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한나 아렌트의 정치행위이론 분석 : 제기된 쟁점들의 종합과 분석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of Hannah Arendt's Political Action Theory : synthesizing and analyzing its issues

초록/요약

이 논문은 독일 출신의 유태인 정치사상가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 1906-75)의 정치행위이론(political action theory)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렌트의 행위이론은 판단이론과 더불어 아렌트 정치사상을 구성하는 핵심이라고 할 수 있지만,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해석되어 왔다. 또한 아렌트의 행위이론은 그 내부에 상호 긴장관계에 놓여 있는 두 가지 특성, 즉 ‘개인주의적’․‘표현적’․‘분투적(agonistic)’인 특성과 ‘참여주의적’․‘의사소통적’․‘협의적(accomodational)’인 특성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으며, 따라서 그녀의 행위이론과 정치관은 상호 긴장관계에 놓여 있거나 서로 상반된 해석을 낳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행위 개념에 내재된 탈도구적인 특징과 자의적이며 무제약적인 성격 그리고 엘리트주의적․영웅주의적인․희랍향수적인 성격 등에 대한 비판 역시 제기된 바 있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쟁점들에 대한 기존의 논쟁과 해석들을 정리하여 이들 각각의 쟁점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기존에 제시된 다양한 해석들과 비판들이 과연 적절한 것인가, 만약 적절하거나 혹은 부적절하다면 어떠한 맥락에서 그러한가, 행위이론에 대한 더 나은 해석방식은 무엇인가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에 대해 논증하고자 하였다. (1) 행위이론에 내재된 탈도구성은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 (2) 행위이론은 자의적이고 무제약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가? (3) 아렌트의 행위이론은 영웅주의적․엘리트주의적․희랍향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는가? (4) 아렌트는 정치적인 것을 구성하는 내용을 무엇으로 보고 있는가? (5) 행위이론 내부에는 상호 긴장관계에 놓여 있는 두 가지 성격이 공존하고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이 두 가지 성격은 서로 조화를 이룰 수는 없는 것인가? (6)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할 때, 아렌트의 정치행위이론을 어떻게 평가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는가? 나아가 행위이론의 분석에 입각해 볼 때, 아렌트가 생각하는 정치의 규범적인 모습은 어떠한 것인가?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필자는 우선 행위이론 분석 이전에 다음의 세 가지 배경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활동적 삶에 대한 아렌트의 내적 정교화 작업이다. 아렌트는 활동적 삶(vita activa)을 노동(labor), 작업(work) 행위(action)로 구분하고 각각의 본질을 규명함으로써 자신의 정치사상의 출발점을 마련하고 있다. 둘째, 근대사회에 대한 아렌트의 비판이다. 아렌트는 근대에 사회의 등장으로 인해 인간의 행위능력과 공적영역(public realm)이 파괴되었으며, 그 결과 표준화, 획일화 된 채 외로움(loneliness)과 세계소외(world-alienation)를 경험하는 대중들의 대중사회가 도래하였다고 비판한다. 그리고 이 대중사회는 전체주의(totalitarianism)가 등장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였다고 진단한다. 셋째, 서구의 정치철학적 전통에 대한 아렌트의 비판이다. 아렌트에 따르면 플라톤 이래로 시작된 서구의 정치철학적 전통은 ‘정치’에 대한 ‘철학’의 우위, ‘현상(appearance)’에 대한 ‘존재(Being)’의 우위, ‘의견(doxa, opinion)’에 대한 형이상학적 ‘진리(truth)’의 존재론적 우월성을 당연한 것으로 전제함으로써, 정치에 대한 왜곡된 관념을 형성하고 인간의 자유로운 행위능력을 무시 내지는 간과해왔다. 그리하여 아렌트는 서구의 정치철학적 전통이 정치의 참된 모습과 정치가 인간에게 가지고 있는 중요한 의미들을 제시하는데 ‘실패’했다고 단언한다. 이러한 현실적․정치철학사적 배경에 대한 비판적인 문제의식 속에서 아렌트는 행위의 정치적인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독자적인 행위이론을 형성하게 되는데, 행위이론은 근대사회와 서구 정치철학적 전통에 대한 비판과 내적인 소통을 통해 정교하게 발전해 나간다. 행위이론에 대한 분석을 위해 우선 행위의 의미를 ‘정체성(personal identities)의 현시(disclosure)와 새로운 시작(new beginning) 및 자유(freedom)의 경험’과 ‘의사소통과 공동행위를 통한 권력(power)의 형성’으로 대별하여 각각의 의미와 특징들에 대해 논하였다. 행위의 의미를 이렇게 두 가지로 구분한 이유는 이러한 행위의 두 가지 측면 가운데 어느 측면을 강조하느냐에 따라 행위이론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진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전자를 강조할 경우 행위는 주로 개인의 실존적인 계기와 연관이 되며, 개인주의적인 특성을 갖는 것으로 비춰지는 반면, 후자를 강조할 경우 행위는 주로 공동체적인 계기와 연관이 되며, 공동체 지향적인 특성을 갖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 이 중 전자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일군의 학자들로부터 제기된 쟁점들은 (1) - (3)까지의 문제이다. 이들은 행위이론에 대해 비판적인 관점을 견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필자는 (1)의 쟁점과 관련하여 목적(end)과 목표(goal)의 구분을 통해 아렌트가 말하는 행위가 목적이 아닌 목표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아렌트가 말하는 행위가 탈도구적이지 않음을 밝혀냈다. 또한 ‘목표를 추구하면서 목표나 동기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는 아렌트의 진술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였다. (2)의 쟁점과 관련하여 행위의 원리, 법, 약속, 용서, 존경 혹은 우정, 연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요소들이 (아렌트가 의도했건 하지 않았건) 행위의 자의성과 무제약성을 막을 수 있는 독자적인 기제들로 기능하고 있음을 밝혔다. (3)의 쟁점과 관련해서는 아렌트의 행위가 영웅주의적․엘리트주의적․희랍향수적이지 않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위대한 행위 보다는 그 행위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것을 기억, 보존해주는 다른 사람들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4)의 쟁점을 분석해 본 결과 아렌트가 생각하는 정치적인 것을 구성하는 내용 역시 협소하지 않으며, 우리가 특정한 의제와 사건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따라 정치적인 것을 구성하는 내용은 상당부분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는 별도로 문제점 역시 존재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5)의 쟁점의 경우, 행위의 두 가지 측면이 일각에서 주장하듯이 긴장관계에 놓여 있지 않으며, 자연스럽게 양립 가능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물론 이러한 해석은 행위의 실존적이고 분투적인 측면을 상당부분 축소 해석함으로써 가능한 것이지만, 이것이 아렌트의 본의라는 것이 분석의 결과이다. (6)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볼 때, 결론적으로 아렌트가 우리에게 행위이론을 통해 전달하고자 했던 행위와 정치의 모습이란 일상 속에서 인간의 복수성(plurality)을 긍정하며, 일상적인 행위 속에서 지속적으로 공동행위를 통해 예상하지 못한 기적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기억하고 보존함으로써 정치공동체 그리고 정치공동체의 긍정적인 원리를 보존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아렌트적인 행위와 정치의 상을 얼마 전까지 한참 진행되었던 한국의 ‘촛불시위’와 접목시켜 설명해볼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에 관해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한편, 전체주의와 같이 정치공동체의 원리가 부재하거나 새로운 원리의 수립이 필요할 경우 혁명도 중요한 정치와 행위의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사실은 아렌트가 말하는 행위와 정치라는 것이 일상 속의 미시적인 차원에서부터 정치체제의 문제와 같은 거시적인 차원까지 포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요컨대, 아렌트의 행위와 정치는 결코 우리의 일상으로부터 멀리 있는 것이 아닌 언제나 실현 가능한 인간의 실존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필자는 이러한 아렌트의 정치를 ‘기적과 기억’의 정치로 명명할 수 있다고 본다.

more

초록/요약

This thesis aims at analyzing the political action theory of Hannah Arendt, the German-Jewish political philosopher. In general, Arendt’s political thought consists of political action theory and theory of judgment. For long time, her political thought has been understood in various ways with different interpretations. In particular, due to theoretical tensions and ambiguity between “individualistic”, “expressive”, “agonistic”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ory”, “communicative”, “accommodational” ones within her political action theory, many intellectuals criticized her theory and political view. In addition, political scholars criticised post-instrumental, arbitrary, elitist, heroistic, nostalgic of the Greek perspectives in Arendt’s theory. In this thesis, analyzing various interpretations and criticisms on Arendt’ political action theory, I have examined adequacy of those criticisms and interpretations and tried to elaborate the understanding of Arendt’ political action theory. To do this work, I put some questions in this thesis; (1) how can we interpret post-instrumentality in Arendt's political action theory? (2) Is her political action theory arbitrary and unrestricted? (3) Is her political action theory heroistic, elitist and nostalgic of the Greek? (4) How does Arendt understand the political and its elements? (5) Is it not possible to make such theoretical tensions compatible in her political action theory? (6) What is the best way to understand and to evaluate Arendt’ political action theory? In addition, what is a normative form of politics derived from her political action theory? To answer the questions, I began by touching three academic backgrounds. The first is Arendt’s work of internal sophistication. She unfolded her thoughts by dividing “vita activa” into “labor”, “work”, and “action”, and inquiring the nature of the latter. The second is her critique of the modern society. Arendt argued that the emergence of modern society led to the destruction of human capacity and public realm and that it resulted the rise of mass society in which people has experienced loneliness and world-alienation and has been standardized and unified into mass. In addition, she diagnosed that mass society made conditions of the rise of totalitarianism. The third is her critique of the western tradition of political philosophy. Arendt pointed out that since Plato in western Europe the superiority of “philosophy” to “politics”, “Being” to “appearance”, metaphysical “truth” to “doxa/opinion” has produced manipulated ideas of politics and ignored free will of human capacity. She affirmed that the western tradition of political philosophy failed to describe reality of politics and to suggest important meanings of politics to society. With her critique of and intellectual communication with political reality and the western history of political philosophy, Arendt examined political meanings of action and developed her distinctive action theory. In thesis, I have understood the meaning of action in two views. The one is ‘disclosure and new beginning of personal identities and experience of freedom’. The other is ‘formation of power through communication and collective action’. If the former is emphasized, then action is generally related to personal existential moment. If the latter is, action is related to communitarian moments and is regarded as being community-oriented. The first three questions above - (1), (2) and (3) - are proposed by scholars who focus on the former view and hold a critical position on political action theory. Concerning (1), distinguishing between “end” and “goal”, I argue that action in Arendt’s theory pursues a goal not an end, thus Arendt’s action is actually not post-instrumental. Concerning (2), after investigating some elements such as principle’s of action, law, promise, forgiveness, respect/friendship and solidarity, I claim that these elements function as an independent mechanism preventing arbitrariness and unrestrctedness of action. Concerning (3), I prove that Arendt’s notion of action is not heroistic, elitist nor nostalgic of the Greek. In addition, I give salience not to a man’s great action, but to others who tell, memorize and conserve the story of the man’s action. While examining question (4), despite some theoretical problems, I found that Arendt’s notion of the political has broad meanings and conceptual elements and that there is possibility of extension of its meanings and elements depending on a way of interpretation of certain agenda and events. During exploring question (5), I argued that the two different views on action are not tensional but can be understood as being compatible with each other. Of course, this interpretation can be only possible by minimizing existential and agonistic characteristics of action, but I concluded that this minimization is Arendt’s real intention. Dealing with question (6), I made a final conclusion that the forms of action and politics which Hannah Arendt intended to propose to us through her political action theory are 1) the affirmation of plurality of human beings, 2) the performance of unexpected miracles by continuous collective actions in our everyday lives, 3) the maintenance of a political community and its good principles by memorizing and conserving the story of the miracles. In addition, I briefly applied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into the distinctive case of the candle light protest against initially the government’s new policy to import the US beef that happened in South Korea, summer in 2008. With the work of application, I understood that revolution can be regarded as an important experience of action and politics to overcome totalitarianism by radically proposing a new alternative principle of the formation of political community. It can be said that Arendt's notions of action and politics involve both microscopic level of everyday life and macroscopic one of political systems. In other words, her notions of action and politics are not far from our everyday lives, but mean our existential and feasible actions. In this sense, I call politics in Arendt's thoughts politics of ‘miracle and memory’.

more

목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논문의 구성 = 1
제2절 기존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7
제2장 정치행위이론 분석 이전의 몇 가지 배경적 논의 = 16
제1절 활동적 삶의 내적 정교화 작업에 대한 개괄 = 17
1. 관조적 삶(vita contemplativa)과 활동적 삶(vita activa) = 17
2. 활동적 삶 = 20
제2절 근대사회에 대한 비판 = 30
제3절 서구 정치철학적 전통에 대한 비판 = 44
제4절 소결 = 58
제3장 정치행위(political action)의 의미와 특징 분석 = 63
제1절 정체성의 현시와 새로운 시작 및 자유의 경험 = 63
제2절 의사소통과 공동행위를 통한 권력의 형성 = 78
제4장 정치행위이론을 둘러싼 쟁점들에 대한 분석 = 88
제1절 정치행위의 성격에 대한 몇 가지 해석 및 비판들에 대한 분석 = 88
1. 정치행위의 탈도구성 = 88
2. 정치행위에 내재된 자의적,무제약적 성격 = 98
3. 정치행위의 영웅주의적,엘리트주의적,희랍향수적 성격 = 117
제2절 무엇이 정치적인 것의 내용을 구성하는가? = 128
제3절 정치행위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의 양립가능성 = 137
제5장 결론 = 143
참고문헌 = 148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