002)이 사용한 정서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셋째, 자아존중감 측정을 위해 Rosenberg(1965)의 자기 존중감 척도(Rosenberg Self-esteem Scale : RSES)를 이훈진, 원호택(1995)에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넷째, 스트레스의 지각 정도의 측정을 위해 Cohen 등(1983)이 개발한 일상생활에서의 전반적인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는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 PS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처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16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의 차이를 t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훈련은 감사 성향을 향상시킨다. 둘째, 감사훈련은 주관적 안녕감(생활만족도, 정서적 안녕감)을 향상시킨다. 셋째, 감사훈련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갖고 있으나, 이상의 양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감사 훈련(감사노트 작성)이 긍정적 정서의 향상을 가져온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