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2008 촛불담론에 대한 고찰 : 대의제중심적 촛불론에 대한 사회학적 비판

The examination on the Candles demonstration in 2008 : The sociological criticism against the theory that the Candles demonstration is inefficient

초록/요약

연구자는 한국사회에서 시위문화를 살펴보고, 또 하나의 중요한 변화의 징후라 할 수 있는 촛불집회의 역사와 배경, 특히 2008년의 상황을 검토해 볼 것이다. 나아가 2008년 촛불상황에 대한 다양한 정치학적, 사회문화적 논의들을 대립시켜 촛불이 표상하는 한국사회의 변화를 추적하고자 한다. 여기서 동시대 한국사회의 비판적 지성을 주도하는 최장집의 촛불집회에 대한 입장변화는 중요한 논점을 제공한다. 최장집은 촛불에 대한 긍정론에서 이후 급격한 촛불무용론으로 변화하는데, 이러한 입장변화는 다양한 찬반 의견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러한 논란의 한계는 근본적으로 지나치게 대의제를 중심으로 정치적 영역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촛불은 이미 정치적 관점에서 평가하고 재단될 수 없는 사회문화적 현상이다.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촛불은 정치를 포함하되, 더 이상 정치적일 수만은 없는 다차원적인 현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자는 전상진이 제기한 ‘세대’, ‘집단지성’ 개념을 중심으로 촛불을 다차원적 현상으로 해석하는 다양한 논의들을 종합하고, 이러한 종합을 통해 최장집의 후기 촛불무용론에 대한 반론을 시도할 것이다. 전상진을 비롯한 여러 사회학적 논의들의 결론은 촛불이 사회문화적인 근저에서 초래되고 있는 변화의 현상적 단면이라는 것이다. 이 변화는 흔히 말하는 심층구조의 변화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직접적인 일상의 삶과 생활을 과거와는 다른 방식으로 물들인다. 최장집의 촛불무용론은 이러한 사회문화적 변화로서의 촛불이 갖는 함의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최장집의 논의는 촛불의 다양한 이해와 평가가 선행되지 못했고, 따라서 그의 무용론은 지나치게 성급했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세대’적 관점에서 촛불분석은 그것이 거대한 사회구성원 집단의 보편적 경험의 차별성에 근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 촛불을 ‘전문가집단에 대한 집단지성’의 반란의 관점에서 바라보려는 시도 역시 촛불에서 지식과 권력의 관계 변화라는 지식사회학적 변화를 읽어내려는 시도로 보인다. 이러한 논의들을 검토한다면, 2008년 촛불상황은 대의민주제라는 지엽적인 관점에서만 재단될 수 없는 사회적인 문제임이 분명해 보인다. 연구자는 촛불에 함축된 이러한 사회문화적 변화의 징후로서 정보화를 강조할 것이다. 촛불로 표명된 사회적 변화는 인터넷과 휴대폰을 기반으로 한 IT 정보화기술의 비약적 발전없이 가능하지 않았다. 촛불집회 참여자들과 집회참여를 주저하는 사회구성원들 사이의 차별적 경험은 인터넷과 휴대폰을 통한 의사소통의 적극성이라는 점에서 가장 극명하게 드러났다. 그런 의미에서 촛불, 그 가운데서도 2008년 촛불은 한국사회가 근대사회에서 지식정보화사회로 변화하는 새로운 국면에 진입했고, 그러한 변화가 정치적 실천과 사회적 일상의 영역에 침투하는 지점에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일 수 있다. 대의제의 관점에서 촛불무용론을 주장하는 최장집의 평가가 본질적으로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는 이유는 대의제만으로는 이러한 변화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제도적 틀거리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more

초록/요약

This researcher will observe the demonstration culture of Korea society and will investigate its history and background which we can identify as the sign of important change, especially under the circumstances of 2008. This researcher will further inquire into the change of Korean society the Candles represents, opposing to the various political, social, cultural arguments about the Candles demonstration of 2008. Here, the change in the standpoints of Choi, Jang-Jib about the Candles demonstration that leads the critic intelligence of Korean society gives us important points. First, he agreed with the demonstration, but soon changed his position to the theory -the inefficiency of the Candles demonstration. But before long, these change brought various arguments for and against his standpoint. In addition, the limits of this denunciation is restricted to political area that focuses on a representative fundamentally and excessively. The Candles demonstration is a social phenomenon which is already neither evaluated nor could cut out from the political viewpoint. That is, the Candles demonstration as a social phenomenon includes politics, but it is a various dimensional phenomenon that could not be identified by politics any more. From this viewpoint, the research worker will synthesize various arguments which analyze the candles demonstration as various dimensional phenomenons laying stress on the ideas, 'Generation', 'Group Intelligence', which were raised by Jeon, Sang-Jin. On the basis of this, the writer will try to bring forth a counterargument against the theory that the Candles is inefficient. Several sociological discussions including Jeon, Sang-Jin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Candles is the phenomenal section of the change which brought about on social cultural basis. This change is ordinarily not limited to the transition of the deep structure, but has an impact on the most direct daily life and living with a different way from the past. The theory that the Candles demonstration is inefficient doesn't seem to be properly estimating the important entailment of the Candles as social, cultural changes. Choi's viewpoint on the candles demonstration was not developed from various understandings and evaluation, so his theory is considered a hasty one. On the other side, the analysis of the Candles judging from a viewpoint of Generation shows us that it is based on the common discrimination that massive social constituents experience. In addition, his attempt to define the Candles as Mass-Intelligence about specialist groups also seems to be a try to clarify the change of knowledge sociology,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power in the Candles. On these arguments, the Candles demonstration in 2008 clearly seems to be a social problem which is not restricted by the partial viewpoint- representative democracy. This researcher will emphasize information-oriented social as a social cultural sign which the Candles has. The social change the Candles demonstrates could not be possible without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Techknowledge based on internet and mobile phone. The discrimination participators in the Candles and the objectors experienced is definitely revealed in that it is aggressive in communication through internet and mobile phon. In that sense, the Candles, especially the Candles in 2008 can be an example which shows that Korea enters on a new phase changing from modern society into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nd this change is situated on the point where it permeates in political practices and social daily areas. The theory which the Candles demonstration is inefficient has some limitations, because the representative system can not be a systematic frame which can fully respond to the changes.

more

목차

Ⅰ. 서론 = 1
Ⅱ. 촛불집회의 역사와 배경, 그리고 2008년의 상황 = 3
1. 근대사회의 시위의 전개 = 3
2. 한국사회에서 촛불집회의 역사 = 4
3. 2008년 촛불집회의 전개와 특징 = 5
Ⅲ. 촛불상황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대의제중심의 간접민주주의와 참여민주주의의 대립 = 12
1. ‘구원투수론’에서 ‘대의제중심론’으로의 입장변화 = 12
2. 참여민주주의의 관점에서 대의제중심론 비판 = 17
Ⅳ.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대의제중심론에 대한 고찰: ‘세대’, ‘집단지성’의 관점에서 = 25
1. ‘촛불과 세대’ = 25
2. 촛불, 집단지성의 반란? = 33
3.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융합 = 40
Ⅴ. 결론 및 의의 = 46
[참고문헌] = 51
Abstract = 56
표목차
표1. 2008년 촛불집회 주요사건의 전개 = 9
표2. 촛불집회 주도 인터넷 모임의 연령별 구성비 = 26
표3. 산업사회와 탈산업사회의 차별적 양상 = 47
표4. 촛불을 중심으로 한 산업사회와 정보사회에서 시위의 차별성 = 48
그림목차
그림1. 전통적인 전문가-일반인 관계 = 38
그림2. 전문가 인지적, 도덕적 역할의 변화 = 39
그림3. 촛불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변화의 구도 = 45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