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조직맥락에서의 긍정심리역량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the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rganization

초록/요약

본 연구는 인간이해의 긍정심리학적 접근을 조직에 응용한, 긍정적 조직행동에 대한 연구로서 조직적 맥락에서 긍정심리역량(Positive psychological capacities)의 선행요인과 결과적 함의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긍정심리역량은 구성원의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복원력 등의 4가지 긍정적인 심리상태들로 구성된 상위의 심리적 자원이다. 현재까지 긍정심리역량은 조직유효성과 관련된 태도나 성과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돼 왔다. 그러나 아직 한국적 상황에서 구성원의 긍정적인 심리상태가 개인과 조직에게 어떠한 활력과 의의를 가지는 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역량의 함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긍정심리역량의 선행변수들로는 리더가 구성원들의 정서와 심리에 미치는 영향력에 초점을 맞춰 변혁적 리더십과 리더의 유머사용을 고려하였다. 긍정심리역량의 결과변수로는 조직유효성과 관련된 변수로 주관적 성과와 직무만족을 설정하였으며 그 자체로 개인에게 중요하며 더 넓은 측면에서 조직유효성에 기여할 수 있는 변수로 구성원의 직장에서의 행복, 주관적 안녕감을 고려하였다. 이상의 긍정심리역량과 선행변수의 관계, 긍정심리역량과 결과변수와의 관계를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11기업의 종업원 42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측정하였으며, 통계적 분석 방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의 3가지 개별요인인 핵심 변혁적 행동, 지적자극, 개별적 배려는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역량과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리더의 유머사용과 긍정심리역량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역량과 결과변수로 선정한 주관적 성과, 직무만족, 직장에서의 행복, 주관적 안녕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는, 첫째, 긍정심리역량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결과변수들과 갖는 유의한 관계를 감안한다면 국내 기업들도 종업원의 긍정적인 심리상태를 중요하지만 당연한 것으로 간주하기보다 실제적인 조직운영에 있어 주의 깊게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선행연구들이 주로 긍정심리역량과 조직유효성관련변수들의 관계를 고찰한 것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역량의 선행요인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리더의 유머사용을 선정하고 그 관계를 고찰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긍정심리역량을 조직차원에서 어떻게 관리해야하며 구조화 시킬 것인가에 대한 하나의 단서를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미래의 연구방향은 논문의 결론부분에 제시돼 있다.

more

초록/요약

The main purpose in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tial factor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onsisting of 4 positive states such like self-efficacy, hope, optimism, resilience in organizational context and its consequential implications. This psychological capital is based on the emerging field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largely drawn from the theory and research in positive psychology and applied to the workplace. So far, the studies on psychological capital have reported that it has impact on work-related outcome such like employee attitud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However, the study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Korean context has yet been reported.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psychological capital on employees working in the domestic companies. As the antecedents of psychological capit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 leader's use of humor is considered in this study. And then, job satisfaction, self-rated performance, work-happiness, subjective wellbeing are considered as the consequenc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rganization in this study. For the practical analysis, the sample consisted of 425 employee from 11 Korean large companies in semi-conductor, electronic, financial industry and etc.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the antecedent of psychological capital, Transformational leader's behavioral factors(core transformational behaviors, intellectual stimulation, individual consideration)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use of humor, while positive as hypothesize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self-rated performance, work-happiness, subjective wellbeing was found significant. In sum,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s considering the impact of employee's positive psychological capacities on work-related outcom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company has to carefully manage and structure it without adopting it as a naturally given thing. Limitations,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conclude the article.

more

목차

제1장 서론 = 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논문의 구성 = 5
제2장 이론적 배경 = 7
제1절 긍정적 조직행동 = 7
1. 긍정적 조직행동의 발전배경 = 7
2. 긍정적 조직행동의 개념 = 9
3. 긍정적 조직행동의 필요성 = 19
4. 긍정적 조직행동과 긍정심리역량 = 19
제2절 긍정심리역량의 선행변수 = 24
1. 변혁적 리더십과 긍정심리역량 = 25
2. 리더의 유머사용과 긍정심리역량 = 29
제3절 긍정심리역량과 결과변수 = 32
1. 긍정심리역량과 주관적 성과평가 = 32
2. 긍정심리역량과 직무만족 = 34
3. 긍정심리역량과 직장에서의 행복 = 34
4. 긍정심리역량과 주관적 안녕감 = 36
제3장 연 구 방 법 = 39
제1절 연구모형 = 39
1. 연구모형의 설계 = 39
제2절 실증연구 절차 = 41
1. 표본과 자료수집절차 = 41
2. 설문지 구성 = 43
3. 변수의 측정 = 45
3.1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 45
3.2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 48
4. 자료분석방법 = 59
제4장 분석결과 = 60
제1절 가설의 검증 및 논의 = 60
1. 선행요인과 긍정심리역량에 대한 가설검증 = 62
2. 긍정심리역량과 결과변수에 대한 가설검증 = 64
제5장 결론 = 73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 73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연구방향 = 77
참고문헌 = 81
설문지 = 99
표차례
【표 3-1】 연구가설 40
【표 3-2】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2
【표 3-3】 설문지 구성 및 출처 44
【표 3-4】 수정된 측정항목-항목 모집단간 상관관계표 49
【표 3-5】 신뢰도 계수에 의한 항목제거 50
【표 3-6】 정화절차를 통하여 제거된 항목 51
【표 3-7】 개념별 회전되지 않은 요인행렬 52
【표 3-8】 변혁적 리더십 특성항목에 대한 요인분석결과 54
【표 3-9】 요인분석 이후 각 변수들의 신뢰도 계수 55
【표 3-10】 요인별 판별타당성 검증결과 58
【표 4-1】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61
【표 4-2】 선행요인과 긍정심리역량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63
【표 4-3】 긍정심리역량과 주관적 성과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65
【표 4-4】 긍정심리역량과 직무만족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67
【표 4-5】 긍정심리역량과 직장에서의 행복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69
【표 4-6】 긍정심리역량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71
【표 4-7】 가설검증 결과 요약 72
【그림차례】
【그림 3-1】 연구모형 4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