흄의 철학에 있어서 ‘참된 종교’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The Study of the Possibility of the “True Religion” in Hume's Philosophy
- 주제(키워드) 흄 , 참된 종교
-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 지도교수 이종진
- 발행년도 2009
- 학위수여년월 2009. 2
- 학위명 석사
- 실제URI http://www.dcollection.net/handler/sogang/000000045051
- 본문언어 한국어
초록/요약
본 연구는 비판적 관점에서 종교에 관해 저술한 흄의 주저들을 통해서, 그가 제시하는 ‘참된 종교’의 가능성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흄의 철학에 있어서 그의 ‘완화된 회의주의’는 자연주의와 공존하는 것으로서, 흄은 회의주의와 자연주의의 이중적인 입장에서 종교에 대한 견해를 피력한다. 종교철학에 제시된 흄의 회의론은 이성 위에 종교를 근거지울 수 없다는 불가능성을 의미한다. 그에게 남아 있는 유일한 해결책은 신앙 위에 종교를 기초하는 것이다. 회의론은 이성적인 신 존재 증명들의 토대를 파괴한다. 그러나 인간들 사이에서 종교의 역사적 존재를 부정할 수는 없다. 요컨대, 흄은 분명하고 확실하지 않은 것에 대한 회의를 통해, 미신 또는 광신과 구분되는 것으로서의 참된 종교의 본질을 밝히고자 했으며, 종교적 신념에 대한 ‘진정성’과 함께 고백과 삶이 괴리되어 가는 것을 경고하고자 했다. 흄은 신의 존재는 논증이나 증명 없이 자명하게 주어진 것임을 주장하였다. 그는 종교가 이성적으로 이해하기 힘들다는 이유에서 이를 무조건적으로 부인하고 배척하기 보다는 인간 삶의 한 양식으로서 종교를 받아들이며, 그 안에서 참된 진리를 찾자고 사람들에게 제안하고 있다. 흄에게 있어서 종교란, 종교적 신념뿐만 아니라 종교적 실천, 즉 종교의 ‘유용성’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유용성은 곧 종교의 실질적인 가치로 도출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흄이 생각하는 참된 종교가 철학적 사색 과 반성을 통해 도달되는 자연의 창조자로서 비가시적이며 지적인 신에 대한 믿음, 즉 순수한 유일신론에 기초한 자연종교 또는 이성종교가 아니라, 미신적인 요소가 약화되거나 가능한 한 억제된 현실적인 대중종교라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다. 흄은 종교적 신앙과 미신을 구분하는데, 참된 종교가 제시하는 바는 종교의 원천으로 돌아가 그 가르침대로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흄은 기성종교의 타락이 교권의 타락에 있다고 보고 그것을 정권의 지배하에 둔 영국국교회를 현실 세계에서 가장 이상적인 종교로 간주했다. 이러한 생각은 흄이 인간을 종교적 신념으로 이끄는 자연적 성향의 토대위에서 현실적인 중용(happy medium)을 찾고자 노력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흄은 인류의 참된 종교를 인간의 자연적 유약성인 감각과 상상을 철저히 배제시킨 자연종교나 극도로 약화시킨 자유주의적 색채의 그리스도교 대신에, 신비적인 종교적 체험의 역동성을 살리면서도 종교적 타락을 경계할 수 있는 시민정부에 의해 통제를 받는 영국 국교회에서 찾았던 것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흄은 객관적인 관찰자의 입장에서 종교에 대한 어떠한 단정적인 결론도 유보한 채, 독자들로 하여금 스스로 종교에 대한 최종결론을 내리도록 하고 있다. 흄이 제시하는 방법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연스러운 조심스러움으로 인해 ‘철학적 회의론자’가 되고, 또한 신의 완전성에 대한 적절한 개념을 가지려 노력하는 ‘철학적 유신론자’가 되라는 것이었다. 흄은 이들을 제외한 어느 누구도 ‘신의 사랑을 받을 자격’이 없다고 생각하였다. 결국 본 논문에서는 흄의 종교철학이 ‘참된 종교’에 대한 이상을 토대로 종교의 그릇된 형식들을 비판하고 있으며, 이는 종교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전반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의도했음을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실천적 함의를 가지고 있는 흄의 신랄한 종교비판은 위기를 맞고 있는 오늘날의 다양한 종교전통이 겸허하게 귀 기울일 때, ‘참된 종교’로 나아가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more초록/요약
This Thesis focuses on the examination of the possibility of the 'true religion' which is suggested by Hume through his main works on religion. In Hume's philosophy, his mitigated skepticism and naturalism go together and he expresses his view on religion from the double position of skepticism and naturalism. Hume's skepticism presented in the philosophy of religion implies the impossibility: religion cannot be founded on reason. To him, the only way out of it is religion based on faith. Skepticism destroys the foundation of the reasonable proofs of the existence of God. However, the historical existence of religions among humanity should not be ignored. In brief, Hume wanted to examine the root of true religion (as distinguished from superstition or enthusiasm) through skepticism of the ones that are not clear or definite; he also wanted to warn that truthfulness regarding religious belief, along with confession and life, are becoming alienated. Hume asserts that the existence of God is self-evident without any proof or evidence. Rather than denying or rejecting religion unconditionally becaus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rationally, he suggests accepting religion as a life pattern of humanity and finding the real truth in it. In Hume, religion is not only religious belief but also religious practice, i.e., 'religious usefulness', and this usefulness is derived from the essential value of religion. Through this, we can surmise the fact that in Hume's thinking, true religion is not a belief in an invisible and intellectual God as the Creator of nature -i.e., it is not a nature religion or a rational religion based on genuine monotheism- reached through philosophical speculation and reflection, but an actual popular religion of weakened or as far as possible constrained superstitious elements. Hume distinguishes religious belief from superstition, and says that true religion shows we must return to the origin of religion and live according to its teaching. Hume thinks that the corruption of established religion lies in the corruption of religious authority and power; hence he regards the Church of England or the Anglican Church subject to political authority as the most ideal religion in the real world. It is possible to see this thinking as Hume's efforts to find an actual happy medium based on a natural tendency that leads humans toward religious beliefs. Also, instead of a nature religion that completely excludes humans' natural weakness (viz., sensation and imagination) or a Christianity colored by extremely weakened liberalism, Hume discovered humanity's true religion in the Anglican Church regulated by a citizen government that can keep alive the dynamism of the mystical religious experience while guarding against religious corruption. Nevertheless, ultimately Hume is leading the readers to draw the final conclusion for themselves while deferring any final conclusion about religion from the position of an objective observer. The method suggested by Hume is to be 'a philosophical skeptic' according to the natural cautiousness regarding one's own capability, and to be 'a philosophical theist' who tries to have the proper concept regarding the perfection of God. Hume thought that no one deserves to be loved by God except these. In conclusion, this thesis shows that Hume's philosophy of religion is criticizing the erroneous forms of religion based on the ideal regarding 'true religion', and intends to heighte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his contemporaries with regard to religion. I think that these practical implications contained in Hume's scathing criticism of religion will be helpful for the various faith traditions of today in proceeding toward the 'true religion' when the faith traditions carefully and humbly listen to them.
more목차
Ⅰ. 서론 = 1
Ⅱ. 흄 철학의 사상적 배경: 영국 이신론과 로크 = 5
2.1 이신론에 대한 전이해 = 5
2.2 영국 이신론: 계시에서 이성으로 = 8
2.3 로크의 자유주의적 그리스도교 = 10
Ⅲ. 흄의 회의주의 = 14
3.1 흄의 철학적 방법 및 그 목적 = 16
3.2 흄의 회의주의 = 18
3.3 흄의 자연주의 = 23
3.4 흄의 회의주의와 자연주의의 이중성 = 26
Ⅳ. 흄의 주저들을 통해서 본 참된 종교의 가능성 = 30
4.1 「기적에 관하여」: 기적에 대한 불확실성 논증 = 32
4.1.1 이성적 관점의 비판 = 34
4.1.2 신앙적 관점의 비판 = 39
4.1.3 「기적에 관하여」를 통해서 본 참된 종교의 가능성 = 45
4.2 「종교의 자연사」: 종교의 기원에 관한 논증 = 47
4.2.1 인간본성과 관련된 종교의 기원 = 50
4.2.2 인간본성의 일반적인 수반물들(attendants) = 53
4.2.3 다신교와 유일신교의 비교 = 57
4.2.4 『종교의 자연사』를 통해서 본 참된 종교의 가능성 = 59
4.3 「자연종교에 관한 대화」: 종교적 신념의 정당성에 관한 논의 = 61
4.3.1 목적론적 논증 비판 = 63
4.3.2 『자연종교에 대한 대화』를 통해서 본 참된 종교의 가능성 = 69
Ⅴ. 결론: 자연종교와 기성종교의 중용으로서의 참된 종교 = 74
5.1 흄의 종교철학에 대한 기존의 평가와 반성 = 75
5.2 흄에게 있어서의 ‘참된 종교’의 가능성 = 82
참고문헌 =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