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체육 수강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관한 연구
Research into the Physical Self-descript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in General Physical Education
- 주제(키워드) 신체적 자기개념 , 교양체육 , 대학생의 신체적자기개념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지도교수 최대혁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2
- 학위명 석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102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양체육은 곧 사회에 진출하여 평생체육을 이끌어 나갈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것은 곧 우리 체육의 미래와 직결된 문제라고 인식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양체육이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교양체육 수강집단과 비수강집단의 비교를 통해 유추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한 대한 2곳에서 교양체육으로 배드민턴, 요가, 라켓볼을 수강하는 집단 176명과 비 수강집단 153명을 대상하였다. 검사도구로는 한국판 신체적 자기개념 설문지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SDQ)를 이용하여 신체적 자기개념을 측정하였고 SPSS 12.0을 이용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체육 수강집단과 비 수강 집단 간의 비교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 10개 요인 모두에서 수강집단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고 두 집단의 성별 간 비교에서도 수강집단이 전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집단의 날씬함 지각정도와 실제 날씬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BMI 비교에서는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둘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체육 수강 집단내의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는 유연성을 제외한 9개 요인에서 남학생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3종목 간의 ANOVA 비교에서는 건강, 유연성, 지구력 3개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증(Tukey)을 한 결과 건강에서 배드민턴과 라켓볼은 요가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유연성은 요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구력에서는 라켓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양체육은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여 지며, 남학생은 신체활동과 관련된 요인에서 향상되며 여학생은 외모와 관련된 요인에서 향상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more초록/요약
There has been a strong emphasis on general physical education in that it is intended to nurture college students who will play an pivotal role in the realm of life-long sports. In other words,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e offering of quality physical education at college is closely related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at large. Therefore,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infer whether or not physical education at college signifies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self-description between two samples that represent physical education-taking and non-taking college students. Samples are taken from two Seoul-located colleges and the number of respondents consists of students in badminton, yoga, and racquetball classes (n=196) and ones who have not taken general physical education (n=153). Data in this research is derived from Korean-translated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SDQ), and key findings of data analysed with SPSS 12.0 are as follows: Firstly, scores are reported higher in the physical education-taking group across all ten physical self-description factors than in the non-taking one, and, with the exclusion of gender effect, it is also true that the group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generally show a better physical self-description than the other. Secondly,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spect to difference between the cognitive level of physical build and body mass index(BMI). Thirdly, male students show higher scores in nine factors except flexibility than female on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in-group comparison. Lastly, in ANOVA analysi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 among three classes in terms of health, flexibility, and endurance. More specific, TuKey points out that badminton and racquetball are reported higher with regard to health than yoga. Flexibility is the highest in yoga, and endurance in racquetball. Following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research, this thesis has come to the conclusion that physical education at college contributes to the enhancement of physical self-description, and male students improves in areas of physical activity-concerned factors, and female one in dimensions of appearance.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