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청소년의 애착 유형, 탄력성과 상담에 대한 기대 간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style, resilience and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적 내담자의 애착 유형, 탄력성과 상담에 대한 기대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녀 고등학생 469명(남: 164명, 여: 305명)을 대상으로 애착유형, 탄력성, 상담에 대한 기대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탄력성, 상담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둘째, 애착 유형 중 몰입형이 상담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안정형, 두려움형, 거부형 순이었다. 몰입형과 안정형은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두려움형과 거부형도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몰입형과 안정형은 두려움형과 거부형에 비해 상담에 대한 기대가 높으면서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탄력성이 높은 집단이 상담에 대한 기대가 높았고, 탄력성이 낮은 집단이 상담에 대한 기대가 낮았다. 넷째, 애착 유형 중 안정형의 탄력성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몰입형, 거부형, 두려움형 순이었다. 안정형과 몰입형은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두려움형과 거부형도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안정형과 몰입형은 거부형과 두려움형에 비해 탄력성이 높으면서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style, resilience and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of potential clients. To study this issue, we surveyed 469 high school students (male 164, female 305) on attachment style, resilience and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resilience and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than male students. Second, within attachment style, preoccupied type showed the highest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second secure type, third fearful-avoidant type and last dismissing-avoidant typ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either between preoccupied type and secure type, or between fearful-avoidant type and dismissing-avoidant type. Therefore we combined preoccupied type and secure type as one group and fearful-avoidant and dismissing-avoidant as another group.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between these two combined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students who have high resilience showed high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and students who have low resilience showed low expectations about counseling. Forth, within attachment style, secure type showed highest resilience, and second preoccupied type, third dismissing-avoidant type and last fearful-avoidant type.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either between secure type and preoccupied type, or between fearful-avoidant type and dismissing-avoidant type. Therefore we combined preoccupied type and secure type as one group and fearful-avoidant and dismissing-avoidant as another group. These two combined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lien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