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적응에 미치는 아동의 수줍음,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의 효과
The children's shynes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their effect on the school adaptation
- 주제(키워드) 학교적응 , 수줍음 , 사회적 지지 , 자기효능감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조긍호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282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환경 ․ 사람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살아간다. 이때 새로운 상황에서 보이는 아동들의 행동은 적극적이고 사교적인 아이가 있는 반면 소극적이고 수줍음이 많은 아이도 있다. 적극적인 행동에 반대되는 개념인 수줍음은 친구관계를 맺거나 학교생활을 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받게 되거나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눈을 가진 사람들은 수줍음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문제들을 극복해 갈 수 있는 힘을 얻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의 수줍음과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이 학교적응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수줍음과 학교적응 사이에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서 얼마나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수줍음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학교적응 척도를 알아볼 수 있는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이 설문지는 서울시에 있는 초등학교 5학년 2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분석시에는 상관분석, 변량분석, scheffe 검증, 중다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통계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수줍음과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중 또래, 교사에게 받는 지지가 다른 하위 요인들 보다 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수줍음 상 ․ 중 ․ 하 집단에 따라 사회적 지지는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지고 있고, 수줍음이 낮은 집단이 사회적 지지를 높게 느끼고 있었다. 둘째, 아동의 수줍음과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수줍음이 낮을수록 아동이 느끼는 자기효능감은 높았고, 수줍음의 상․ 중․ 하 집단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아동의 수줍음과 학교적응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수줍음 집단에 따라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줍음이 낮을수록 학교적응 수준은 높았다. 넷째,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의 수줍음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중다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는 컷으며, 자기효능감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에서 수줍음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줍은 성격을 변화시키려는 노력 보다는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나 또래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more초록/요약
Every man is living with a interaction to his environment and other people. When children are facing a new environment, some of them behave sociably and actively. But some children show a passive and shy behavior. It has been known that the shyness, which is the contrary concept of active behavior, has the negative effect on making a friendship in the school life But shy children can overcome the shyness-related problems if they are socially-supported by the people around or they have a positive viewpoint on their own being.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two topics. First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adaptation and other factors such as children's shynes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Second is to study how effectively th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work on the shy children's school adaptation. The questionnaire were prepared to check the indexes for shyness, social support, self-efficacy, school adaptation.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12 children of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who are living in Seoul.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method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Scheffe verifation,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shyness and the social support showed a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 Especially, the social supports from the friends and school teachers have a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children's shyness and self-efficacy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The self-efficacy of less-shy group showed higher value than shy group. Third, the children's shyness and school adapt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The less-shy children adapted better to school life. Fourth is that the correlatons (1) between a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2) between a social support and school adaptation and (3) between self-efficacy and school adaptation were all meaningfully positive. Fifth is that th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had the strong meditation effect on shy children's school adaptation. Therefore, the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can strongly help shy children to successfully adapt to school life. Further intensive study on how to effectivly improve the social support and self-effcacy from the friends and school teachers should be followe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