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인디'밴드 연구 : 장기하와 얼굴들, 불나방스타쏘세지클럽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t-indie' Band
- 주제(키워드) 포스트인디 , 장기하와 얼굴들 , 불나방스타쏘세지클럽 , 인디밴드 , 인디음악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원용진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언론대학원 연극/영화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30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2008년 가을 무렵부터 대한민국에 다시금 인디 열풍이 일기 시작했다. 그 열풍을 일으킨 주인공은 장기하와 얼굴들. 그들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대중들도 인디 신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미디어도 점차 그들을 조명하는 프로그램이나 코너를 만들었다. 1990년대 인디 열풍 이후 2000년대 후반 새롭게 인디 붐을 일으킨 붕가붕가레코드에 소속된 일련의 밴드들을 '포스트인디' 밴드라고 명명하고자 한다. '포스트인디' 밴드가 등장한 배경은 무엇일까. 그들은 기존 인디와 어떻게 다른가. 대중음악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는 어느 한 쪽에 치우친 경우가 많았다. 산업적 측면을 중점적으로 보거나 이데올로기적인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하거나 수용자, 즉 팬덤을 중심으로 연구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예다. 그러나 어떤 문화적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를 어떤 한 가지 이유만으로 설명하는 것은 위험하다. 일반적으로 어떤 문화적 현상은 다양한 배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논문은 '포스트인디' 밴드의 등장 배경과 그들만의 특징을 통합적인 접근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음악 시장구조가 음반 중심에서 디지털 음원 중심으로 변하면서 수용자의 음악 소비 행태도 변했다. 사람들은 이제 음악을 마치 패션 아이템처럼 소비하기 시작했다. 또한 포스트인디 밴드의 노래는 '88만원 세대'라는 말로 대변되는 당시 청년들의 정서를 잘 대변하고 있다. 소위 루저문화의 시대였지만 이들의 정서는 결코 우울하지 않았다. 당시 수용자들은 자발적으로 집회에 참여해 집회를 즐기고, 과거보다 훨씬 더 가벼운 토크쇼나 드라마, 뉴스를 선호하는 등 진지함과는 거리가 멀었다. '경박단소'로 대변되는 디지털 매체 환경 속에서 수용자들의 취향 역시 전반적으로 가벼워진 것이다. '포스트인디' 밴드의 주요한 특징들은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대한민국의 독특한 디지털 음원 시장의 수익 분배 구조는 뮤지션들이 더 이상 음악만으로 먹고 살 수 없는 시대로 만들었다. 그래서 요즘 뮤지션들은 본업을 따로 가지고 있으면서 거기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수입을 토대로 음악을 하는 경우가 부쩍 늘었다. 음반 시장의 구조 변화에 발맞추고자 이들은 새로운 생산방식을 시도한다. 이른바 '지속가능한 딴따라질'이란 모토를 내세워 '가내수공업방식'으로 음반을 제작한다. 그리고 이들의 시도는 큰 성공을 거둔다. 애초부터 음악에 올인하지 않았던, 그래서 잃을 게 없었던 그들이 아마추어리즘을 내세운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이런 새로운 생산방식과 아마추어리즘은 자연스럽게 홍대 인디 신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왔다. 수용자들의 취향이 가벼운 것을 선호하고 자발적으로 변한 것 역시 '포스트인디' 밴드가 익살을 추구하고 카니발리즘을 추구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또한 포스트인디 밴드의 일련의 특징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들과 부합하는 면이 많다. 이 땅에 인디가 태동한 지 10여 년 만에 인디 신의 패러다임이 바뀌었고 헤게모니가 이동했다. 과거 강렬한 사운드와 주로 무의식에 관한 진지한 가사로 무장한 인디밴드의 헤게모니는 비교적 축소되는 대신, 소박하고 쉬운 사운드와 재미있으면서도 일상에 관한 노래를 부르는 밴드의 헤게모니는 상대적으로 부쩍 커졌다. 그러나 인디 신에서 예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은 게 있다. 기존의 상투화된 음악에서 탈피해 새로운 시도를 하는 밴드가 주목을 받았다는 것이다. 2010년대의 홍대 인디 신의 지형도는 어떻게 바뀔 것인가. 그 방향을 쉽게 예측할 수는 없지만, 이 논문에서 주로 논의한 소위 '포스트인디' 밴드의 음악과 퍼포먼스와는 완전히 다른 밴드가 새롭게 헤게모니를 거머쥘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more초록/요약
The indie music craze really hit Korea in the fall of 2008. The biggest group who led to this development was a band called Jang Gi Ha and the Faces. As the band became more popular, Koreans started paying attention to the indie music scene. Eventually, TV and radio stations put together programs, or a section within a show at the very least, and then invited them on these shows. Jang Gi Ha and the Faces are managed by Bungabunga Records. Personally, I would call the series of bands attached to Bungabunga Records — bands that sprung up after the first indie music crazy of the 1990s to create an indie music boom in the late 2000s — “post-indie” bands. But what is the background from which these post-indie bands emerged, and how are they different from other bands around today? Studies concerning pop music are often one-sided. In the past, some have focused on industrial or ideological aspects, while others have looked at the consumers of music, that is, the fans. Yet it is dangerous to explain the causes of a certain phenomenon with just a single explanation. For the most part, cultural phenomenons tend to appear when a variety of causes come together in the background. Based on such a belief, this thesis aimed to examine the background when post-indie bands began appearing, as well as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in an integrated approach. As the structural center of the music market changed from albums to digital music sources, consumer behavior also changed. People started to consume music just like fashion items. In addition, the songs of post-indie bands really captured the spirit of Korea’s youth, who are described as the “880,000 won generation” (a reference to the amount of money they make every month as low-paid non-regular workers). Although it is a generation that has much to bemoan, the spirit of young people today is far from depressing. Recently, consumers are taking part in (and even enjoying) political demonstrations, and they prefer TV talk shows, programs, and news segments that are much less serious than in the past. In short, they are distancing themselves from seriousness. In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that is described as the age of “light, thin, short, and small” devices, consumer taste is also veering to the lighter side of things.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post-indie bands are closely related to such a social atmosphere. Due to the unique structure of income distribution in Korea’s music market, musicians nowadays cannot make a living on music alone; the number of musicians who have regular jobs from which they receive an income to spend on music has increased significantly. Under the motto of “sustainable activities for entertainers,” they produce homemade albums like it is a hobby — and to huge success. It is natural for them to pursue amateurism. They did not invest everything they have into their music, so they do not have that much to lose. Such amateurism, coupled with their production method of choice, naturally created an effect that lowered the entrance barrier to the indie culture scene in the area surrounding Hongik University. The fact that consumer taste became favorable to things less serious (and the fact that people became more motivated of their own volition) was also somewhat related to the trend that post-indie bands seem to have a comic, carnival-like edge to them. In addition, these post-indie band characteristics largely coincid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Ten years after the birth of indie musicians in Korea, the paradigm of the indie music scene changed and its hegemony shifted. The influence of indie bands armed with a strong sound and serious lyrics (mainly about people’s non-consciousness) has been tempered for the most part, while the influence of bands that sing with a simple, easy sound and lyrics about everyday life are on the rise. There is one thing that has not changed about indie music, though: bands that are willing to try something new —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stereotyped music of today — are given attention. How will the indie music scene in the area around Hongik University change in the following decade? It is not easy to predict the direction of the change, but it seems clear that bands which offer totally different music and a new style of performance from those of so-called “post-indie” bands will certainly hold sway in the futur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