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상세

기업지배구조개선이 기업가치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기업지배구조변화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on the Firm Value and Performance

초록/요약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이 기업가치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각 상장기업의 기업지배구조점수 변화율을 기업지배구조의 개선변수로 사용하여,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으로 인한 기업가치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그 효과의 지속성, 관련성 등 실질적인 개선의 영향을 검증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지원센터의 평가를 받은 국내상장기업의 2002년부터 2006년까지의 기업지배구조점수를 바탕으로 검증하였으며,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선행연구에서 1개년도의 자료를 통한 분석으로 특정년도에 한정된다는 한계점을 5년간의 연구기간 확장으로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면서, 기존의 연구와 동일한 기업재배구조와 기업가치 및 성과 간 정(+)의 관계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여, 기존 연구결과를 보완/발전하였다. 둘째, 기업가치변수로 초과수익률, 토빈Q, PBR를, 기업성과변수로 ROA, ROE, 매출액영업이익률를 사용하여 기업지배구조의 개선과 기업가치 및 성과 간 관계의 검증에서 매출액영업이익률을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유의한 정(+)의 관계가 도출되었다. 또한 CGI 개선의 효과는 CGI 수준의 효과와 상이하게 기업가치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복수년도의 CGI개선변수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CGI개선은 지속적으로 기업가치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과수익률과 CGI개선의 정(+)의 관계를 바탕으로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을 통해 초과수익을 얻을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셋째, 기업지배구조 수준별 기업지배구조 개선의 효과에서는 낮은 수준의 기업지배구조를 가진 기업에서 기업지배구조 개선의 효과가 크게 나타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지지하였다. 즉 그룹별 분석에서 2분위 그룹과 취약등급(30-40점)에서 CGI개선이 기업가치 변수인 초과수익률, 토빈Q, PBR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았고, 이를 투자에 적용하면 기업지배구조가 2분위 또는 취약등급(30-40점)에 속한 기업들의 기업지배구조개선이 이루어질 경우 초과수익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업성과변수인 ROA, ROE, 매출액영업이익률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식가치관련 변수인 기업가치변수와 재무제표관련 변수인 기업성과변수간의 차이점에서 발생하는 것이라 추측하였고, 기업가치는 기업의 외부에서 평가되어 기업지배구조 개선의 효과가 반영되고, 기업성과는 기업지배구조 개선의 효과가 기업가치와는 다르게 반영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넷째, 기업지배구조의 각 하위지수별 개선의 효과가 기업가치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존재하지만 일관된 결과를 발견할 수 없기 때문에 하위지수별 개선이 기업가치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특성을 단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의 개선이 기업가치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고, 5년간의 자료를 기초로 하여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단기성의 한계를 보완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초과수익률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기업지배구조 개선이 초과수익을 실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기업지배구조 수준별 기업지배구조 개선의 효과가 나타나는 특정 그룹을 처음으로 실증연구한 것이다.

more

초록/요약

In this paper, I have tested the impact of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on the firm value and performance and focused on the substance of effect, duration, and relevance etc. about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I used the changing rate of Corporate Governance Index as a dependent variable of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and the Corporate Governance Index(CGI) issued by 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over the 2002 - 2006 period. The prov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test makes up for the critical point of former study using only one-year period and retest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firm value and performance. The results are also a positive relation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same as former studies. Second, the result of examining relevance of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to the firm's value variables(rate of excess returns, Tobin's Q, PBR) and the performance variables(ROA, ROE, EBIT/sales) is positive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except variable of EBIT/sales and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has relation with plural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variables that is different with the effect of corporate governance. Therefore,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has continually influenced on the firm value and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 the more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the better chance of making positive excess return on the stock market. Third, in the test of each group classified by level of corporate governance, the firm with bad corporate governance has more improving effects than others. In detail, 2/4 group and weak grade group(30-40)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with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and the firm value. In an application to investment this result, in order to gain the positive excess return, it is one of the ways that is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of the group in 2/4 or weak grade. Lastly, the impact of each subindex improvement is existed but there is inconsistent result that is why I could not tell it has some specific characters.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 I have examined the impact of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on the value and performance and complemented former study occurred critical point short period. According to the relation of corporate governance improvement and rate of excess return, it is possible that the way of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should make excess return. Finally, It is first study finding out the effect of specific group classified by level of Corporate Governance.

more

목차

제 1 장 서론 = 1
제1절 연구동기 및 목적 = 1
제2절 연구방향 = 3
제 2 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 5
제1절 기업지배구조의 개념 = 5
제2절 기업재배구조의 통제 메커니즘 = 7
(1) 기업지배구조의 내부통제 메커니즘 = 7
(2) 기업지배구조의 외부통제 메커니즘 = 12
(3) 제 3의 통제 메커니즘 = 15
제3절 이론적 배경 = 17
(1) 이해일치가설 = 17
(2) 경영자안주가설 = 18
(3) 절충가설 = 18
(4) 무관련설 = 19
제4절 선행연구 = 20
제 3 장 표본 및 변수의 설정 = 25
제1절 표본자료 및 기업지배구조 측정기준 = 25
제2절 주요변수 측정방법 = 27
제3절 종속변수의 선정 및 변수설명 = 29
제 4 장 연구가설 및 방법론 = 31
제1절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및 성과의 관계 = 31
제2절 기업지배구조의 개선과 기업가치 및 성과의 관계 = 32
제3절 기업지배구조 수준별 기업지배구조개선의 효과 = 34
제4절 기업지배구조 하위지수별 개선의 효과 = 37
제 5 장 실증분석결과 = 39
제1절 변수별 기술 통계량 및 주요변수간 상관관계 = 39
제2절 기업지배구조와 기업가치 및 성과의 분석결과 = 42
제3절 기업지배구조의 개선과 기업가치 및 성과의 분석결과 = 46
제4절 기업지배구조 수준별 기업지배구조개선의 효과 분석결과 = 49
제5절 기업지배구조 하위지수별 개선의 효과 분석결과 = 58
제 6 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 61
제1절 결론 및 시사점 = 61
제2절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 64
참고문헌 = 66
표목차
표1 주요변수의 측정 = 28
표2 기업지배구조의 등급별 명칭 및 해석 = 36
표3 연도별 상장기업의 등급별 분포 = 36
표4 기초 통계량 = 39
표5 주요 변수간 상관관계 = 41
표6 (식 1)의 회귀분석결과 = 42
표7 (식 2)의 회귀분석결과 = 45
표8 (식 3)의 회귀분석결과 = 46
표9 (식 4)의 회귀분석결과 = 48
표10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초과수익률간의 관계 = 50
표11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토빈Q간의 관계 = 52
표12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PBR간의 관계 = 54
표13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ROA간의 관계 = 55
표14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ROE간의 관계 = 56
표15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매출액영업이익률간의 관계 = 57
표16 CGI하위지수별 개선의 계수값 = 59

more