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 푸코의 권력/지식론적 입장에서 본 담론 형성 제도로서의 전시공간에 관한 연구 : 과천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시립미술관에 대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hibition Space as Discoursive Formation based on Michel Foucault's Theory of Power/Knowledge Discourse : focused on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and Seoul Museum of Art
- 주제(키워드) 푸코 , 지식 , 권력 , 전시공간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 지도교수 황인성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2
- 학위명 석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066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문화연구의 관점에서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이론을 바탕으로 지식과 권력의 접합을 보여주는 공간으로서의 공공미술관에 주목하고 그의 이론을 중심으로 논의를 펼치는 데에 있다. 특히 그의 이론 중 권력/지식 이론을 방법론적인 틀로 설정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공공미술관에 도입된 지식들이 규율 및 권력과 맺는 연관성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권력과 지식의 관계 속에서 미술관이 갖는 의미와 그 의미가 전시공간을 통해 어떻게 구체화 되는지 고찰하기 위하여 담론 형성의 장으로써 전시공간이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물음을 제기하였으며, 푸코의 권력/지식론적 입장에서 정리한 네 가지 개념을 중심으로 실제 국ㆍ공립미술관으로써 담론 형성의 제도적 장치로 기능하고 있는 과천국립현대미술관과 서울시립미술관의 분석을 통해 모더니티 문화를 형성시킨 주요한 제도적 공간인 전시공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논의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공 미술관은 관객이 대상에 대한 시선의 주체임과 동시에 동일한 공간 속에 존재 - viii - 하는 군중으로써 항상 다른 관객들의 시선의 대상이 됨을 자각하게 만든다. 그래서 관객으로 하여금 스스로 통제와 규범을 내면화하고 그 규범을 능동적으로 준수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과정을 경험하면서 관객은 미술관에서 감시의 시선을 내면화하여 스스로를 규제하고, 지식을 생산하고 소비한다. 미술관은 지식과 권력을 통해 푸코가 말하는 사목권력을 실현하는 공간이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미술관의 역할은 변화하는 예술 개념과 관객의 다양한 요구를 효율적으로 수용하며 문화적 통합성을 꾀할 수 있는 복합적인 공간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이것을 바탕으로 담론을 형성하는 권력의 공간으로써 대중을 계몽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re초록/요약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process of discourse formation through the structural features of public museum, which shows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v - between knowledge and power in the respect of Michel Foucault's theory of Power/Knowledge in visual culture. Foucault's theory of Power/Knowledge in particular has been used as a methodological basis in this thesis, based on which the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of knowledge with discipline and power especially contained in the exhibition ritual of public museum. In this sense, the function of museum within the process of discoursive formation becomes the main issue of questioning. So,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mbody and demonstrate the meaning and identity of the museums that are the subject of the current case study. Among three key concepts that have been utilized for this study are those of power, knowledge, and space. Based on these concepts, the case study has explored the dominant features surrounding two mainstream museum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and Seoul Museum of Art, which serve as a major institutional part in the process of particular discursive formation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e study is the following. In the public museum, the audience is situated in the subject position who looks objects and at the same time in the object one to be looked by others. The audience members becomes aware of this present condition. So, the museum leads the audience members themselves to internalize particular rules and mechanism of control and then abide by them. The audience who undergoes this sort of process internalizes the system of surveillance, and produces and consumes particular kind of knowledges. The museum then becomes the particular space where Foucault's concept of power operates effectively. After all, it can be said that the function of museum becomes the complex spatial apparatus that seeks some kind of cultural unification by accommodating changing concept of art and various needs of the audience. And based on this, it consummates enlightening functions for the public as its power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particular discourse.
more목차
제1장. 서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2. 방법론적 합의 = 6
제2장. 미셸 푸코의 권력/지식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0
1. 분석적 명제로서의 미셸 푸코의 권력/지식론 = 10
2. 권력과 지식의 생산과 소비 = 15
3. 공간 구조와 시각적 교류 = 19
3.1. 권력과 공간 = 21
3.2 지식과 공간 = 23
3.3 감시와 공간 = 26
제3장. 담론 형성 제도로서의 전시공간 = 30
1. 전시공간의 기원 = 30
2. 전시공간에서의 지식의 생산과 공간 경험 = 36
제4장. 사례 분석 : 과천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 45
1. 연구문제 설정 = 45
1.1 대상 선정 = 46
1.2 분석 방법 = 48
1.3 분석 개요 = 49
2. 공간구조 = 54
3. 사례 분석 및 논의 = 64
3.1 지식의 공간화 = 64
3.2 공간의 권력화 = 68
3.3 권력의 공간화 = 72
3.4 공간의 지식화 = 78
제5장. 결론 = 83
참고문헌 = 88
표목차
표 1 국내 국 공립 미술관 현황(2007) = 34
표 2 국내 국 공립 박물관 현황(2007) = 35
표 3 서울 주요 국공립미술관 2006~2008 블록버스터 전시 = 51
그림목차
그림 1 국립현대미술관 도면 = 54
그림 2 국립현대미술관 1층 평면도 = 55
그림 3 국립현대미술관 2층 평면도 = 56
그림 4 국립현대미술관 3층 평면도 = 56
그림 5 서울시립미술관 1층(제1전시실) 평면도 = 60
그림 6 서울시립미술관 2층(제2전시실) 평면도 = 61
그림 7 서울시립미술관 3층(제3전시실) 평면도 = 62
그림 8 서울시립미술관 지하층 평면도 = 63
그림 9 미술관의 구성요소 =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