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의 수필 문항 연구 : 1999학년도~2008학년도 기출 문제를 중심으로

A study on literary essay questions of the Language Section in CSAT : With the realm of presented questions from 1999 to 2008

초록/요약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s a national test to evaluate the scholastic ability in need in college and to use when colleges pick the students up. This test covers the ranges under education curriculum. A study on CSAT is brisking up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CSAT and the longer history of CSAT, but the study on poetry and novels was limited. This study tried to find improvement on literary essay questions after analyzing of literary essay questions in CSAT and examining the problems of literary essay questions in CSAT held und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from 2005 to 2008 in many ways. Looking into distinguishing marks of CSAT and Language section,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character of literary essay and expelled the components of literary essay. Analyzing literary essay questions in CSAT held under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from 1999 to 2004 and und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from 2005 to 2008, this study expelled the problems of literary essay questions. The problems are following. First, the numbers of literary essay questions in CSAT held und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from 2005 to 2008 were decreased. Literary essay questions were presented every year until 1998 before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re were a literary essay or combination of two more literary essay for the instructions. This trend kept in CSAT held under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in 1999 and 2000, but the numbers, frequency, and the consist of literary essay questions in CSAT were decreased compared to other literary genres. Literary essay questions and drama literature questions have been presented in turn since 2001. In CSAT held und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since 2005, this trend was getting deeper, so the set of literary essay and old poetry for instructions was presented or drama literature was replaced. The pure numbers of literary essay questions were decreased. Second, literary essay questions in CSAT held und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were presented and these questions were not appropriate because there were asking about the demonstrative meaning of a word, appropriate inference in the context, and understanding of demonstrative objects. Third, in literary essay questions in CSAT held under the 7th education, the questions about add-material were dereased, on the other hand, easier questions were increased. The quality of questions was getting lower. Fourth, literary essay questions in CSAT held under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had many problems because of empty of similarity between choices and unification of language use. This study tried to find a way to solve the problem to mention above by using literary questions in demo test of KICE held on September, 2005.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 were to get out of the combination of literary essay and old poetry for instructions and to show literary essay for instructions, on the other hand, to include old poetry in the questions. When we consider the importance of "creation" under the 7th literature education curriculum, we will revise and supply literary questions in the next CSAT.

more

초록/요약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1.2 선행 연구의 검토 = 3 1.3 연구 범위 및 방법 = 7 Ⅱ.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과 수필 = 9 2.1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언어 영역의 성격 = 9 2.1.1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성격 = 9 2.1.2 언어 영역의 성격 = 12 2.2 수필의 교육적 의미와 수필의 성격 = 16 2.2.1 제7차 교육과정과 수필 = 16 2.2.2 수필의 성격 = 20 2.2.3 수필의 평가 요소 = 27 Ⅲ.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의 수필 문항 분석 = 33 3.1 제6차 교육과정 이전의 수필 문항의 출제 경향 = 33 3.2 제6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36 3.2.1 1999학년도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36 3.2.2 2000학년도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39 3.2.3 2004학년도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43 3.3 제7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46 3.3.1 2005학년도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46 3.3.2 2006학년도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50 3.3.3 2007학년도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52 3.4 제7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문제점 = 56 3.4.1 출제 빈도, 지문 구성, 문항수의 문제점 = 56 3.4.2 평가 요소의 문제점 = 60 3.4.3 문항의 유형과 난이도의 문제점 = 62 3.4.4 답지의 문제점 = 65 3.5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개선 방안 = 69 Ⅳ. 결론 및 제언 = 76 참고문헌 = 79 국문초록 = 83 표목차 표 1 행동 영역별 수필의 평가 요소 = 32 표 2 1994~1998학년도 문학 장르별 출제 작품수 = 34 표 3 1995~1998학년도 문학 장르별 출제 문항수 = 35 표 4 1999학년도 수필 문항 분석 = 39 표 5 2000학년도 수필 문항 분석 = 43 표 6 2004학년도 수필 문항 분석 = 46 표 7 2005학년도 수필 문항 분석 = 49 표 8 2006학년도 수필 문항 분석 = 52 표 9 2007학년도 수필 문항 분석 = 55 표 10 1999~2008학년도 수능의 문학 장르별 출제 빈도 = 57 표 11 1999~2008학년도 수능의 문학 장르별 출제 문항수 = 58 표 12 국어(상), (하)에 수록된 문학 장르별 작품수 = 59 표 13 1999~2008학년도 수필 문항의 평가 요소별 분석 = 61 표 14 문항 제작 원리에 따른 선다형 분류 = 63 표 15 1999~2008학년도 수필 문항의 유형과 난이도 = 64 그림목차 그림1 문학 장르의 기본 영역 = 22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범위 내에서 대학 교육에 필요한 수학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대학에서의 학생 선발시 주요 전형 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전국 수준의 시험이다. 수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출제 횟수가 늘어나면서 수능에 대한 연구도 갈수록 활발해지고 있지만 주로 시나 소설에 국한된 것이었다. 본 연구는 수능의 제재 중 수필을 대상으로 삼아 그 문항들을 분석하고, 제7차 교육과정 하에 실시된 2005~2008학년도 수능의 수필 문항의 문제점을 여러 측면에서 살펴본 다음 수필 문항의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본고는 우선 이론적 배경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언어 영역의 성격을 살펴본 다음 수필의 성격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수필의 평가 요소를 추출해 보았다. 그리고 제6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1999학년도~2004학년도 수능의 수필 문항과, 제7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2005학년도~2008학년도 수능의 수필 문항을 분석하고 2005학년도~2008학년도 수능의 수필 문항이 지닌 문제점을 추출하였다. 그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 하에 실시된 2005~2008학년도 수능에서 수필 문항이 차지하는 비중이 이전에 비해 많이 약화되었다. 제6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기 이전인 1998학년도까지 수필 문항은 해마다 출제되어 왔으며, 지문도 하나의 작품으로 이루어지거나 둘 이상의 수필 작품이 복합된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경향은 제6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1999학년도, 2000학년도 수능에서도 계속 유지되었지만, 이후 수필 문항은 다른 문학 장르에 비해 출제빈도나 지문 구성의 측면, 문항수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수필은 2001년 이후 극문학과 번갈아 가며 출제되었으며, 특히 제7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2005학년도 이후의 수능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더욱 심화되어 수필은 고전시가와 복합 지문 형식으로만 출제되거나 극문학으로 대체되었으며, 문항수에서도 순수한 수필 문항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둘째, 평가 요소의 측면에서 볼 때 제7차 교육과정 하에 실시된 수능의 수필 문항은 단어의 지시적 의미를 묻는 문항, 문맥에 적합한 내용의 추리, 지시 대상의 이해 등 수필 문항의 평가 요소로는 부적절한 문항들이 많이 출제되었다. 셋째, 제7차 교육과정 하에 실시된 수능의 수필 문항은 이전에 비해 자료 추가형 문항이 많이 줄어든 반면 난이도 낮은 문항들이 많이 출제됨으로써 문항의 질적 저하를 초래했다. 넷째, 제7차 교육과정 하에 실시된 수능의 수필 문항은 답지간의 동질성과 용어 구사의 통일성이 결여되는 등 이전에 비해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였다. 본고에서는 2005학년도 9월에 실시된 평가원 모의고사의 수필 문항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것은 수필과 고전시가를 함께 지문으로 출제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수필은 지문으로 제시하되 고전시가는 문항 속에 포함시키는 형식이었다. ‘창작’을 중시하는 제7차 문학 교육과정을 고려할 때 앞으로 출제될 수능에서는 더욱 보완되고 발전된 수필 문항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more

목차

Ⅰ.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1.2 선행 연구의 검토 = 3
1.3 연구 범위 및 방법 = 7
Ⅱ.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과 수필 = 9
2.1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언어 영역의 성격 = 9
2.1.1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성격 = 9
2.1.2 언어 영역의 성격 = 12
2.2 수필의 교육적 의미와 수필의 성격 = 16
2.2.1 제7차 교육과정과 수필 = 16
2.2.2 수필의 성격 = 20
2.2.3 수필의 평가 요소 = 27
Ⅲ.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의 수필 문항 분석 = 33
3.1 제6차 교육과정 이전의 수필 문항의 출제 경향 = 33
3.2 제6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36
3.2.1 1999학년도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36
3.2.2 2000학년도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39
3.2.3 2004학년도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43
3.3 제7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46
3.3.1 2005학년도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46
3.3.2 2006학년도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50
3.3.3 2007학년도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분석 = 52
3.4 제7차 교육과정이 적용된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문제점 = 56
3.4.1 출제 빈도, 지문 구성, 문항수의 문제점 = 56
3.4.2 평가 요소의 문제점 = 60
3.4.3 문항의 유형과 난이도의 문제점 = 62
3.4.4 답지의 문제점 = 65
3.5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 수필 문항의 개선 방안 = 69
Ⅳ. 결론 및 제언 = 76
참고문헌 = 79
국문초록 = 83
표목차
표 1 행동 영역별 수필의 평가 요소 = 32
표 2 1994~1998학년도 문학 장르별 출제 작품수 = 34
표 3 1995~1998학년도 문학 장르별 출제 문항수 = 35
표 4 1999학년도 수필 문항 분석 = 39
표 5 2000학년도 수필 문항 분석 = 43
표 6 2004학년도 수필 문항 분석 = 46
표 7 2005학년도 수필 문항 분석 = 49
표 8 2006학년도 수필 문항 분석 = 52
표 9 2007학년도 수필 문항 분석 = 55
표 10 1999~2008학년도 수능의 문학 장르별 출제 빈도 = 57
표 11 1999~2008학년도 수능의 문학 장르별 출제 문항수 = 58
표 12 국어(상), (하)에 수록된 문학 장르별 작품수 = 59
표 13 1999~2008학년도 수필 문항의 평가 요소별 분석 = 61
표 14 문항 제작 원리에 따른 선다형 분류 = 63
표 15 1999~2008학년도 수필 문항의 유형과 난이도 = 64
그림목차
그림1 문학 장르의 기본 영역 = 22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