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미디어 교사 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논의
Theoretical Discussion for the Development of a Multicultural Media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Model
- 주제(키워드) 다문화교육 , 미디어교육 , 교사교육 , 교육과정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 지도교수 김균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8
- 학위명 석사
- 학과 언론대학원 미디어교육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255
- 본문언어 한국어
- 저작권 서강대학교의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초록/요약
이 연구는 다문화 교육을 하고자 하는 예비교사 또는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미디어 교사교육 교육과정 6단계 순환적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논의이다. 미디어가 재구성하는 다문화 현실을 창조적으로 인식하고, 능동적으로 관계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다문화 미디어 교육을 하는 교사들을 위한 교육과정 모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 다문화 교육의 개념을 정의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 미디어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교육과정 구성요소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 다문화 미디어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문화 교육 교육과정의 다양한 이론과 모형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디어 교육적 이론을 토대로 다문화 교육에 접근하여, 다문화 미디어 교육 교육과정 구성요소를 도출한 뒤, 한국 다문화 미디어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교육과정 모형을 제안하였다. 다문화 미디어 교육과정의 목표는 ‘다문화 미디어 능력’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향상에 두고, 교육과정의 구성요소에 이를 반영하였다. 다문화 사회를 재구성하여 재현하는 미디어는 그 자체로 교육적 도구이자 교육의 대상이며, 교육의 내용이기 때문이다. 다문화 미디어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하여 제안하는 6단계 순환적 교육과정 모형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 미디어 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교육과정이 도달해야 할 핵심가치는 네 가지다. 첫째, 평등교육, 둘째, 교육과정 개혁, 셋째, 교사의 다문화 미디어 능력, 넷째, 통합 리터러시 능력이다. 그리고 네 가지 핵심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6단계의 순환적 교육내용 요소를 제시하였다. 첫째, 자기인식과 비판적 성찰, 둘째, 다양성 인정과 보편성 경험, 셋째, 개방성과 평등성의 자세, 넷째, 창조적 생산, 다섯째, 사회적 활동, 여섯째, 자기인식의 확장이다. 이 중, 첫째와 둘째는 기초지식의 습득 단계, 셋째와 넷째는 가치관 형성의 단계, 다섯째와 여섯째는 적용방법 터득이라는 순차적 단계를 거치도록 구성하였다. 물론 모든 단계는 4가지 핵심가치를 지향해야 하지만, 교수 학습 현장의 필요와 상황에 따라 순서를 변화시키거나 강조할 수 있는 부분이 있음을 전제로 하였다. 또한 모형의 각 단계는 미디어 영역, 메시지 영역, 수용자 영역을 바탕으로 하고, 각각 미디어 지식의 습득, 미디어 분석 능력, 미디어 감상 능력, 미디어 생산능력으로 구분하여 살펴 다문화 미디어 능력이라는 교육적 목표에 도달하도록 구성하였다.
more초록/요약
This study is a theoretical discussion for developing a six-step multicultural media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circular model targeted to perspective and incumbent teachers willing to conduct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intends to design a curriculum model for teachers performing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so that it can support them to recognize the reality of multiculturalism, reconstructed by media creatively, and learn how to relate with it actively.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propositions. First, it is needed to define the concept of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suggest the components of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Third, a teacher education curricular model need to be proposed for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in Korea. To design a curriculum model for teachers performing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this article examines various theories and mode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a. It approaches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theories of media education and derives the components of th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curriculum, and then suggests a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model for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in Korea. The goal of the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curriculum is to improve communicative ability, the so-called ‘multicultural media competence’, and the curriculum reflects this. Media reconstructing and reproducing multicultural society is the tool of education, the object of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on its own. The six-step circular curriculum model suggested to enhance multicultural media competence is described below. The core values to which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media education should reach are four kinds: equal education, the reformation of curricula, teachers’ multicultural media competence, and multiple literacy. Thereupon, this paper suggests the contents of the six-step circular education to realize the four core values. First, it should encourage learners’ self-awareness and critical reflection. Second, it needs to accept a variety and provide universal experience. Third, it should help learners cultivate the attitudes of openness and equity. Fourth, it must support creative production. Fifth, it should facilitate learners’ social activities. Sixth, it needs to induce the extension of learners’ self-awareness. Among these, the first and the second steps are for the acquisition of basic knowledge. The third and the fourth ones are intended for the formation of values. Lastly, the fifth and the sixth ones are meant for them to master how to apply what they have learned. In this way, the curriculum is organized with orderly steps. Although every step basically needs to pursue the four core values, this study presupposes that the order can be either changed or emphasized according to the needs or context of each teaching-learning spot. Moreover, each step of the model is grounded on the media, message, and user field and is divided into the acquisition of media knowledge and abilities to analyze, appreciate, and produce media. It ultimately intends to accomplish the educational goal of having multicultural media competen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