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웹2.0 인터넷 환경에서의 사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 : UCC 생산과 유통 과정을 중심으로

A study on web user's features in web2.0 internet environment : Focused on UCC production and distribution

초록/요약

최근 몇 년간 사회 변화의 가장 큰 특징은 개방, 공유, 공개의 개념을 바탕을 둔 웹2.0 패러다임으로 정보의 생산과 확산의 주체가 개인이 되었다는 점이다. 웹 공간의 진화는 누구나 정보를 쉽게 생산하고, 빠르고 폭넓게 확산 시킬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웹 진화의 중심에는 인터넷 이용자가 있고, 그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개방하고 공유함으로써 인간 개개인의 영향력을 더욱더 증대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 또는 경제적 관점에서 접근이 이루어져 온 웹2.0에 대한 논의를 사회적 관점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는 수용자를 중심으로 그들이 정보를 생산하고 확산 시키는 행동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웹2.0 패러다임 현상 속에서 사용자가 콘텐츠를 생산하고 확산시키는 이용 행태에 관심을 두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인터넷 콘텐츠의 이용, 생산, 유통에 대한 기초적인 이용 행태 조사[연구문제 1]와 콘텐츠 등록 패턴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개혁성향[연구문제 2], 사회적 참여[연구문제 3], 쾌락적 가치[연구문제 4]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 인터넷 이용자 중 생산 활동을 하는 이용자는 많지 않았으며, 제공된 콘텐츠를 이용하고 스크랩 하는 집단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콘텐츠의 유통과정을 살펴보면, 커뮤니티와 1인 미디어 사이에서 콘텐츠를 상호 공유하고 있었으며, 직접 생산 활동은 적지만 생산된 콘텐츠는 빠르고 폭넓게 확산되고, 그 확산 과정 속에서 기존의 콘텐츠가 재생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직접 콘텐츠를 생산하는 집단은 인터넷 공간 안에서 여론지도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콘텐츠 등록 패턴에 따라 개혁성향, 사회적 참여, 쾌락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트생산유형은 사회적 참여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멀티 콘텐츠 생산 유형은 개혁성향과 쾌락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원등록유형의 경우는 특별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없다고 나타났고, 스크랩유형의 경우는 사회적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멀티 콘텐츠 유형만이 개혁성향과 쾌락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 사진, 이미지(그림, 표)등을 제작하는데 있어서는 장비 및 해당 제작 툴에 대한 비용 투자 및 학습 과정이 필요하다. 새로운 기술에 비용과 시간을 투자할 만큼 흥미와 관심이 있다는 점은 멀티 콘텐츠 유형은 얼리어답터적 성격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텍스트생산유형과 스크랩유형이 사회적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이 작성한 의견이 인터넷 공간에서 뉴스 보도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으며, 개인 스스로가 정보의 주체자가 되어 사회에 영향을 행사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 인터넷에서 커뮤니티 및 1인 미디어를 사용하는 한국의 10대 20대 젊은 이용자들은 정보의 이용 및 확산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표현하고 타인과 생각을 공유하는 여론을 스스로 만들어 가는 공간으로 인터넷을 활용하고 있다. 이로써 이들은 스스로 정보의 생산 및 유통의 주체가 되어 사회에 영향을 행사할 수 있는 적극적인 웹2.0 사용자 성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가 제한된 설문지항으로 다양한 웹2.0 사용 행태를 분석하기에는 부족했으며, 향후 보다 세분화된 이용 형태를 중심으로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함을 밝힌다.

more

초록/요약

The most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 of the changes in society recent years is that individual takes initiative in creating and spreading information through Web2.0 which is based on the "openness". As cyber space evolves, anyone get to be able to create information easily and spread it fast and broadly. In the center of that evolution, there are netizens, who enhance their influence in cyber space opening and sharing their information. This study explores, in a social perspective, the behaviors of the internet users- creating and spreading information-making a new paradigm. First, the process of using, producing and spreading of the internet contents and the types of the contents will be examined by organized questionnaire. Then how those process and pattern influence the revolutionary feature, social participation, and pleasure value will be looked into.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not many contents-making groups, but were many contents-spreading groups. Contents were distributed through the web communities and one-person medias. Though there were not many contents-making groups, once the contents was made, the they spreaded out fast, and in the process of spreading, the contents were reproduced. And this characteristic made the contents-making groups to do the role of public opinion leader.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tents, different influences were on the revolutionary feature, social participation, and pleasure respectively. Text-contents making types had influence on social participation and multi-contents making types had influence on revolutionary feature and pleasure value. Music-contents making types had no special influence and scrap types had influence on social participation. First, only multi-contents making types were turned out to have influence on revolutionary feature and pleasure value. To develope image type information- video clips, pictures- one should spend high expense to get the equipments and to learn how to use them. The fact that multi-contents making types are as much interested as to spend much time and money for the new technic reveals that they are early adapters. Text-contents making types and scrap types are turned to have influence on social participation. This shows that the opinions individuals upload on the web could do the role of the TV news and that individual can make his own information and have influence on society with i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that young korean netizens actively use and spread the information through web community or self media, making the best use of the internet as a space where they express and share their ideas and opinions. They take initiative in making and spreading information and have influence on society using web 2.0.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research methods I couldn't look into the diverse patterns of the use of web2.0. I hope that more detailed research will be done on this subject.

more

목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제2장. 이론적 논의 및 문헌 검토 = 7
제1절. 웹 진화 체계에 관한 논의 = 7
1. 웹 진화에 대한 역사 = 7
1) 웹 공간 생성 = 7
2) 웹의 대중화(Netscape 브라우저의 등장 및 확산) = 8
3) 닷컴 기업 등장과 위기 = 9
4) 웹 패러다임의 변화 = 10
2. WEB2.0의 철학 및 기술 = 12
1) WEB2.0의 정의와 특성 = 12
(1) 플랫폼으로서의 웹(서비스를 제공) = 15
(2) 사용자 참여에 의한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 = 17
3. 웹2.0 패러다임이 사회와 경제에 미친 영향 = 19
1) 경제적 영향 = 19
2) 사회문화적 영향 = 20
제2절. 디지털 미디어 환경 변화 = 23
1. 디지털 생태계(Eco-system) = 23
2. 디지털 환경 변화 속에서의 미디어 수용자 = 26
제3절. 능동적 수용자에 대한 고찰 = 31
1. 인터넷 수용자 연구 = 31
1) 수용자 연구에 대한 기존 연구 흐름 = 31
2) 1인 미디어 및 커뮤니티에 대한 선행 연구 = 36
(1) 블로그 = 36
(2) 커뮤니티 = 38
3) 한국 인터넷 이용자 특성 및 서비스 현황 에 관한 선행 연구 = 41
(1) 한국 인터넷 이용자에 대한 선행 연구 = 41
(2) 한국 인터넷 서비스 현황 및 분류에 관한 연구 = 44
제4절. 주요 변인에 대한 이론적 논의 = 47
1. 확산이론에서의 혁신성에 대한 고찰 = 47
2. 인터넷을 이용한 사회 참여에 대한 논의 = 50
3. 쾌락적 가치 추구에 대한 논의 = 52
제3장. 연구 문제로의 접근 및 연구 가설 = 54
제1절 연구문제의 설정 = 55
1. 연구 문제 = 55
2. 주요 개념의 조작적 정의 = 59
제4장. 연구방법 = 62
제1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62
1. 연구대상 = 62
2. 자료수집 및 설문지 구성 = 62
3. 서베이 진행 절차 = 65
4. 분석방법 = 65
5. 주요 변인의 측정 = 65
제5장. 연구 결과 = 69
제1절. 인터넷 이용 행태 연구 결과 = 69
1. 인터넷 일반적 이용 행태 = 69
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분포 = 69
2) 인터넷 이용시간 = 70
3) 인터넷포털서비스 이용빈도 = 71
4) 커뮤니티, 1인미디어 서비스 이용현황 = 73
2. 커뮤니티 및 1인 미디어 서비스 이용 행태 = 75
1) 카페 및 커뮤니티 서비스 이용 행태 = 75
(1) 카페나 커뮤니티 이용 기간 = 75
(2) 카페나 커뮤니티 사용 목적 = 76
(3) 카페나 커뮤니티 접근빈도 = 77
2) 1인 미디어 서비스 이용 행태 = 78
(1) 타인의 블로그나 미니홈피 방문빈도 = 78
(2) 타인의 블로그나 미니홈피 방문 목적 = 79
(3) 본인의 블로그나 미니홈피 운영 기간 = 80
(4) 본인의 블로그나 미니홈피 접근빈도 = 81
(5) 블로그나 미니홈피 운영 목적 = 82
3. 콘텐츠 등록 방식 행태 = 84
1) 커뮤니티, 1인 미디어 서비스 콘텐츠 작성 방식 = 84
2) 커뮤니티, 1인 미디어 서비스 콘텐츠 등록 방법 = 87
3) 커뮤니티, 1인 미디어 스크랩 소스 이용경로 = 90
제2절. 콘텐츠 등록 패턴유형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 = 92
1. [연구 문제 1]의 분석 결과 = 92
2. [연구 문제 2]의 분석 결과 = 94
3. [연구 문제 3]의 분석 결과 = 96
4. [연구 문제 4]의 분석 결과 = 97
제6장. 결론(Discussion) = 99
제1절. 연구결과요약 = 99
제2절. 연구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105
참고문헌 = 107
부록 : 설문지 = 115
표목차
[표 1-1] 전 세계 인터넷 언어 사용 분포 = 3
[표 1-2] 전 세계 블로그 이용 언어 분포 = 4
[표 2-1] 웹1.0 vs 웹2.0 = 11
[표 2-2] 사이트로 본 웹1.0과 웹2.0 = 12
[표 2-3] 소비자의 역할 변화 = 29
[표 2-4] 연령대별 웹 서비스 이용 현황 = 41
[표 2-5] 가구소득별 웹서비스 이용 현황 = 41
[표 2-6] 직업별 웹 서비스 이용 현황 = 42
[표 2-7] 학력별 웹서비스 이용 현황 = 42
[표 2-8] 성별 연령별 사용자 참여 수단의 이용 현황(복수응답, %) = 43
[표 2-9] 블로그 사이트 점유율 순위 = 45
[표 2-10] 포털 중분류 항목 = 45
[표 2-11] 포털 3사 UCC 섹션 서비스 = 46
[표 2-12] 혁신수용자와 비혁신수용자의 특성 비교 = 49
[표 4-1] 설문 변인표 = 64
[표 5-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분포 = 70
[표 5-2] 인터넷이용시간 = 71
[표 5-3] 휴대폰이용시간 = 71
[표 5-4] 인터넷 포털 서비스 이용 빈도 = 73
[표 5-5] 커뮤니티, 1인 미디어 서비스 이용 현황 = 74
[표 5-6] 카페나 커뮤니티 사용 기간 = 76
[표 5-7] 카페나 커뮤니티 사용 이유 = 77
[표 5-8] 커뮤니티 접근빈도 = 78
[표 5-9] 블로그나 미니홈피 방문빈도 = 79
[표 5-10] 타인의 블로그나 미니홈피 방문 목적 = 80
[표 5-11] 본인의 블로그나 미니홈피 운영 기간 = 81
[표 5-12] 본인의 블로그나 미니홈피 접근빈도 = 82
[표 5-13] 블로그나 미니홈피 운영 목적 = 83
[표 5-14] 커뮤니티 서비스 콘텐츠 작성 방식 = 85
[표 5-15] 1인 미디어 서비스 콘텐츠 작성 방식 = 86
[표 5-16] 커뮤니티와 1인 미디어 서비스 콘텐츠 작성 방식 비교 = 87
[표 5-17] 커뮤니티, 1인 미디어 서비스 콘텐츠 등록 순위 = 89
[표 5-18] 콘텐츠 등록 패턴유형 = 93
[표 5-19] 콘텐츠 등록패턴유형이 개혁성향에 미치는 영향 = 95
[표 5-20] 콘텐츠 등록패턴유형이 사회참여성향에 미치는 영향 = 97
[표 5-21] 콘텐츠 등록패턴유형이 쾌락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 98
[표 5-22] 콘텐츠 등록패턴유형이 쾌락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단계선택) = 98
그림목차
[그림 2-1] 웹2.0Meme Map = 14
[그림 2-2] RSS : Enabling the web 2.0 Information Ecosystem = 25
[그림 2-3] 디지털 소비행동의 변화 = 28
[그림 5-1] 커뮤니티 서비스 콘텐츠 등록 방법 = 88
[그림 5-2] 1인 미디어 서비스 콘텐츠 등록 방법 = 89
[그림 5-3] 커뮤니티 스크랩 소스 이용경로 = 90
[그림 5-4] 1인미디어 스크랩 소스 이용경로 = 9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