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신발산업 FDI전략의 결정변수와 성과와의 관계 : 한국과 대만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Differences in Performanc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Footwear Industry between Korea and Taiwan

초록/요약

본 연구는 신발산업 FDI 성과에 있어, 세계 신발생산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 대만 신발산업의 성과 차이가 생성되는 요인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15개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한국 70개 기업 및 대만 50개 기업의 해외 자회사 표본을 대상으로 신뢰성 검증, 타당도 검증, T-검증, 다중회귀분석, 판별분석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대만의 FDI 성과를 비교하여 대만 신발산업의 FDI 성과가 한국을 앞선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신발산업 FDI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기술, Buyer 관계, 동반진출, 생산현지화, 투자지분, FDI 경험 등 총 6개 요인이 산정되었는데 이 요인들은 신발업계에서 FDI에 중요하다고 인식해 온 입지우위 요인보다 더 FDI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셋째, 6개 요인 중에서 투자지분, 동반진출, 생산현지화 3개 요인이 한국과 대만 FDI의 성과의 차이를 생성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발산업에서 국가단위(한국과 대만)로 FDI 성과를 실증 비교한 것은 처음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중요한 시사점의 하나는 신발기업들이 해외직접투자에서 높은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연구에서 도출된 바처럼 다른 요인들보다 FDI 전략요인들에 더 많은 노력을 경주해아 함을 시사한다. 셋째, 한국이 대만보다 FDI에서 강한 경쟁력을 보유하기 위해, 본 조사에서 분석된 바처럼, 잘 조직화 된 신발생산 클러스터를 신규 유망 생산시장인 인도, 방글라데시 그리고 북한에 구축하여야 하고, 기존의 중국의 청도 지역, 베트남의 호치민 지역, 인도네시아의 텡그랑 지역에 소재한 한국신발생산 Cluster들에 대해서는 구조조정이 필요하다.

more

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leading to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aiwan, which leads shoe production globally, in the performanc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s (FDI) in the footwear industry. To this end, fifteen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To verify these hypotheses, 70 questionnaires from Korea and 50 questionnaires from Taiwa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reliability test, validity test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FDI of Taiwanese footwear companies exceeded that of Korean footwear companies. Second,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FDI in the footwear industry were technology level, relationship with purchasing buyers, equity ratio, number of joint investments of parts suppliers, purchasing ratio of parts at the regional market, and formal FDI experience. These factors indicate that the FDI strategy is mo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performance of FDI as compared with the location specific advantages that most Korean footwear companies clearly understand. Third, three factors from among the abovementioned six factors, namely, equity ratio, joint investment with parts suppliers, and purchasing ratio of parts at the regional market, served as factors leading to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Taiwan in the performance of FDI in footwear industry. The key contributions and indications made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FDI performance by country (Korea and Taiwan) in the footwear industry for the first time. 2.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indicated by this study is that for attaining higher FDI performance, footwear companies prioritize the FDI strategy factors drawn from this study as compared to other considerations. 3. In order to establish additional strength in FDI, 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Korean footwear industry has set up newly organized footwear production clusters in emerging production markets such as India, Bangladesh, and North Korea, including the restructuring of existing Korean footwear production clusters such as Qingdao in China, Hochimin in Vietnam, and Tengerrang in Indonesia.

more

목차

제1장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제2장 FDI 전략과 성과관계에 대한 고찰 = 5
제1절 FDI 이론 = 5
제2절 FDI 전략과 성과 결정에 대한 제반 이론 = 7
제3절 한국의 선행연구 = 15
제4절 외국의 선행연구 = 23
제5절 FDI 성과결정 요인 = 27
제3장 한국 대만 신발산업 FDI 성과 비교 = 31
제1절 신발산업 FDI에 대한 선행연구 = 31
제2절 한국 신발산업 FDI = 35
제3절 대만 신발산업 FDI = 40
제4절 한국과 대만의 신발산업 성과 비교 = 43
제5절 한국과 대만의 FDI 성과 차이 = 48
제4장 연구 모형 = 54
제1절 이론적인 틀 = 54
제2절 가설 설정 = 59
제5장 연구 방법론 = 81
제1절 표본기업의 선정 = 81
제2절 변수와 측정치 = 82
제3절 자료수집 및 통계분석 방법 = 89
제6장 실증분석 결과 = 92
제1절 표본구성 = 92
제2절 측정항목의 평가 = 96
제3절 연구 가설 검증 = 103
제7장 결론 = 125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 125
제2절 연구의 시사점 = 130
제3절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향후 연구과제 = 134
참고문헌 = 137
설문지: 한국 = 145
설문지: 대만 = 150
표목차
표1 주요 FDI 이론의 특성 = 6
표2 한국 선행 연구 요약 = 19
표3 외국 연구 요약 = 24
표4 한국기업과 해외기업 성과결정에 관한 접근방식 비교 = 27
표5 중국 진출 한국기업과 해외기업 성과 결정요인 = 29
표6 신발산업 상품사슬의 변화와 국가 간 경쟁관계 = 34
표7 국내신발기업의 FDI 현황 (2005) = 38
표8 한국 신발업체의 주요국 지역별 진출 현황 = 39
표9 세계 신발생산주요국 신발수출가격 및 임금 비교 (1990) = 44
표10 비교대상년도 선정을 위한 고려 = 48
표11 한국 대만 신발수출액 비교 = 49
표12 한국 대만 중국 미국시장 혁제운동화 점유율 비교 = 50
표13 대형 3대 브랜드의 대만계 및 한국계 공장 수출실적 비교 = 51
표14 대형 3대 브랜드 Asia지역 대만 및 한국계 공장 내역 = 51
표15 한국 대만 2대 대형신발업체 수출실적 비교 = 53
표16 연구모형분석단계 = 57
표17 정치적 위험과 국가 위험 = 69
표18 한국 대만계 신발공장 FDI 대상 = 82
표19 변수의 측정치 = 88
표20 모회사 매출규모 = 93
표21 자회사 매출규모 = 93
표22 투자지역 분포 = 94
표23 해외 진출시기 = 95
표24 자회사 지분율 = 96
표25 신뢰성 분석 결과 = 97
표26 모델 적합도 검증 = 100
표27 개념, 수렴타당도 검증 결과 = 101
표28 상관계수제곱행렬과 AVE값 비교 = 102
표29 측정항목 상관계수 = 104
표30 한국 대만 집단통계량 = 106
표31 Levene의 등분산 검정 = 107
표32 T-검정 결과 = 108
표33 FDI 종합경영성과 영향변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 109
표34 FDI 종합경영성과 영향변수의 집단 통계량 = 110
표35 집단평균에 대한 동질성과 유의도 검증 = 111
표36 FDI 수익성 영향변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 112
표37 FDI 수익성 영향변수의 집단 통계량 = 113
표38 집단평균에 대한 동질성과 유의도 검증 = 113
표39 FDI 성장성 영향변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 114
표40 FDI 성장성 영향변수의 집단 통계량 = 114
표41 집단평균에 대한 동질성과 유의도 검증 = 115
표42 FDI 성과만족도 영향변수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 116
표43 FDI 성과만족도 영향변수의 집단 통계량 = 116
표44 집단평균에 대한 동질성과 유의도 검증 = 117
표45 <한국>FDI종합경영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 118
표46 <대만>FDI종합경영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 119
표47 한국과 대만 영향요인 종합 = 120
표48 한국 대만 FDI 성과요인 변수의 T-검정 = 121
표49 가설 검증결과 = 122
표50 신발산업 FDI 영향요인과 한국 대만 차이요인 = 125
표51 한국과 대만 영향요인 종합 = 127
그림목차
그림1 해외직접투자 의사결정 모형비교 = 14
그림2 연구모형 = 56
그림3 연구모형과 측정치 = 91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